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27

인남식 - 나무위키

인남식 - 나무위키
인남식
출생
학력
여의도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 / 학사)
연세대학교 (정치학 / 석사)
더럼 대학교 (중동정치학 / 박사)
현직
국립외교원 아중동연구부 부장
경력
연세대학교 강사
숙명여자대학교 강사
외교부 외교안보연구원 조교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초빙교수


==
▶ 인남식 교수 프로필


인남식 교수의 나이는 1968년 8월 16일생이다 고향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서울에서 고등학교를 졸
업한 것으로 보아 서울로 추정된다 학력은 여의도고등학교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학사석사 더럼
대학교 중동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력은 연세대학교와 숙명여대 강사 외교부 외교안보연구
원 조교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초빙교수를 거쳐 현재 국립외교원 아중동연구부 부장을 맡고
있다
인남식 교수는 국내에 몇 안 되는 중동아랍지역 전문가다 삼프로TV <중동학개론>을 통해 유명세
를 탔으며 사실 그전부터 권위자로 불리던 명사다 유튜브 채널을 통해 이름이 더 알려졌고 인남식
교수의 강의를 통해 중동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현재 국립외교원에서 여러 나라의 대사관에 파견 될 외교관을 상대로 강의를 하고 있다 인남식 교수
는 중동지역 국제관계 미국 및 유럽의 중동정책 지정학 테러리즘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아랍의 봄 그 후 10년의 흐름』
『지정학적 시각과 한국외교』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중동의 정세와 역사 정치외교적 역학 관계를 연구하고 이를 알리는데
주력하고 있다 특유의 차분한 말투와 쉬운 강의로 전공자는 물론 대중에게도 어필하고 있는 연구자
▶ 미지의 지역 중동아랍
인남식은 여의도고등학교 졸업 후 1987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했다 학부 졸업 후 대학
원에 진학해 1996년 「중동지역의 지배 전환 이데올로기에 관한 연구  아랍 민족주의와 이슬람 원리
주의 비교 고찰」이라는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정치학계에서 비주류였던 중동 정치를 전공했는데 당시 <김선일 사건>으로 외교부 내 중동전문가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하던 때 였다 2004년 무역업을 하던 김선일 씨가 이라크 저항세력에 납치되었
고 한국 정부는 모든 역량을 동원해 석방하려 했다
납치사건 발생 후 외교차관을 반장으로 해 긴급 대책반이 가동되었고 국외테러대책본부가 설치됐
다 이라크 저항세력은 한국군의 파병 철회를 요구했는데 NSC국가안전보장회의는 파병철회는 불
가하다고 공표했다 장재룡 외교부 본부대사 반기문 외교장관 등이 김선일 씨의 석방을 위해 노력했
으나 22일 만에 사망한 채 발견되었다
이후 아프가니스탄 피랍 사건 아랍지역 파병 아랍 혀명 이란과 이스라엘의 갈등 격화 등이 국제 분
쟁화 되어 국내 관심도 높아졌다 이에 많은 언론사에서 중동아랍지역 전문가의 필요성에 대해 문제
제기를 했다
▶ 중동아랍 전문가 인남식 교수
인남식은 석사학위 취득 후 영국 더럼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해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
문은 「Authoritarianism in Egypt and South Korea  Praetorian Regimes of Gamal Abdul
Nasser and Chung Hee Park」으로 이집트와 한국의 권위주의를 연구했다
어렵게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에 돌아와 시간강사 생활을 했다 5군데나 다니며 하루하루를 어렵게
보냈다고 한다 사실 영국으로 유학을 가기 전 연세대 지도교수님은 중동 전공을 만류했다 비주류
지역이었기 때문에 제자가 먹고살 길이 없다고 판단하셨기 때문이다
중동아랍 관련 교수 자리는 얼마 되지도 않았지만 그마저도 아랍어 전공자들이 차지하고 있었다 그
럼에도 인남식은 중동 연구를 고집했고 이에 지도 교수님은 추천서를 써주면서도 돌아와서도 어떻
게 살지에 대해 한탄을 하셨다고 한다 제자를 아끼던 스승의 한탄이었다
박사학위를 받고 돌아온 인남식은 현실의 벽에 부딪혔다 채용공고를 보고 지원했지만 중동아랍지
역 전공자는 비선호 대상이었고 지원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1994년 결혼해 아들이 둘이나 있
던 인남식은 생계를 걱정해야 할 정도로 힘든 시절을 겪었다
그래서 가리지 않고 강의를 맡았다 젊은 인남식 박사는 여러 학교를 전전하며 시간강사로 학생들을
가르쳤다 정치학 분야를 가르쳤지만 정작 중동학계에서는 그리 환영받지 못했다 아럽어과를 졸업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치학을 가르치긴 했지만 중동아랍 정치에 대한 수요는 거의 없었다 연세
대와 한국외대를 제외하고는 말이다
그렇게 떠돌다 모 재단의 정규직 사무국장으로 취업했다 재단은 동아시아를 연구하는 재단이었는
데 전공을 바꾸라는 권유까지 받았다 당시 모 교수님은 인남식에게 중동 연구자는 희귀하지만 한국
에서는 설 자리가 없다며 동아시아로 전공을 바꾸라고 권유했다 지금까지 연구한 성과는 이론과 방
법론을 적용하기에 충분하니 한국에서는 동아시아 정치를 가르치라고 말씀을 주셨다
당연히 인남식을 걱정해서 조언해 주신 것 이지만 중동에 대한 열정이 식지 않았다 정규직 자리를
얻었지만 중동을 가르치고 싶어 모교 학과목 편성 담당자에게 편지를 썼다 중동 관련 강의가 왜 필
요한지 구구절절 적었고 이듬해 기회가 찾아왔다
2003년 2학기 연세대 학부에서 처음으로 <중동과 이슬람>이라는 과목이 개설되었다 모교에서 후
배들을 가르치게 된 인남식은 시간강사지만 혼신의 힘을 다해 강의했다 당시 만난 제자들은 엘네피
제라는 중동 연구모임을 만들었고 아랍 전문 외교관 해외기업 아랍 주재원 중동 유학생 등을 배출
했다
이후 숙명여대에서도 <중동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정치론>을 강의했고 서울대에서는 <중동아프리
카 지역연구> 수업을 맡았다 2003년에는 외교안보연구원 제3세계 특수지역 정세 연구 용역 공고에
응모해 250만 원의 용역비를 받기도 했다
▶ 급변하는 국제정세
2003년 이라크 전쟁이 터졌고 2004년 김선일 사건이 발생했다 외교부에서는 중동 전문가의 필요성
이 제기되었고 2005년 중동 및 국제안보 분야 조교수를 뽑는 채용 공고가 올라왔다 인남식은 바로
지원했고 4차례의 면접 끝에 채용됐다
인남식 2011 「2011 아랍 정치변동의 성격과 함의」 『국제정치학논집514』 한국국제정치학회
인남식 2016 「미국과 러시아의 대 중동정책 변화 고찰  오바마와 푸틴 정부의 지정학적 중동전략을 중심
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321』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등의 학술지 논문을 비롯해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에서 매년 발행하는 주요국제문제분석지에
중동과 국제 정세에 관한 연구 성과를 공개하고 있다 2005년 입사해 지금까지 국립외교원에서 예비
외교관들을 가르치고 있다 방송에는 거의 출연을 안 했지만 언론사를 통한 기고 활동은 꾸준히 하고
있다
또 앞서 밝힌바와 같이 삼프로 TV <중동학 개론>을 통해 대중들에게 중동 지역에 대한 이해를 쉽게
강의해 큰 호평을 받고 있다 10강으로 이루어진 강의는 조회수가 몇 백만회를 기록할 만큼 큰 관심
을 불러일으켰다 비주류 지역이라고 여겼던 중동 지역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진 것이다


==
인남식
직책연구부장
이메일in@mofa.go.kr전화번호02-3497-7648
연구분야  중동정치, 테러리즘, 에너지안보
학력  연세大 정치외교학 학사
연세大 정치학 석사
英 더럼大 중동정치학 박사
(Institute for Middle Eastern & Islamic Studies)

주요저서[외교안보연구소 발간자료]

▶ 주요국제문제분석

- 2024 가자 사태: 이스라엘의 딜레마와 국제정치적 함의(2024-09, 2024.6.4)
- 2023 가자사태의 추이 및 함의(2023-49, 2024.1.9)
- 최근 아랍에미리트(UAE)의 대외정책 분석: 모하메드 대통령의 리더십을 중심으로(2023-02, 2023.2.15)
-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대미(對美) 관계의 흐름: 바이든 대통령과 빈살만 왕세자의 관계를 중심으로(2022-29, 2022.10.27)
- 2022 비엔나 이란 핵협상 관련 동향과 전망(2022-02, 2022.1.24)
- 탈레반 집권 후 아프가니스탄 내외 역학관계(2021-20, 2021.9.16)
- 바이든 정부 이란 핵합의 복귀 전망(2021-02, 2021.1.28)
- 최근 레바논 복합 위기의 배경과 함의:종파주의 정치제도의 한계(2020-28, 2020.9.22.)
- 2020년 이란 총선의 결과 및 함의(2020-03, 2020.3.9.)
- 중동 COVID-19 확산의 추이 및 함의(2020-16, 2020.7.3.)
- 2019 이스라엘 조기총선의 결과 및 함의(2019-07, 2019.04.24.)
- 미국과 이스라엘의 특수 관계: 인지적 동맹의 배경(2018-23, 2018.06.29.)
- 예멘 내전의 배경, 함의 및 전망(2018-29, 2018.08.24.)
- 미국 중동정책의 변화 추이 및 트럼프 행정부의 신(新)중동구상 전망(2018-43, 2018.11.23.)
- 미국 신행정부의 대(對)중동정책(2017-07, 2017.03.17.)
- ISIS 3년, 현황과 전망: 테러 확산의 불안한 전조(前兆)(2017-24, 2017.06.28.)
- 대(對)카타르 단교 사태에 따른 걸프 역학관계의 변화와 향후 전망(2017-26, 2017.07.19.)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협상의 현황과 전망: ‘양(兩)국가 해법(Two-state Solution)’의 한계와 대안 논의(2017-33, 2017.08.24.)
- 사우디아라비아-이란 간 갈등의 전개 양상과 향후 전망(2016-03, 2016.02.15.)
- 2016년 이란 양대 선거의 함의 및 향후 정세(2016-13, 2016.04.21.)
- ISIL 선전전(宣傳戰, Propaganda War)의 내용과 함의(2016-16, 2016.05.24.)
- 2016 터키 쿠데타 실패의 배경, 함의 및 전망(2016-28, 2016.08.09.)
- 사우디 살만 국왕 체제 등장과 향후 전망(2015-03, 2015.02.24.)
- 2015 이스라엘 총선 결과와 미-이스라엘 관계 전망(2015-09, 2015.04.16.)
- 이란 핵협상 타결의 함의와 전망(2015-19, 2015.07.24.)
- 시리아 사태의 최근 현황과 전망(2014-04, 2014.02.20.)
- 최근 시나이반도 자폭테러사건과 이슬람 테러리즘의 동향(2014-05, 2014.03.05.)
- 2014 아프가니스탄 대선 추이와 한국의 정책 방향(2014-19, 2014.05.29.)
- 이라크 '이슬람 국가(IS, Islamic State)' 등장의 함의와 전망(2014-30, 2014.09.15.)
- 2013 이스라엘 총선거의 함의와 향후 대외정책 전망(2013-12, 2013.04.09.)
- 2013 이집트 정변(政變)의 함의와 전망(2013-24, 2013.08.27.)
- 2013 이란 핵문제 제네바 합의의 함의와 전망(2013-35, 2013.12.20.)
- 최근 이란 경제제재 강화 관련 호르무즈 해협 긴장의 함의와 쟁점(2012-03, 2012.01.31.)
- 최근 시리아 사태의 동향과 역학관계(2012-07, 2012.04.06.)
- 2011 중동 민주화 운동의 원인, 현황 및 전망(2011-12, 2011.05.24.)
- 최근 이슬람 테러리즘 동향과 미국의 대테러 정책 전망(2011-27, 2011.10.06.)
- 최근 예멘 정세 변화와 향후 전망(2010-08, 2010.4.16.)
- 터키 신중동 정책의 함의와 전망(2010-18, 2010.7.5.)
- 2010 이집트 총선 결과와 향후 정국 전망(2010-41, 2011.1.11.)

▶ 정책연구시리즈

- 아랍의 봄 10년: 회고와 성찰(2021-05, 2022.1월)
- 폭력적 극단주의 세력의 토착화 추이:레반트해방기구(Hay’at Tahrir al-Sham, HTS)의 이들리브 정치세력화 과정을 중심으로(2020-01, 2020.12월)
- 시리아 안정화 프로세스:국제정치 역학관계의 함의와 전망(2019-13, 2019.12월)
- 걸프 지역 역학관계 변화:GCC를 중심으로(2018-08, 2018.12월)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협상의 추이와 향후 전망: 양(兩)국가 해법(Two-State Solution)의 미래(2017-03, 2017.12.29.)
- 폭력적 극단주의(Violent Extremism) ISIL의 발호 현황과 전망(2015-02, 2015.12.17.)
- 오바마 행정부의 대중동 정책:아시아 재균형 정책과의 상관성(2014 정책연구과제 2에 수록)
- 중동지역 이슬람 정치세력의 부상현황 및 전망(2013 정책연구과제 1에 수록)
- 아랍 정치변동과 중동 지역 역학관계의 변화(2012 정책연구과제 2에 수록)
- 21세기 신테러리즘의 배경과 현황(2011 정책연구과제 2에 수록)
- 중동지역 종파분쟁에 관한 연구: 이라크를 중심으로(2010 정책연구과제 2에 수록)

▶ IFANS FOCUS(국문)

- 헤즈볼라 지도자 하산 나스랄라 피살의 함의: 이스라엘 이란의 게임 격화(2024-09, 2024.9.30)
- 2024 중동 분쟁의 배경과 전망(2024-06, 2024.8.14)
- 사우디아라비아·이란 관계 정상화의 함의(2023-14, 2023.3.15)
- 2023년 중동 정세 전망(2023-04, 2023.1.18)
- 이란 히잡 거부 시위 확산의 배경과 정치적 함의(2022-23, 2022.9.28)
- 2022 이란 핵합의 재협상의 추이 및 전망(2022-19, 2022.9.16)
- UAE 석유 시설 드론 피습 사건 관련 함의(2022-01, 2022.1.18)
- 아프가니스탄 테러 관련 IS 위협의 함의 및 전망(2021-18, 2021.10.19)
- 최근 아프가니스탄 내외 정세 추이 및 전망 : 미군 철군과 탈레반 복귀 관련(2021-14, 2021.8.17)
- 2021년 이란 대선 결과의 함의와 전망(2021-12, 2021.06.24)
-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 퇴진과 라피드-베네트 연립정부 등장의 배경 및 전망(2021-10, 2021.6.4)
- 최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무력충돌의 배경(2021-07, 2021.5.14)
- 미국-탈레반 평화 합의의 의미(2020-05, 2020.03.03.)
- 이스라엘·UAE 평화협정(아브라함 협정)의 함의(2020-15, 2020.08.28.)
- 사우디아라비아·이란 단교를 둘러싼 종파분쟁의 격화(2016-01, 2016.01.04.)
- 러시아의 시리아 공습 중단 및 전격 철군 발표의 의미(2016-05, 2016.03.21.)
- 사우디아라비아 ‘비전 2030’의 배경과 함의(2016-15, 2016.05.02.)
- 프랑스 니스 테러 사건의 함의와 전망: 확장된 소프트타깃 테러와 일상의 붕괴(2016-35, 2016.07.21.)
- 미·러 간 휴전 파기와 시리아 사태 현황 및 전망(2016-48, 2016.10.14.)
- 미국 트럼프 신행정부의 대(對)중동 정책 기조 전망(2016-60, 2016.12.02.)
- 이란 핵, ‘포괄적 공동행동계획’의 핵심요소 합의(2015-02, 2015.04.16.)
- 최근 시리아 사태의 함의(2012-03, 2012.02.07.)
- 최근 리비아 사태의 현황과 의미(2011-07, 2011.08.24.)
- 최근 미군의 대 탈레반 전략과 함의(2010-09, 2010.3.16.)

▶ IFANS FOCUS(영문)

- The Implications of the Assassination of Hezbollah Leader Hassan Nasrallah: Escalation of the Israel vs. Iran Game(2024-10, 2024.10.8)
- The Crisis in the Middle East 2024: Background and Outlook(2024-09, 2024.9.24)
- The 2022 Iran Nuclear Talks in Vienna: Recent Developments and Outlook(2022-02, 2022.1.24)
- Drone Strikes on UAE Oil Facilities: Overview and Implications(2022-01, 2022.1.18)
- Afghanistan’s Internal and External Dynamics after the Taliban Takeover(2021-17, 2021.9.16)
- The Implications of the 2021 Iranian Presidential Election Results and Outlook(2021-11, 2021.7.5)
- The Biden Administration’s Return to Iran Nuclear Deal: Outlook(2021-01, 2021.1.28)
- 2020 Iranian Legislative Election : Outcome and Implications(2020-03, 2020.03.09.)
- The Status of the Spread of COVID-19 in the Middle East and Implications(2020-15, 2020.07.03.)
-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US-Israel Relationship: Key Underpinnings of the Cognitive Alliance(2018-23, 2018.06.29.)
- Behind the Yemeni Civil War : Implications and Outlook(2018-26, 2018.08.24.)
- Changes in US Foreign Policy in the Middle East and Outlook for Trump's New Middle East Policy(2018-43, 2018.11.23.)
- U.S. Middle East Policy in the Trump Era(2017-07, 2017.03.17.)
- Current Status and Prospect beyond Three Years of ISIS Dominance: An Ominous Prelude to the Spread of Terrorism(2017-30, 2017.06.28.)
- Gulf States' Split with Qatar: Shifting Power Dynamics in the Gulf Region and Outlook(2017-34, 2017.07.19.)
- The Future of Two-state Solution: Limitations and Alternatives(2017-46, 2017.08.24.)
- The Tensions of Sectarian Strife in the Middle East(2016-01, 2016.01.04.)
- The Meaning of Russia’s Decision to Stop Its Airstrikes in Syria and Announcement of Withdrawal(2016-13, 2016.03.21.)
- Implications of the 2016 Parliamentary & Assembly of Experts Election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2016-19, 2016.04.21.)
- The Background and Implications of Saudi Arabia’s “Vision 2030”(2016-20, 2016.05.02.)
- The ISIL’s Propaganda War and its Implications(2016-25, 2016.05.24.)
- Implications of the Nice Attack and Prospects: Expanded Soft-Target Terror Attacks and Disintegration of Everyday Life(2016-58, 2016.07.21.)
- 2016 Turkish Coup Attempt: Background, Implications, and Prospects(2016-63, 2016.08.09.)
- Breach of Ceasefire in and around Aleppo: Current State of and Prospects for the Syrian Crisis(2016-78, 2016.10.14.)
- The Outlook for Trump’s Middle East Policy(2016-94, 2016.12.02.)

▶ IFANS PERSPECTIVES

- The Naturalization of Violent Extremists: With Focus on the Emergence of the Levant Liberation Organization (HTS, Hay'at Tahrir al-Sham) as a Political Entity in Idlib(2021-03, 2021.3.30)
 

==


==
인남식 교수 “네타냐후, 상상 못 할 포석으로 생존게임 할 것···미 대선이 전쟁 변수”
입력 : 2024.04.24 14:59 수정 : 2024.04.24 21:05손우성 기자
뉴스플리
공유하기
글자크기 변경
인쇄하기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200일 인터뷰

“자기 생존 위해 무참히 가치 훼손한 세력들”

미국과 이스라엘 관계는 ‘회복 탄력성’ 보유

이란·이스라엘 모두 긴장과 갈등이 유익한 상황

피해자는 팔레스타인 사람들 “연대 의식 가져야”

인남식 국립외교원 교수가 23일 서울 서초구 국립외교원 연구실에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200일 관련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인남식 국립외교원 교수가 23일 서울 서초구 국립외교원 연구실에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200일 관련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지난해 10월7일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으로 시작된 전쟁이 23일(현지시간) 200일째를 맞았다. 휴전을 위한 국제사회의 총력전이 펼쳐졌지만, 오히려 이스라엘과 이란의 직접 충돌로 비화하며 중동 지역 긴장은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

전망도 어둡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등의 반대에도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라파에 지상군을 투입하겠다고 천명했고, 이를 제어해야 할 유엔 등 국제기구는 사실상 개점 휴업 상태다. 그사이 가자지구에선 3만5000명에 가까운 민간인이 목숨을 잃었고, 220만명의 가자지구 주민 대부분 최악의 인도주의 위기에 처했다.

중동 전문가인 인남식 국립외교원 교수는 23일 서울 서초구 국립외교원 연구실에서 진행한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스라엘과 하마스 기성 정치권을 향해 “자기 생존을 위해 지켜야 할 가치를 무참히 훼손하는 극단의 정치 세력을 이대로 두고 봐야 하는가에 대한 분노가 생긴다”고 안타까워했다. 특히 네타냐후 총리에 대해선 “상상할 수 없는 포석을 갖고 계속 생존 게임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무엇보다 가자지구에서 벌어지는 참상에 대해 ‘연대 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 교수는 한반도 상황이 중동과 다르지 않다면서 “단순히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동정하자는 의미가 아니다. 내 문제라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소식을 들었을 때 심정은.

“무척 놀랐다. 미증유의 사건이다. 하마스는 이스라엘에 항상 로켓 등으로, 그러니까 눈과 눈을 마주치지 않는 공격을 했다. 이번엔 이스라엘 영토에서 사람을 직접 조준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건국 이후부터 지금까지 자신들이 고립돼 있다는 정서가 있고 공격받는 것에 대한 일종의 트라우마가 있어서 피습에 대한 보복과 응징의 수위가 높다. 이스라엘 성정상 가만히 있을 리가 없다고 생각했는데 불행히도 그렇게 됐다.”

-전쟁은 예상대로 진행되고 있는가.

“예상대로다. 하지만 처음엔 국가 대 국가의 분쟁은 일어날 가능성이 적다고 봤다. 이 지역에서 확전을 바라는 국가는 없다. 이란과 이스라엘의 충돌은 상상하기 어려웠다.”

“이란과 이스라엘 모두 공포 느꼈을 것”

-이란과 이스라엘의 ‘그림자 전쟁’은 끝난 건가.

“전례가 없는 본토 공격을 주고받았지만, 계속 충돌하기엔 양쪽 모두 부담이다. 그림자 전쟁 구도는 유지될 거다. 다만 한 번 경험했으니 다시 부딪히기 쉬운 상태가 된 거다.”

-누가 승자인가.

“둘 다 승자다. 우선 이란이 자국 영사부 공격에 대한 보복을 감행하는 과정에서 이라크·레바논·시리아·예멘과 이란 본토 등 다섯 곳에서 미사일이 발사됐다. 5개 발사 지점과 공역, 탄착점 등이 완벽히 조율된 공격이었다. 이스라엘로선 두려운 상황이다. 타격해야 하는 원점이 다섯 군데라는 의미다. 더 큰 비용과 노력을 들여 대공망을 구축해야 하는 처지가 됐다. 반면 이스라엘은 이란 방공 시스템을 정확하게 타격했다. 이란도 공포를 느꼈을 것이다. 이스라엘이 작심하면 미사일 1~2발로 이란의 가장 아픈 부분을 때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추가 충돌 가능성은.

“모두 자제하는 분위기임엔 틀림없다. 불안한 부분은 있다. 이스라엘과 이란 모두 안정과 평화가 자신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보지 않는다는 점이다. 긴장과 갈등이 두 정부엔 모두 유익하다. 그러니 해결책을 찾기보다 일정 정도의 긴장이 유지되길 바란다. 방 안에 가스가 계속 차 있는 느낌이다. 작은 불씨가 언제 터질지 모른다.”

-친이란 세력에도 변화가 있을까.

“국제사회는 이란의 이스라엘 본토 공격을 통해 하마스, 레바논 헤즈볼라 등 무장세력이 이란의 확실한 통제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란은 지금까지 친이란 세력이 도발할 때마다 우리가 시킨 것이 아니라고 항변했다. 이러한 이란 주장의 신뢰도가 떨어졌다. 완벽하게 조율된 공격이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이 지난해 10월18일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이 지난해 10월18일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유럽연합(EU)이 이란을 추가 제재한다. 어떤 여파가 있을까.

“제재 자체가 이란을 뼈아프게 하진 않을 것이다. 이란은 미국 제재만 40년 넘게 받아왔다. 제재 자체보다 이란 국민 처지에서 생각해봐야 한다. 우리가 지금 이렇게 할 때냐는 질문이 나올 수 있다. 석유도 있고, 천연가스도 있고, 위대한 페르시아 문명의 후예인데 정상적으로 국가를 운영했다면 주요 20개국(G20)은 너끈히 들어갈 수 있지 않았겠느냐는 물음이다. 왜 우리가 전 세계 공공의 적이 됐느냐. 경제가 어려워서 한 달에 한 번씩 양고기도 못 사 먹고 있는 판에 하마스 등에 무기를 대줘야 하느냐라는 질문에 체제가 답하기가 어렵다.”

-미국과 이스라엘 관계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둘 사이엔 회복 탄력성이 있다. 복원이 안 되는 관계가 아니다. 이스라엘에 대한 미국의 안보 지원은 계속될 것이고 더 강화할 수도 있다. 다만 화학적 변화가 일어났다고 본다. 미국의 젊은 세대, 특히 민주당 지지층에선 왜 이스라엘을 계속 지원해야 하는지에 대한 회의감이 생겼다. 인권과 자유가 국제 질서의 원칙인데 파시스트 행태를 보이는 이스라엘 극우 내각을 왜 우리가 지켜줘야 하느냐는 질문을 던지기 시작했다. 젊은 세대가 이런 생각을 한다면 향후 이스라엘과의 관계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바이든 대통령이 아랍계·유대계 유권자 사이에서 줄타기해야 하는 상황이다.

“아랍계와 유대계 모두 바이든의 소위 집토끼였다. 그러니 설명을 해야 한다. ‘현재 이스라엘 극우 연정은 이례적인 현상이고 미국의 가치에 부합하지 않는다, 다만 이스라엘 유권자가 선택한 정부이기 때문에 이를 존중해야 한다, 그러나 이스라엘 정부가 미국의 원칙에 어긋날 땐 엄중하게 이야기하겠다’ 정도의 자세를 취할 것이다.”

-11월 미 대선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시 전쟁 향방은 어떻게 될까.

“예측이 어렵다. 오히려 바이든은 확실한 친이스라엘이다. 네타냐후 행태가 미국 가치와 맞지 않기 때문에 압력을 넣는 것이다. 민주당에서 제기된 이스라엘 정권 교체 주장도 이스라엘이 미워서가 아니라 애정을 갖고 있어서 나왔다고 본다. 트럼프는 이 문제에 관심이 없을 가능성이 있다. 관성적으로 ‘트럼프는 당연히 이스라엘 편을 들겠지’라고 말하기엔 조금 거리낌이 있다. 다만 유대계인 사위 재러드 쿠슈너의 영향력이 작동한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확률상 그럴 가능성이 더 커 보이긴 한다. 국제 정치에선 불가측성이 가장 위험하다. 트럼프는 어디로 튈지 모르는 불안함이 있다.”

“네타냐후, 트럼프 당선에 모든 베팅 할 것”

-궁지에 몰렸던 네타냐후 총리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

“여러 차례 위기가 있었지만, 한 번도 집권하지 못한 소수 극우 세력에게 힘을 실어주며 부활했다. 그리고 기존 리쿠드당보다 훨씬 더 보수적인 선택을 하면서 지금까지 왔다. 하지만 정치인으로서의 생존 이상의 가치는 없지 않나. 그는 앞으로도 자기가 살아남기 위한 수를 계속 쓸 것이다. 현재 이스라엘 정치인 가운데 네타냐후의 생존 본능을 따라갈 인사는 없다. 상상할 수 없는 포석을 갖고 계속 생존 게임을 할 것이라고 본다. 그는 트럼프 당선에 모든 베팅을 할 것이다. 트럼프가 되는 순간 ‘전 세계에서 그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지도자는 나밖에 없다’고 말할 것이다.”

-가자지구 전쟁의 휴전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내세운 조건에 접점이 없다. 이스라엘은 오는 11월 미국 대선까지 이 상황을 끌고 갈 가능성이 크다. 네타냐후는 가자지구 하마스 최고지도자 야히야 신와르 제거와 유의미한 인질 석방 정도는 달성해야 자신에게 쏟아지는 비난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전까진 공격을 멈추기 어렵다.”

-유엔 등 국제기구 무용론이 제기된다.

“없는 것보단 낫다. 이스라엘은 원래 국제법을 지키지 않는다. 그러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즉각 휴전 결의안이 가결된 상황은 이스라엘엔 부담이다. 이스라엘이 아무리 ‘우리 길을 가겠다’고 해도 가장 중요한 파트너는 미국이다. 미국도 국제사회 여론이 나빠지니 즉각 휴전 결의안에 (거부권이 아닌) 기권표를 던지지 않았나. 미국은 이를 레버리지(지렛대)로 삼고 있다. ‘너희를 이렇게까지 막아주고 있는데 가자지구 라파 공격할 거야?’라고 압박하는 것이다. 그 효과를 보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겠지만, 유엔은 여전히 이런 힘을 갖고 있다.”

-혼란을 틈탄 이슬람국가(IS) 등장도 문제다.

“작정하고 세상을 망가뜨리겠다고 나선 세력을 근절할 방법은 없다. 국제사회엔 큰 도전이다. 하지만 오히려 IS 문제 앞에서 진영은 무의미하다. 국제사회가 연대할 수 있다. 위기인 동시에 기회다.”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22일(현지시간) 가자지구 남부 칸유니스에서 이스라엘군 공습으로 무너진 건물 사이를 지나가고 있다. AFP연합뉴스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22일(현지시간) 가자지구 남부 칸유니스에서 이스라엘군 공습으로 무너진 건물 사이를 지나가고 있다. AFP연합뉴스

-가자지구 민간인 피해가 극심하다.

“비극이다. 가장 걱정되는 지점이 가자지구 라파다. 이스라엘을 변호하고 싶지도 않고 그래서도 안 되지만, 이스라엘이 라파에 집착하는 이유는 있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인 140만명이 라파로 내려갔는데 하마스 대원이 껴있겠지’라고 생각하는 거다. 라파를 타격하지 않으면 지난 6개월간의 모든 작전이 무위로 돌아가는 셈이다.”

-하마스 절멸은 불가능한 목표 아닌가.

“불가능하다. 이번 기회에 가자지구를 쓸어버리고 싶은 본능이 작동하고 있다고 본다. 엔드게임(end game)은 없다. 하마스를 몰살했다고 해도 그다음엔 어떻게 되는 건지에 관한 질문이 남는다. 세 가지 옵션밖에 없다. 첫째는 가자지구 220만 주민이 모여 투표하는 거다. 이 사람들의 절반 이상은 지난 20년간 하마스 통치만 경험한 사람들이다. 그럼 누가 뽑히겠나. 하마스 2.0이다. 두 번째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가자지구를 관리하는 건데, 가자지구 주민들이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거다. 이스라엘에 부역하면서 호화 생활을 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이스라엘 극우주의자 주장처럼 가자지구 주민을 이집트 시나이반도 등으로 몰아내는 방법이다. 이들은 ‘시나이반도에 사람도 없는데, 국제사회가 캠프 만들어주면 되지 않느냐’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이는 21세기 최대 인도주의 범죄가 될 것이다.”

-미국이 라파 지상 작전을 막을 수 있을까.

“예측하기 힘들다. 바이든이 뒤에선 훨씬 강한 압박을 가할 수도 있다. 그런데 네타냐후가 하도 말을 듣지 않으니까 언론 등에 흘리기 시작했다고 본다. 이스라엘엔 네타냐후만 있는 건 아니다. 연정 내에도 중도·진보 인사들이 있다. 계속 이렇게 가다간 고립무원이 될 거라고 불안해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마스도 비판받는다.

“나는 이스라엘의 비대칭적 응징에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다만 하마스도 참 밉다. 자신들이 지켜야 할 사람들을 방패막이로 삼고 있다. 3만4000명이 죽었다. 하마스가 어떻게 팔레스타인을 대표할 수 있겠는가. 똑같은 맥락에서 이스라엘 극우 연정도 중동 유일의 민주주의 국가를 망쳐놨다. 자기 생존을 위해 지켜야 할 가치를 무참히 훼손하는 양쪽 극단 정치 세력을 이대로 두고 봐야 하는가에 대한 분노가 생긴다.”

“전쟁 희생자에게 연대의식 가져야”

-두 국가 해법 실현은 가능한가.

“두 국가 해법이 세상에 나올 때, 일각에선 이미 죽은 계획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았다. 하지만 두 국가 해법에 희망을 걸 수밖에 없다. 그것 말고는 답이 없다. 평화를 위해선 팔레스타인 독립밖에는 방법이 없다.”

-한국 정부가 취해야 할 자세는.

“대한민국은 안보리 이사국이다. 분명한 우리 입장이 있어야 한다. 이번에 팔레스타인 유엔 정회원국 가입안에 찬성표를 던졌다. 거부권을 행사한 미국과 다른 견해를 밝혔다는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이스라엘이 ‘이제 미국 하나밖에 안 남았구나. 미국의 동맹국도 다른 선택을 하는구나’라는 사실을 느끼게 된 거다.”

-전쟁은 언제 끝날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늘 전쟁 상태였다. 비유하자면 어떤 질병을 앓고 있는데 열이 확 오를 때가 있고 내려갈 때가 있다. 하지만 그 질병은 계속되는 것이다. 다만 언제 열이 내려갈까를 예상해보면 미국 대선이 큰 변수가 될 것 같다. 누가 당선되든 이 이슈를 정리하려 할 것이다. 그때 뭔가 해결책이 나오지 않을까.”

-강조하고 싶은 점은.



“최대 피해자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이다. 이란과 이스라엘이 충돌하는 순간 팔레스타인은 잊혔다. 앞서 가자지구 전쟁이 터지자 우크라이나 문제가 싹 사라졌다. 정치 지도자들의 잘못으로 무고한 시민들이 피해를 보는 일이 전 세계에서 매일 벌어지고 있다. 우리는 이를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 한반도가 중동과 다르지 않은 안보 위험 지역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자주 잊는다. 하지만 우리도 언제, 어떻게 비극에 휩싸일지 모른다. 전쟁 희생자들에 대한 연대 의식을 갖지 않으면 안 된다. 그들의 고통을 알아야만 한다. 단순히 동정하자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내 문제다’라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전쟁을 막을 수 있다.”

===


==


==


==


==


==


==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