2024-06-21

Aya Kōda - Wikipedia

Aya Kōda - Wikipedia


Aya Kōd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ya Kōda
幸田文
Aya Kōda in 1950
Born1 September 1904
Terajima, Minami Katsushika-gun, Tokyo, Japan
Died31 October 1990 (aged 86)
Tokyo, Japan
NationalityJapanese
OccupationWriter
Spouses
  • Ikunosuke Mitsuhashi
  • (m. 1928–1938)
Family
  • Rohan Kōda (father)
  • Tama Aoki (daughter)
  • Nao Aoki (granddaughter)

Aya Kōda (幸田文Kōda Aya, 1 September 1904 – 31 October 1990) was a Japanese writer of novels, short stories and essays.[1] She was the daughter of writer Rohan Kōda.[2] Among her most noted works is the 1955 novel Nagareru.[3][4]

Biography[edit]

Kōda was born in Terajima, Minami Katsushika-gun, Tokyo, as the second child of Rohan Kōda and his wife Kimiko.[2][3] At the age of five, she lost her mother, the following year her older sister and still later her younger brother.[2] The relationship with her stepmother Yayoko, a well-read woman, poet, and a devout Christian, but suffering from rheumatism and unable to run a household, proved to be difficult.[3][4] After failing the entrance exams for the Tokyo Women’s Higher Normal School, she entered the Joshigakuin, a Christian high school for girls, and graduated in 1922.[2][3][4][5] She married the son of a sake wholesaler at age 24, but divorced after 10 years and returned with her daughter, Tama, to live with her father.[3] The following years, overshadowed by World War II, she ran the household of her ailing father until his death in 1947 (her stepmother, who had lived apart from her husband, had died two years earlier).[4]

Kōda's first works, written at the request of publishers when she was 43, were memoirs of life with her famous father; they include Chichi: sono shi (lit. "Death of my father") and Zakki (lit. "Random notes").[3][4] Meeting with critical acclaim and ongoing publishers' requests, she continued with works such as Misokkasu (lit. "Miso dregs") and Kusa no hana (lit. "Flowers in the grass"), accounts of her childhood and adolescent years.[3][4] A recurring theme was her own feeling of inferiority, caused not only by her demanding father, but also by measuring herself against her seemingly preferred sister and her two aunts, both musicians who studied abroad.[3][4]

Kōda's subsequent short stories, novels, and essays explored women's lives, family relations, and traditional culture. Her fiction was often being read as autobiographical (jidenteki shōsetsu),[3] and many of her stories dissolved the boundary between essay and fictitious writing.[4] In the short story The Medal, the first person female narrator chronicles the attention her father Rohan receives after being awarded the first Medal of Cultural Merit, with herself doing labourer's work for the sake shop which she runs with her husband.[4] Nagareru (lit. "Flowing"), the account of a housemaid who works in a geisha house, used Kōda's experiences as a maid in a Yanagibashi district geisha house in the early 1950s, while the troubled youth in Otōto (lit. "Little brother") was based on her younger brother Ichirō.[3] In addition to her literary work, she edited collections of her father's essays and letters.[3]

In 1976, Kōda was chosen as member of the Japan Art Academy. She spent much of her later years trying to raise funds for the restoration of the pagoda of the Hōrin-ji temple, and writing essays on the subject of trees and landslides.[3] She died of heart failure in 1990.[3] Her daughter Tama Aoki (b. 1929), whose books include Koishikawa no ie (lit. "The house in Koishikawa") about the time living with her grandfather Rohan,[3] and her granddaughter Nao Aoki (b. 1963) are also writers.[6]

Selected works[edit]

The year refers to the earliest publication date.

  • 1947: Shūen (終焉)
  • 1947: Sōsō no ki (葬送の記)
  • 1947: Zakki (雑記)
  • 1948: Fragments (欠片, Kakera)
  • 1949: Chichi: sono shi (父 その死)
  • 1949: The Medal (勲章, Kunshō)
  • 1949: Misokkasu (みそっかす)
  • 1950: Konna koto (こんなこと)
  • 1951: Kusa no hana (草の花)
  • 1951: Hair (髪, Kami)
  • 1954: The Black Kimono a.k.a. The Black Hems (黒い裾, Kuroi Suso)
  • 1955: Nagareru (流れる)
  • 1955: Dolls a.k.a. Dolls for a Special Day (雛, Hina)
  • 1956: Otōto (おとうと)
  • 1965:  (闘)
  • 1966: A Friend for Life (Mono iwanu issho no tomo)

Awards[edit]

  • 1956: Yomiuri Prize for The Black Kimono
  • 1956: Shinchō Literary Prize for Nagareru
  • 1957: Japan Art Academy Prize for Nagareru
  • 1973: Joryū Bungaku Shū Literary Prize for 

Legacy[edit]

Kōda's novels Nagareru and Otōto have repeatedly been adapted for film, stage[3] and television,[7] including the films Flowing by Mikio Naruse in 1956 and Her Brother by Kon Ichikawa in 1960.

Kōda has a young girl character named after her in the manga Bungo Stray Dogs, whose life partially resembles Kōda's own.

Translated works[edit]

  • Koda, Aya (1970). "The Black Kimono". Modern Japanese Short Stories. Translated by Seidensticker, E.G. Japan Publications.
  • Koda, Aya (1993). "The Medal, Hair, The Black Hems, Dolls". The Writings of Kōda Aya, a Japanese Literary Daughter. Translated by Tansman, Alan M.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057249.
  • Koda, Aya (1999). "Fragments, The Medal, Dolls for a Special Day, A Friend for Life". Mirror: The Fiction and Essays of Kōda Aya. Translated by Sherif, Ann.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21814.
  • Koda, Aya (2014). "Kitchen, Raindrops, A Memento of the Season". The Columbia anthology of Japanese essays : Zuihitsu from the Tenth to the Twenty-first Century. Translated by Carter, Steven D.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167710.

External links[edit]

References[edit]

  1. ^ Sherif, Ann (1999). Mirror: The Fiction and Essays of Kōda Aya.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21814.
  2. Jump up to:a b c d "幸田文 (Kōda Aya)"Kotobank (in Japanese). Retrieved 1 July 2022.
  3. Jump up to: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Sherif, Ann (1999). Mirror: The Fiction and Essays of Koda Aya.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21814.
  4. Jump up to:a b c d e f g h i Tansman, Alan M. (1993). The Writings of Kōda Aya, a Japanese Literary Daughter.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057249.
  5. ^ "History of Joshigakuin"Joshigakuin (in Japanese). Retrieved 1 July 2022.
  6. ^ "青木奈緒さん 『幸田家のことば』 よみがえらせた家族の情景 (Nao Aoki "Words of the Koda Family" Revived Family Scene)"The Sankei News (in Japanese). 9 April 2017. Retrieved 1 July 2022.
  7. ^ "幸田文 (Kōda Aya)"TV drama database (in Japanese). Retrieved 1 July 2022.

===

고다 아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다 아야
幸田 文
작가 정보
출생1904년 9월 1일
도쿄
사망1990년 10월 31일
이시오카시
국적일본
언어일본어
직업소설가수필가작가
수상여류 문학상 (1973)
Shinchosha literature award (1956)
일본 예술원상
부모고다 로한(부)
자녀Tama Aoki
주요 작품
영향
서명

묘비

고다 아야(幸田文)는 일본의 수필가이자 소설가이다.[1] 메이지 시대 소설가 고다 로한의 둘째 딸이다. 딸 아오키 다마(1929년생), 손녀 아오키 나오(1963년생) 또한 소설가이다.

일생[편집]

고다는 도쿄에서 태어났다. 다섯 살 때 어머니를 잃었으며, 이후에 여동생과 남동생도 잃게 되었다. 고다는 죠시가쿠인에서 공부하였고 24세에 결혼하였으나 10년 뒤 이혼하여 딸인 다마를 데리고 아버지와 살게 되었다. 다마 아오키의 《고이시카와의 집》(小石川の家)에 따르면 제2차 세계 대전동안 고다는 아버지가 직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왔다. 고다의 첫 작품은 43세 때 쓴 아버지와 함께 했던 삶의 회고록으로, 여기에는 〈치치〉(父), 〈곤나코토〉(こんなこと) 등이 수록되었다. 이 작품은 충실한 딸의 모습이 주목을 받으며 막대한 성공을 거두게 되었다.

고다는 후속 단편과 소설, 수필에서 여성의 삶과 가족, 전통 문화에 대해 탐구하였다. 1955년에 발표한 소설 《나가레루》(流れる)를 비롯해 수필 〈카케라〉, 단편 〈히나〉와 〈군소〉 등이 영화로 만들어졌다. 《구로이수소》(黒い裾)로 요미우리 문학상을 받았다.[2]







각주


===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幸田 文
(こうだ あや)
1950年(昭和25年)の幸田文
誕生1904年9月1日
日本の旗 日本 東京府南葛飾郡寺島村(現・東京都墨田区
死没1990年10月31日(86歳没)
日本の旗 日本 茨城県石岡市(石岡第一病院)[1]
墓地池上本門寺東京都大田区
職業小説家随筆家
言語日本語
国籍日本の旗 日本
活動期間1947年 - 1990年
ジャンル小説随筆
主題露伴研究の資料の編集
代表作『こんなこと』(1950年)
『みそっかす』(1951年)
黒い裾』(1955年)
流れる』(1956年)
おとうと』(1957年)
『闘』(1973年)
主な受賞歴読売文学賞(1956年)
新潮社文学賞(1956年)
日本芸術院賞(1957年)
女流文学賞(1973年)
日本芸術院会員(1976年)
勲三等瑞宝章(1990年,没後)
デビュー作『雑記』(1947年)
配偶者三橋幾之助(1928年 - 1938年)
子供青木玉(長女)
親族幸田露伴(父親)
青木奈緒(孫、玉の長女)
高木卓(従弟)
 ウィキポータル 文学
テンプレートを表示

幸田 文(こうだ あや、1904年明治37年〉9月1日 - 1990年平成2年〉10月31日)は、日本随筆家小説家位階従四位日本芸術院会員。

東京都生まれ。幸田露伴次女。女子学院卒。父露伴の死後、『雑記』『終焉』『葬送の記』などの回想文で文壇に登場。のち小説も書き、『黒い裾』『流れる』などで高い評価を得た。繊細な感性と観察眼、江戸前の歯切れの良い文体が特徴。折々の身辺雑記や動植物への親しみなどを綴った随筆の評価も高く、『こんなこと』『みそっかす』や、没後刊行された『崩れ』『木』などの多数の作品集があり、永い人気を保っている。他に映像化の多い『おとうと』も知られている。

来歴[編集]

作家の幸田露伴、母幾美(きみ)の次女として東京府南葛飾郡寺島村(現在の東京都墨田区東向島)に生まれる[2][3]。1910年、5歳のときに母を、1912年、8歳のときに姉の歌を失う。1912年に父の露伴が児玉八代(やよ)と再婚。1917年に寺島小学校を卒業。東京女子高等師範学校受験に失敗するが、八代のつてにより女子学院に入学[4][5]。その年の夏休みから露伴による生活技術の教育を受けるようになる[2][3][6]。1926年、22歳のときに弟の成豊(しげとよ)も失う[2][3]

1928年、24歳で清酒問屋三橋家の三男幾之助と結婚し、翌年娘の玉(青木玉)が生まれる[2][3]。しかし、結婚から8年後、家業が傾き廃業[7]。1936年、築地で会員制小売り酒屋を営む[8]も1938年に離婚、娘の玉を連れ父のもとに戻る[2][3]。戦時中には、露伴の生活物資の確保のために働き(その一端は青木玉の回想記『小石川の家』(講談社のち文庫化)に詳述されている)、少女時代から露伴にしこまれた生活技術を実践していった。

1945年、露伴、玉とともに露伴の再婚相手であった八代(やよ)の別居先の長野県に疎開。その後、露伴を伊東に移し、文と玉は土橋利彦宅へ一時留まったのち、1945年10月、千葉県市川市菅野に家を借りて移り住んだ。1946年1月28日、露伴を菅野の家に移した[9]

市川時代の露伴は高齢で白内障であったため、寝たきりの生活だった。そんな露伴の様子を、文は『雑記』として執筆。これが文筆家としての誕生であった。『雑記』は露伴の80歳記念に発行される予定であったが、1947年7月30日、80歳の1週間後に露伴死去のため、露伴は『雑記』を目にすることはなかった[10]。。

露伴の思い出や看取りの記を中心にした『終焉』を発表。のち『父』、『こんなこと』、1949年には幼少時の思い出を書いた『みそっかす』を連載するなどの随筆集を出版し注目された。

しかし、1950年に断筆宣言[11]をし、翌年柳橋芸者置屋に住み込み女中として働いたが、病のため約2ヶ月で帰宅する[3]。そのときの経験をもとにして1955年より連載した長編小説『流れる』(1956年刊行)で1956年に第3回新潮社文学賞受賞、1957年に昭和31年度日本芸術院賞を受賞した[3][12]。また、『黒い裾』で1956年に第7回読売文学賞受賞、『闘』で第12回女流文学賞を受賞した[2]。1976年に日本芸術院会員となった[2]

1965年の夏、奈良県斑鳩町法輪寺住職井上慶覚から、焼失した三重塔の再建について話を聞いたことをきっかけに、官公庁への嘆願・申請や募金活動に尽力。その後自らも奈良に移り住み作業にも加わるなどし、1975年に再建された[13]

1988年5月から脳溢血により自宅で療養。その後は茨城県石岡市の老人ホームに入所。1990年10月29日に心筋梗塞を発症して隣接の石岡第一病院へ入院。2日後の10月31日、心不全により86歳で死去[1][2][14]。叙従四位勲三等瑞宝章追贈[15][16]

エピソード[編集]

幸田が筑波大学附属小学校の日本庭園「占春園」に植樹したことを示す看板
  • 「雑記」の執筆
    晩年の露伴の助手として露伴家に通っていた塩谷賛(本名:土橋利彦)の紹介により、文芸雑誌「藝林閒歩」編集者野田宇太郎から1947年(昭和22年)8月1日発行の「露伴先生記念号」に80歳の露伴の近況を書いて欲しい、という依頼による。露伴存命中の同年4月、5月に書かれたものであり、文は露伴の眼に入るのを恐れていたが、実際には発行直前の同年7月30日に露伴が死去したためこの雑誌を眼にすることはなかった[4]
  • 幸田格子
    幸田格子とは、中央公論社版『幸田文全集』の表紙カバーとなった織物の柄であり、「茶と薄鼠(うすねず)の子持ち格子」である[17][18]。幸田文と好みの柄である縞の着物[19]の組合せ、というコンセプトから全集のための表紙布として使われた。染織家浦野理一の作。使われた織物はすべて手織りであった[17]。なお、全集完結記念として「幸田格子一反を百名様に贈呈」という企画も行われた[20]
  • 父の出身校でもある筑波大学附属小学校に併設されている「占春園」に「小鳥の好きな実のなる木」を植えた。
  • 蓮實重彥は「文藝」1990年春季号~1992年冬季号にて文芸時評をやり、そこで幸田文「崩れ」を取り上げ、没後のブームに繋がった。蓮實は高橋源一郎との対談では以下のように述べている。[21]

    幸田文『崩れ』を読んでみると――もちろん僕は前から彼女のものは知っていたし、『崩れ』がその中でとりわけいいとは思わないんですが――あそこには奇妙な感性があって、高い山ではなくて、深い穴のようなところに人を吸い寄せる何かがあったわけです。不気味なことだなあと思いながら、ほんとはこういうことをやっちゃいけないのじゃないかと思いつつ、しかし引きつけられるままに書いてしまった。そうしたら、それがブームになったというので、恥じましたね(笑)。

  • 文没後、一人娘の青木玉は『小石川の家』(講談社、1994)を刊行。岩波書店版『幸田文全集』の編集委員でもある。後年に平凡社で編著『幸田文しつけ帖』など、新潮社で『幸田文の箪笥の引き出し』も刊行。孫の青木奈緒もドイツ文学出身の随筆家。
  • 2013年10〜12月、世田谷文学館にて、初の本格的展覧会『「幸田文」展 -会ってみたかった。』が開催された[22]

著作[編集]

生前に出版された単行本[編集]

  • 『父 その死』 中央公論社、1949、のち『父・こんなこと』新潮文庫
  • 『こんなこと』 創元社、1950、のち『父・こんなこと』新潮文庫 改版
  • 『みそつかす』 岩波書店、1951 のち岩波文庫 
  • 黒い裾』 中央公論社、1955 のち新潮文庫、講談社文芸文庫  
  • 『さゞなみの日記』 中央公論社、1956 のち講談社文芸文庫  
  • 『ちぎれ雲』 新潮社、1956 のち講談社文芸文庫 
  • 『包む』 文藝春秋新社、1956 のち講談社文芸文庫  
  • 流れる』 新潮社、1956 のち新潮文庫 改版
  • おとうと』 中央公論社、1956 のち新潮文庫 改版 
  • 『<流れる>おぼえがき』 塩谷賛編 経済往来社、1957
  • 『笛』 中央公論社、1957 
  • 『身近にあるすきま』角川新書 1957 
  • 『猿のこしかけ』 新潮社、1958 のち講談社文芸文庫  
  • 『番茶菓子』 東京創元社、1958 のち講談社文芸文庫  
  • 『駅』 中央公論社、1959 のち講談社文芸文庫  
  • 『草の花』 中央公論社、1959 のち講談社文芸文庫  
  • 『北愁』 新潮文庫、1972 復刊1998、のち講談社文芸文庫
初刊『現代の文学 幸田文 集』河出書房新社、1966
  • 『闘』 新潮社、1973 のち新潮文庫 
生前に編まれた選集など
  • 『幸田文全集』全7巻、中央公論社、1958-59。浦野理一装幀
  • 『現代日本文學体系69 林芙美子・宇野千代・幸田文集』 筑摩書房、1969
  • 『新潮日本文学38 幸田文集』 新潮社、1973
  • 『現代日本文学 幸田文集』 筑摩書房、1977
  • 『新潮現代文学34 幸田文 流れる・闘』 新潮社、1980

没後に出版された単行本[編集]

  • 『崩れ』 講談社、1991 のち講談社文庫 
  • 『木』 新潮社、1992 のち新潮文庫 改版
  • 『台所のおと』 講談社、1992 のち講談社文庫 改版
  • 『季節のかたみ』 講談社、1993 のち講談社文庫 
  • 『きもの』 新潮社、1993 のち新潮文庫 改版
  • 『雀の手帖』 新潮社、1993 のち新潮文庫  
  • 『月の塵』 講談社、1994 のち講談社文庫  
  • 『動物のぞき』 新潮社、1994 のち新潮文庫
  • 『幸田文 対話』 岩波書店、1997 のち岩波現代文庫(増補版、上下)
  • 『回転どあ・東京と大阪と』 講談社文芸文庫、2001
  • 『男』 講談社文芸文庫、2020。解説青木奈緒、山本ふみこ
没後に編まれた作品集など
  • ちくま日本文学全集 51 幸田文』 筑摩書房、1993年4月
  • 『作家の自伝99 幸田文 みそっかす/草の花(抄)』 橋詰静子編、日本図書センター、1999年4月
  • 『ふるさと隅田川』 金井景子[23]、ちくま文庫 2001年1月
  • 『台所のおと みそっかす』 青木奈緒[24]、岩波少年文庫、2003年6月
  • 『幸田文 しつけ帖』 青木玉[25]、平凡社、2009年2月
  • 『幸田文 台所帖』 青木玉編、平凡社、2009年3月
  • 『幸田文 きもの帖』 青木玉編、平凡社、2009年4月
  • 『幸田文 季節の手帖』 青木玉編、平凡社、2010年2月
  • 『幸田文 旅の手帖』 青木玉編、平凡社、2010年3月
  • 『幸田文 どうぶつ帖』 青木玉編、平凡社、2010年4月
  • 『精選女性随筆集 幸田文』 川上弘美選、文藝春秋[26]、2012年2月/文春文庫、2023年9月
  • 『幸田文 老いの身じたく』 青木奈緒編、平凡社、2022年1月
  • 『幸田文 生きかた指南』 青木奈緒編、平凡社、2022年3月

全集[編集]

  • 『幸田文全集』全23巻、岩波書店、1994-97年
  1. 父 こんなこと
  2. みそつかす 齢
  3. 草の花 黒い裾
  4. さゞなみの日記 包む
  5. 流れる 蜜柑の花まで
  6. 身近にあるすきま 卒業
  7. おとうと 笛
  8. 猿のこしかけ 群犬
  9. 駅 栗いくつ
  10. 回転どあ 東京と大阪と
  11. 雀の手帖 男
  12. 動物のぞき あじの目だま
  13. 北愁 台所のおと
  14. 茶碗の塔 祝辞
  15. 机辺 呼ばれる
  16. 闘 しのばず
  17. きもの ひょうたん
  18. おんな十二ヵ月 くらしのうちそと
  19. 木 季節のうつろい
  20. ございません 春はまだ寒く
  21. 崩れ 私のいい男ばなし
  22. 雑纂1。付録・講演カセットテープ
  23. 雑纂2。著作年表、総目索引ほか
別巻(2003年)、作品補遺 書簡 斑鳩の記

参考文献[編集]

  • 板垣直子 「幸田文」『明治・大正・昭和の女流文学』 桜楓社、1967年
  • 長谷川泉 「幸田文」『女流文芸研究』(馬渡憲三郎編)、南窓社、1973年
  • 青木玉 『小石川の家』 講談社、1994年、講談社文庫、1998年
  • 『幸田文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68』 新潮社、1995年1月
  • 青木玉 『幸田文の箪笥の引き出し』 新潮社、1995年5月、新潮文庫、2000年
  • 東京人 january 1996 no.100 - 特集「幸田家の人びと。」明治の遺産』 都市出版、1995年12月
  • 青木玉 『祖父のこと 母のこと』 小沢書店、1997年11月、
    • 改題 『記憶の中の幸田一族 青木玉対談集』 講談社文庫、2009年5月
  • 金井景子ほか編 『幸田文の世界』 翰林書房、1998年10月
  • KAWADE夢ムック 文藝別冊 幸田文没後10年 総特集』 河出書房新社、2000年12月
    • 『文藝別冊 増補新版 幸田文 生誕110年、いつまでも鮮やかな物書き』 河出書房新社、2014年6月
  • 深谷考編 『幸田文のかたみ』 青弓社、2002年10月
  • 由里幸子 『女性作家評伝シリーズ 幸田文』 新典社、2003年9月
  • 村松友視 『幸田文のマッチ箱』 河出書房新社、2005年7月、河出文庫、2009年3月
  • 市川慎子 「幸田文のお総菜」『作家の食卓』 平凡社〈コロナブックス〉、2005年7月
  • コロナブックス編 「幸田文とふたつボン」『作家の猫』 平凡社〈コロナブックス〉、2006年6月
  • 藤本寿彦 『幸田文「わたし」であることへ‐「想ひ出屋」から作家への軌跡をたどる』 翰林書房、2007年
  • 岸睦子 『日本の作家100人 幸田文 人と文学 』 勉誠出版、2007年10月
  • 近藤富枝 「幸田文・血縁のなせる業」『文士のきもの』 河出書房新社、2008年11月
  • 橋本敏男 『幸田家のしつけ』 平凡社新書、2009年2月
  • 青木奈緒 『幸田家のきもの』 講談社、2011年2月
  • 藤本寿彦 『幸田文「台所育ち」というアイデンティティー』田畑書店、2017年9月

脚注[編集]

  1. a b 史上初の大調査 著名人100人が最後に頼った病院 あなたの病院選びは間違っていませんか”. 現代ビジネス (2011年8月17日). 2019年12月22日閲覧。
  2. a b c d e f g h 幸田文 『北愁』 講談社文芸文庫、2013年、年譜
  3. a b c d e f g 『幸田文展 図録』 世田谷文学館、2013年、年譜
  4. a b 由里幸子 「不和の家」「文豪の記録」『女性作家評伝シリーズ13 幸田文』 新典社、2003年
  5. ^ 「落第と入学」『草の花』講談社現代文庫
  6. ^ 継母八代がリウマチのため家事が困難になってきていたことも理由
  7. ^ 村松友視 『幸田文のマッチ箱』
  8. ^ 東京朝日新聞でとりあげられた。昭和11年12月26日号記事「酒仙・露伴博士の 令嬢が酒店を開業 奥様業から街頭に」
  9. ^ 岩波書店版『幸田文全集 第23巻』 年譜
  10. ^ 『市川の幸田露伴一家と水木洋子脚色の〈おとうと〉』市川市文学プラザ 2008年
  11. ^ 夕刊毎日新聞、1950年4月14日号記事「私は筆を断つ」
  12. ^ 成瀬巳喜男によって映画化された『流れる』は1956年に第11回芸術祭文部大臣賞を受賞している
  13. ^ 岩波書店版『幸田文全集 第23巻』 年譜
  14. ^ 岩井寛『作家の臨終・墓碑事典』(東京堂出版、1997年)137頁
  15. ^ 岸睦子『日本の作家100人 幸田文』 p.201
  16. ^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 幸田文』 p.94
  17. a b 青木奈緒 「本のきもの」『幸田家のきもの』 講談社
  18. ^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 幸田文』新潮社、p.75
  19. ^ 『幸田文の箪笥の引き出し』 p.129
  20. ^ 「幸田格子一反を百名様に贈呈 -中央公論社版全集と幸田格子-」『幸田文の世界』
  21. ^ Hasumi, Shigehiko; 蓮實重彥 (1994). Tamashii no yuibutsuronteki yōgo no tame ni. Tōkyō: Nihon Bungeisha. ISBN 4-537-05031-4OCLC 40967804
  22. ^ 世田谷文学館 プレスリリース
  23. ^ 川、海、水に関する著作の選集
  24. ^ 抄編を含む短編選集
  25. ^ 各テーマに関する著作の選集(シリーズ全6冊)
  26. ^ 全12巻で、第1巻目

外部リンク[編集]


===

사치다 문

출처: 무료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
사치다 문
(코다 아야)
1950년(쇼와 25년)의 사치다분
탄생1904년 9월 1일 일본 도쿄 부 미나미카츠시카군 테라시마무라 (현· 도쿄도 스미다구 )
일본의 국기
사망1990년 10월 31일 (86세몰) 일본 이바라키현 이시오카시 (이시오카 제일병원) [1]
일본의 국기
묘지이케가미 혼몬지 ( 도쿄도 오타구 )
직업소설가 , 수필가
언어일본어
국적일본의 국기 일본
활동기간1947-1990
장르소설 , 수필
주제노동 연구 자료 편집
대표작『이런 일』( 1950
년 )
미소 카스 1951 년 )


주요 수상 경력요미우리 문학상 (1956년)
신시오샤 문학상 (1956년)
일본 예술원상 (1957년)
여류 문학상 (1973년)
일본 예술원 회원(1976년) 훈삼
등 서보장 (1990년, 몰후)
데뷔작『잡기』(1947년)
배우자미바시 기노스케(1928년~1938년)
어린이아오키타마 (장녀)
친족사치다 노반 (아버지)
아오키 나오 (손자, 구슬의 장녀)
타카기 타쿠 (종제)
 위키 포털 문학
템플릿 보기

사치다 문 (코다 아야, 1904년 < 메이지 37년> 9월 1일 - 1990년 < 2008 년> 10월 31일 )는 일본 의 수필가 · 소설가 . 위층 은 종4위 . 일본 예술원 회원.

도쿄도 출생. 사치다 노동 차 차녀. 여자 학원 졸업. 아버지 노동의 사후, 「잡기」 「종료」 「장송의 기」등의 회상문으로 문단에 등장. 이후 소설도 써 ' 검은 옷자락 ', ' 흐르는 ' 등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섬세한 감성과 관찰 눈, 에도 앞의 찢어진 좋은 문체가 특징. 때때로 신변잡기나 동식물에 대한 친숙함 등을 철자한 수필의 평가도 높고, 『이런 일』『미소카스』나, 몰후 간행된 『무너져』『나무』등의 다수의 작품집이 있어,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그 밖에 영상화 가 많은 ' 오토우토 '도 알려져 있다.

내력 편집 ]

작가의 사치다 노반 , 모기미(키미)의 차녀로서 도쿄 부 미나미카츠시카군 테라시마무라(현재의 도쿄도 스미다구 히가시 무카시마 )에 태어난다 [2] [3] . 1910년, 5살 때 어머니를, 1912년, 8살 때 언니의 노래를 잃는다. 1912년에 아버지의 노동이 코다마 야쓰시로(야요)와 재혼. 1917년에 테라지마 초등학교 를 졸업. 도쿄 여자 고등 사범학교 수험에 실패하지만, 야쓰시로의 길에 의해 여자 학원 에 입학 [4] [5] . 그 해 여름방학부터 노동에 의한 생활기술의 교육을 받게 된다 [2] [3] [6] . 1926년, 22세 때에 동생의 성풍(시게토요)도 잃는다 [2] [3] .

1928년, 24세에 청주 도매상 미바시가의 3남 기노스케와 결혼해, 다음해 딸의 구슬( 아오키 구슬 )이 태어난다 [2] [3] . 그러나 결혼 후 8년 후 가업이 기울어져 폐업 [7] . 1936년, 츠키지에서 회원제 소매 주점을 운영한다 [8] 도 1938년에 이혼, 딸의 구슬을 데리고 아버지에게 돌아온다 [2] [3] . 전시 중에는, 노동의 생활 물자의 확보를 위해서 일하고(그 일단은 아오키타마의 회상기 「코이시카와의 집」( 고단샤 의 후문고화)에 상세하게 기술되고 있다), 소녀시대부터 노동에 몰려 한 생활 기술을 실천해 갔다.

1945년, 노동, 구슬과 함께 노반의 재혼 상대였던 야쓰시로(야요)의 별거처의 나가노현에 소개. 그 후, 노동을 이토로 옮겨, 문장과 구슬은 토바시 이치히코 택에 일시 머물 뒤, 1945년 10월, 지바현 이치카와시 스가노에 집을 빌려 옮겨 살았다. 1946년 1월 28일, 노반을 스가노의 집으로 옮겼다 [9] .

이치카와 시대의 노동은 고령으로 백내장이었기 때문에, 잠자는 생활이었다. 그런 노동의 모습을, 문장은 「잡기」로서 집필. 이것이 문필가로서의 탄생이었다. '잡기'는 노동의 80세 기념으로 발행될 예정이었지만, 1947년 7월 30일, 80세의 1주일 후에 노반 사망 때문에, 노반은 '잡기'를 보지 않았다 [10] . .

노반의 추억이나 간취의 기록을 중심으로 한 「종료」를 발표. 이후 『아버지』, 『이런 일』, 1949년에는 어린 시절의 추억을 쓴 『미소카스』를 연재하는 등의 수필집을 출판해 주목받았다.

그러나, 1950년에 단필 선언 [11] 을 하고, 다음해 야나기바시 의 게이샤 두옥 에 살아 여중으로서 일했지만, 병 때문에 약 2개월로 귀가한다 [3] . 그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1955년부터 연재한 장편 소설 『흐르는』(1956년 간행)에서 1956년 제3회 신시오샤 문학상 수상, 1957년 쇼와 31년도 일본 예술원상을 수상 했다 3] [12] . 또, 「검은 옷자락」으로 1956년 에 제7회 요미우리 문학상 수상, 「투」에서 제12회 여류 문학상을 수상했다 [2] . 1976년에 일본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2] .

1965년의 여름, 나라현 반 비토 초의  륜지 스미나 이노우에 게이각에서, 소실한 삼중탑의 재건에 대해 이야기를 들은 것을 계기로, 관공청에의 탄원·신청이나 모금 활동에 진력. 그 후 스스로도 나라로 옮겨 살고 작업에도 참가하는 등 해, 1975년에 재건되었다 [13] .

1988년 5월부터 뇌충혈로 집에서 요양. 그 후는 이바라키현 이시오카시 의 노인홈에 입소. 1990년 10월 29일에 심근경색을 발병하여 인접한 이시오카 다이이치병원에 입원. 2일 후인 10월 31일, 심부전 에 의해 86세로 사망 [1] [2] [14] . 서종 4위 , 훈삼 등 서보장 추증 [15] [16] .

에피소드 편집 ]

사치다가 쓰쿠바대학 부속초등학교 의 일본정원 「점춘원」에 심어진 것을 나타내는 간판
  • 「잡기」의 쓰기
    만년의 노반의 조수로서 노동가에 다니고 있던 시오야 찬 (본명:도바시 토시히코)의 소개에 의해, 문예 잡지 “예림 섬보” 편집자 노다 우타 로로부터 1947년(쇼와 22년) 8월 1일 발행의 “ '노동선생기념호'에 80세 노동 근황을 적어달라는 의뢰에 의한다. 노동 존명중의 같은 해 4월, 5월에 쓰여진 것으로, 문장은 노반의 눈에 들어가는 것을 두려워했지만, 실제로는 발행 직전의 같은 해 7월 30일에 노반이 사망했기 때문에 이 잡지 눈에 띄지 않았다 [4]
  • 사치다 격자
    사치다 격자란 중앙공론사판 『코다문 전집』의 표지 커버가 된 직물의 무늬이며, '차와 얇은 쥐의 子持ち格子'이다 [17] [18] . 사치다 문과 좋아하는 무늬인 줄무늬 기모노 [19] 의 조합이라는 개념에서 전집을 위한 표지 천으로 사용되었다. 염직가 우라노 리이치 의 작. 사용 된 직물은 모두 손으로 짠 것이었다 [17] . 덧붙여 전집 완결 기념으로서 「코다 격자 일반을 백명에게 증정」이라고 하는 기획도 행해졌다 [20] .
  • 아버지의 출신교이기도 한 쓰쿠바대학 부속초등학교 에 병설되어 있는 '점춘원'에 '코토리가 좋아하는 열매가 되는 나무'를 심었다.
  • 연하 시게코 는 ' 문예 ' 1990년 춘계호~1992년 동계호에서 문예 시평을 했고, 거기서 사치다 문 '무너짐'을 거론하고 몰후의 붐으로 이어졌다. 연꽃은 다카하시 겐이치로 와의 대담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21]

    사치다 문『붕괴』를 읽어 보면――물론 나는 전부터 그녀의 것은 알고 있었고,『붕괴』가 그 중에서 특히 좋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만――저기에는 이상한 감성이 있어, 높은 산이 아니고, 깊은 구멍 같은 곳에 사람을 들이마시는 무언가가 있었던 것입니다. 소름 끼치는 것이구나라고 생각하면서 , 정말로 이런 일을 해 버리지 않는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하면서 , 그러나 끌어당기는 채로 써 버렸다. 그랬더니 그것이 붐이 되었다고 해서 부끄러웠어요(웃음).

  • 문몰 후, 한 딸의 아오키타마 는 '코이시카와의 집'(고단샤, 1994)을 간행. 이와나미 서점판 「유키다 문전집」의 편집 위원이기도 하다. 후년에平凡社에서 편저 『고다후미 츠츠케 첩』 등 신시오샤 에서 『고다후미의 箪笥의 서랍』도 간행. 손자의 아오키 나오 도 독일 문학 출신의 수필가.
  • 2013년 10~12월 세타가야 문학관 에서 첫 본격적인 전시회 ''고다후미'전' - 만나고 싶었다. 』가 개최되었다 [22] .

저작 편집 ]

생전에 출판된 단행본 편집 ]

  • 『아버지 그 죽음』중앙공론사 , 1949, 나중에 『아버지·이런 일』신시오 분고
  • 「이런 일」창원사 , 1950, 나중에 「아버지·이런 것」신시오 문고 개판
  • 미소 츠카스 이와 나미 서점 , 1951 년 이와 나미 문고 
  • 검은 옷자락」 중앙 공론사, 1955 이후 신시오 분고, 코단샤 문예 문고  
  • 『사즈나미의 일기』 중앙공론사, 1956 이후 코단샤 문예문고  
  • 『치기레운』 시오샤, 1956 이후 코단샤 문예문고 
  • 『감싸는』분예 춘추 신사, 1956 이후 코단샤 문예문고  
  • 흐르는』 신시오샤, 1956 이후 신시오 분고 개판
  • 오토 토』 중앙공론사, 1956 이후 신시오 문고 개판 
  • "<흐르는> 유령"시오야 찬편 경제 왕래 사, 1957
  • 「휘리」 중앙 공론사, 1957 
  • "친근한 틈새"카도카와 신서 1957 
  • 「원숭이의 문지름」 신시오샤, 1958 이후 코단샤 문예 문고  
  • 『반다 과자』도쿄 창원사 , 1958 이후 코단샤 문예 문고  
  • 『역』 중앙공론사, 1959 이후 코단샤 문예문고  
  • 『풀꽃』 중앙공론사, 1959 이후 코단샤 문예문고  
  • 『북수』 신시오 분고, 1972 복간 1998, 나중에 코단샤 문예 문고
초간『현대의 문학 사치다 문집』카와데 서방 신사 , 1966
  • 『투』 신시오샤, 1973 이후 신시오 분고 
생전에 짠 선집 등
  • 『유키다 문전집』전 7권, 중앙공론사, 1958-59. 우라노 리이치 장폐
  • 『현대 일본 문학 체계 69 하야시 부미코・우노 치요・유키다 문집』 쓰쿠마 서방, 1969
  • 『신시오 일본문학 38 사치다 문집』 신시오샤, 1973
  • 『현대 일본 문학 사치다 문집』 쓰 쿠마 서방 , 1977
  • 『신시오 현대문학 34 사치다문 흐르는 투투』 신시오샤, 1980

몰후 출판된 단행본 편집 ]

  • 「붕괴」코단샤 , 1991 이후 코단샤 문고 
  • "목조" 신초샤, 1992년 のち 신초 문고 개정판
  • 「부엌의 친구」 코단샤, 1992 이후 코단샤 문고 개판
  • 『계절의 모습』 코단샤, 1993 이후 코단샤 문고 
  • 『기모노』 신시오샤, 1993 이후 신시오 분고 개판
  • 『참새의 수첩』 신시오샤, 1993 이후 신시오 분고  
  • “달의 먼지” 코단샤, 1994 이후 코단샤 문고  
  • "동물의 엿보기" 신시오샤, 1994 이후 신시오 분고
  • 『유키다 문 대화』 이와 나미 서점 , 1997 이후 이와 나미 현대 문고 (증보판, 상하)
  • 「회전 도아 · 도쿄와 오사카와」 코단샤 문예 문고, 2001
  • 『남자』 코단샤 문예문고, 2020. 해설 아오키 나오, 야마모토 후미코
몰후에 짠 작품집 등
  • 치쿠마 일본 문학 전집 51 사치다 문』 쓰쿠마 서방, 1993년 4월
  • 『작가의 자전 99 사치다 문 미소카스/풀꽃(초)』교교 시즈코편 , 일본 도서 센터 , 1999년 4월
  • 『고향 스미다가와』가나이 케이코 편 [23] , 치쿠마 문고 2001년 1월
  • "부엌의 어른 미소카스" 아오키 나오 편 [24] , 이와나미 소년 문고, 2003 년 6 월
  • 「코다 文 しつけ帖」아오키 타마 편 [25] , 平凡社, 2009 년 2 월
  • 「유키다 문 부엌 첩」 아오키 타마 편, 히라 범사, 2009 년 3 월
  • 「유키다 문 기모노 첩」 아오키 타마 편, 히라 범사, 2009 년 4 월
  • 「유키다 문 계절의 수첩」 아오키 타마 편, 평범사, 2010 년 2 월
  • 「유키다 문 여행의 수첩」 아오키 타마 편, 히라 범사, 2010 년 3 월
  • 「유키다 후미토부츠 첩」 아오키타마편, 헤이린샤, 2010년 4월
  • 「정선 여성 수필집 사치다 후미」가와카미 히로미 선, 문예 춘추 [26] , 2012년 2월/ 분춘 문고 , 2023년 9월
  • 「유키다 후미 노인의 몸을 쌓고 싶다」
  • 「유키다 文 生きたた 指南」 아오키 나오 편, 平凡社, 2022 년 3 월

전집 편집 ]

  • 『고다후미 전집』전 23권, 이와나미 서점, 1994-97년
  1. 아버지 이런 일
  2. 미소츠카스 나이
  3. 잔디 꽃 검은 밑단
  4. 사나미의 일기 싸다
  5. 흐르는 밀감의 꽃까지
  6. 가까운 틈새 졸업
  7. 오토와 피리
  8. 원숭이의 문지름 군 개
  9. 역 밤 몇
  10. 회전 도오 도쿄와 오사카
  11. 참새의 손길 남자
  12. 동물 엿보기 수국 눈
  13. 북수 부엌의 동
  14. 찻잔의 탑 축사
  15. 책상 부르다
  16. 싸움
  17. 기모노 효탄
  18. 12 개월 삶의 생활
  19. 나무 계절의 우울함
  20. 없음 봄은 아직 춥다.
  21. 무너져 내 좋은 남자 바나
  22. 잡찬 1. 부록·강연 카세트 테이프
  23. 잡찬 2. 저작권 연표, 총 눈 색인 외
별권(2003년), 작품 부록 서간 반비둘기

참고 문헌 편집 ]

  • 이타가키 나오코「유키다 후미」「메이지・다이쇼・쇼와의 여류 문학」사쿠라 카에데샤 , 1967년
  • 하세가와 이즈미「유키다 후미」 「여류 문예 연구」(마도 겐사부로 편), 미나미창사, 1973년
  • 아오키타마 “코이시카와의 집” 코단샤 , 1994년, 코단샤 문고 , 1998년
  • 「유키다 후미 신조 일본 문학 앨범 68」신시오샤 , 1995년 1월
  • 아오키타마 『코다 문의 箪笥의 서랍』 신시오샤, 1995년 5월, 신시오 문고 , 2000년
  • 도쿄인 january 1996 no.100 - 특집 ‘고다가의 사람들.’ 메이지의 유산’ 도시 출판 , 1995년 12월
  • 아오키타마 『할아버지의 어머니의 것』오자와 서점 , 1997년 11월,
    • 개제 『기억 속의 사치다 일족 아오키타마 대담집』 코단샤 문고, 2009년 5월
  • 가나이 케이코 외편 『코다 문의 세계』 하림 서방, 1998년 10월
  • KAWADE夢ムック 文藝別冊 幸田文没後10年総特集』가와 데 서방 신사 , 2000년 12월
    • 「문예별책 증보 신판 사치다 후미 탄생 110년, 언제까지나 선명한 물건」 가와데 서방 신사, 2014년 6월
  • 후카야 고편 『고다 후미노카타미』아오미샤 , 2002년 10월
  • 유리코 사치코 「여성 작가 평전 시리즈 사카다 후미」신전사 , 2003년 9월
  • 무라마츠 토모시「코다 문의 성냥갑」 카와데 서방 신사, 2005년 7월, 카와데 문고 , 2009년 3월
  • 이치카와 신코 「고다 후미노소나」 「작가의 식탁」평범사〈코로나북스〉, 2005년 7월
  • 코로나 북스 편 「코다 문과 두 봉」 「작가의 고양이」 히라 범사 <코로나 북스>, 2006 년 6 월
  • 후지모토 토모히코『사키다 후미「나」인 것에-「상히데야」에서 작가로의 궤적을 따라간다」
  • 기시코 『일본의 작가 100명 사치다 문 사람과 문학』공부 출판 , 2007년 10월
  • 콘도 토미에다「코다 문・혈연이 이루는 업」 「문사의 기모노」 카와데 서방 신사, 2008년 11월
  • 하시모토 토시오 『고다가의 징계』 히라범사 신서 , 2009년 2월
  • 아오키 나오 『고다가의 기모노』코단샤 , 2011년 2월
  • 후지모토 토모히코 『코다 후미「부엌 성장」이라는 정체성』 타바타 서점, 2017년 9월

각주 편집 ]

  1. b “ 사상 최초의 대조사 저명인 100명이 마지막으로 의지한 병원 당신의 병원 선택은 잘못 되었습니까? ”. 현대 비즈니스 (2011년 8월 17일). 2019년 12월 22일 열람.
  2. h 사다다 후미 「키타스이」 코단샤 문예 문고, 2013년, 연보
  3. g 『유키다 문전 도록』 세타가야 문학관, 2013년, 연보
  4. ↑ b 유리코 사치코 「불화의 집」 「문호의 기록」 「여성 작가 평전 시리즈 13 사치다 후미」 신전사, 2003년
  5.  “낙제와 입학” “풀의 꽃” 코단샤 현대 문고
  6. ^ 계모 야쓰시로가 류마티스 때문에 가사가 어려워지고 있었던 것도 이유
  7. ^ 무라마츠 토모시 『유키다 문의 매치 박스』
  8.  도쿄 아사히 신문에서 잡혔다. 쇼와 11년 12월 26일호 기사 “주선·노반 박사의 영양이 주점을 개업 부인업으로부터 가두에”
  9. ^ 이와나미 서점판 「코다 몬 전집 제23권」 연보
  10. ^ “이치카와의 사치다 노반 일가와 미즈키 요코 각색의 <오토토>” 이치카와시 문학 플라자 2008년
  11.  석간 매일 신문, 1950년 4월 14일호 기사 “나는 붓을 끊는다”
  12. 나루세 토키키 에 의해 영화화된 '흐르는'은 1956년에 제11회 예술제 문부 대신 상을 수상하고 있다
  13. ^ 이와나미 서점판 「코다 몬 전집 제23권」 연보
  14. ↑ 이와이 히로시 “작가의 임종·묘비사전”(도쿄도 출판, 1997년) 137페이지
  15.  키시 히코 「일본의 작가 100명 사치다 후미」p.201
  16.  『신시오 일본 문학 앨범 사치다 후미』 p.94
  17. b 아오키 나오 “책의 기모노” “유키타가의 기모노” 코단샤
  18.  『신시오 일본 문학 앨범 사치다 후미』 신시오샤, p.75
  19.  『유키다 문의 箪笥의 서랍』 p.129
  20.  「코다 격자 일반을 백명에게 증정 -중앙 공론사판 전집과 사치다 격자-」 「유키다 문의 세계」
  21. ↑ Hasumi, Shigehiko; 연꽃 중언 (1994). Tamashii no yuibutsuronteki yōgo no tame ni . Tōkyō: Nihon Bungeisha. ISBN  4-537-05031-4 . OCLC 40967804 
  22. 세타가야 문학관 보도 자료
  23.  강, 바다, 물에 관한 저작 선거
  24.  초편을 포함한 단편 선집
  25.  각 테마에 관한 저작의 선집(시리즈 총 6권)
  26.  전 12권으로, 제1권째

외부 링크 편집 ]

===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