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위안부 문제와 식민지 지배 책임
위안부 문제와 식민지 지배 책임 |
이타가키 류타 | 김부자 (엮은이) | 배영미 | 고영진 (옮긴이) | 삶창(삶이보이는창) | 2016-04-07 |
박유하 교수의 저서 <제국의 위안부>는 일제 강점기 때 조선인 '위안부'가 강제로 일본군의 성노예가 되어야 했다는 그간의 연구 결과를 예민하게 부정했다. 시종일관 박유하 교수는, 자발성에 무게를 두었고 책임이 있다면 일본제국주의보다 조선인 협력자들과 업자들에게 더 많다고 주장하다 못해 심지어 위안부와 일본군인 간의 '동지적' 관계도 존재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2015년 연말에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일본 총리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최종적인 불가역적 합의'를 선포했다. 양국 정상은 당사자의 의견은 중요치 않다고 여기고 위안부 문제가 최종 해결되었음을 선포해버린 것이다.
이 책은 박유하 교수의 주장부터 한일 양국 간의 '최종적인 불가역적 합의'까지 역사적 사료에 근거해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학문적으로 재검토하려는 책이 아니다. 최근에 동아시아에 불어닥치고 있는 어떤 반동적 물결에 대한 응전이며, 학문적 사료를 들어 그 물결의 위험성을 알리려는 실천적인 행동에 가깝다. 그래서 이 책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몇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해서 QA 형식으로 짜여졌다.
또 정영환, 양징자 두 사람의 칼럼을 통해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를 조목조목 비판했다. 물론 본문 중에도 과연 일본군 위안부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역사적 사실과 배경을 들어 비판하면서 박유하 교수의 주장이 얼마나 일방적이고 자의적인 주장을 하는지 드러내어 준다. 식민지 조선의 공창제가 생긴 이유와 거기에 존재하는 민족 차별, 그리고 그 공창제가 어떻게 위안부 제도로 변해갔는지 드러냄으로써 식민지 구조를 간과한 자발성 논란을 비판하기도 한다.
그리고 2015년 연말에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일본 총리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최종적인 불가역적 합의'를 선포했다. 양국 정상은 당사자의 의견은 중요치 않다고 여기고 위안부 문제가 최종 해결되었음을 선포해버린 것이다.
이 책은 박유하 교수의 주장부터 한일 양국 간의 '최종적인 불가역적 합의'까지 역사적 사료에 근거해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학문적으로 재검토하려는 책이 아니다. 최근에 동아시아에 불어닥치고 있는 어떤 반동적 물결에 대한 응전이며, 학문적 사료를 들어 그 물결의 위험성을 알리려는 실천적인 행동에 가깝다. 그래서 이 책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몇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해서 QA 형식으로 짜여졌다.
또 정영환, 양징자 두 사람의 칼럼을 통해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를 조목조목 비판했다. 물론 본문 중에도 과연 일본군 위안부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역사적 사실과 배경을 들어 비판하면서 박유하 교수의 주장이 얼마나 일방적이고 자의적인 주장을 하는지 드러내어 준다. 식민지 조선의 공창제가 생긴 이유와 거기에 존재하는 민족 차별, 그리고 그 공창제가 어떻게 위안부 제도로 변해갔는지 드러냄으로써 식민지 구조를 간과한 자발성 논란을 비판하기도 한다.
한국어판 번역 출판 작업을 진행하던 중 두 가지 큰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하나는 2015년 12월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합의”를 한 사건입니다. 이 “합의”는 피해 당사자들의 마음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었기에, 1990년대 이후 꾸준히 관련 연구 및 활동을 해온 사람들은 도저히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로 받아들일 수 없었습니다.
또 하나는 박유하 교수의 저서 『제국의 위안부』(2013)에 대해서입니다. 조선인 ‘위안부’ 문제는 일본의 조선식민지 지배의 산물이므로 식민지 지배 책임과 연관시켜 논해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인데, 이러한 관점에서『제국의 위안부』를 보면 여러 문제들이 눈에 띄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진보 논자들은 이 책을 높이 평가합니다. 그래서 일본어판에서는 그 문제점들을 짚으면서 비판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_「한국어판 서문」중에서
또 하나는 박유하 교수의 저서 『제국의 위안부』(2013)에 대해서입니다. 조선인 ‘위안부’ 문제는 일본의 조선식민지 지배의 산물이므로 식민지 지배 책임과 연관시켜 논해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인데, 이러한 관점에서『제국의 위안부』를 보면 여러 문제들이 눈에 띄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진보 논자들은 이 책을 높이 평가합니다. 그래서 일본어판에서는 그 문제점들을 짚으면서 비판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_「한국어판 서문」중에서
일본에서 전쟁 책임을 논할 때 아시아·태평양전쟁만을 상정하는 경향이 있지만, 적어도 한반도에 중점을 둔다면 청일전쟁과 러일전쟁부터가 조선의 주권을 짓밟은 침략전쟁이었고 이후에도 독립운동을 ‘토벌’한다는 명목으로 식민지전쟁이 벌어졌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중에서 가장 큰 쟁점이 되고 있는 조선인 ‘위안부’와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 책임 문제에 대해, 최근에는 예전과 같은 방식의 역사수정주의가 더욱 활기를 띨 뿐더러 표면적으로는 새롭게 보이는 역사수정주의적 서적까지 일부 지식인과 언론에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역사수정주의는 증언과 자료를 제멋대로 짜깁기해서 조선인 ‘위안부’ 상을 조작함으로써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군과 정부의 책임, 나아가 일본의 식민지 지배 책임까지 부정, 왜곡하고 있습니다. 그 영향은 ‘위안부’ 문제 해결운동에 대한 비난으로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일본어판 서문」중에서
아베 총리가 대내적으로 말하듯 인신매매라면 일본군과 일본 정부에는 책임이 없냐면 그렇지 않습니다. 인신매매죄가 형법에 포함된 것은 2005년이니까 그 전의 인신매매는 위법이라 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지만, 식민지 당시의 일본 형법에서도 국외 이송을 목적으로 한 인신매매는 금지되어 있었습니다.
형법 제33장 ‘약취 및 유괴죄’ 제226조(국제이송목적약취 등) 제1항에는, 일본 국외로 이송할 목적으로 사람을 약취(폭행이나 협박 등에 의한 연행) 또는 유괴(기만, 유혹에 의한 연행)한 자는 2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어 제2항에는 일본 국외로 이송할 목적으로 사람을 매매 또는 약취, 유괴하거나 혹은 매매된 자를 일본 국외로 이송한 자도 제1항과 같이 처벌한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즉 ‘위안부’로 동원할 목적으로 여성을 매매하여 일본 국외의 위안소로 보내는 행위는 당시의 법체계에서도 중대 범죄였습니다.
―「업자가‘ 인신매매’로 징집, 연행했으니 일본군은 책임이 없다?」중
아시아 · 태평양전쟁이 시작된 1941년 12월의 물가지수를 100으로 할 경우 그 후의 물가지수는 [표1]과 같이 바뀌었습니다. 1942년도 군표가 발행되는 단계에서는 1루피(버마)=1달러(말라야)=1엔(‘내지’)으로 설정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버마의 루피와 ‘내지’의 엔의 가치가 같았던 겁니다. 그런데 OWI 보고서에 나오는 ‘위안부’ 피해자들이 포로가 된 1944년 8월 10일 시점이 되면 상황은 크게 바뀝니다. 두 달 전인 6월 버마 물가가 인플레로 인해 도쿄의 약 30배로 부풀었던 것입니다.
따라서 ‘위안부’들이 최고액인 750엔을 받았다 하더라도 도쿄의 화폐가치로 환산하면 750엔÷30=25엔 정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여기서 전차금을 갚아야 했고 그 나머지 액수에서 또다시 식료대금 등의 명목으로 고액의 돈을 지불해야 했으니 생활난에 빠지는 것은 당연합니다.
―「문옥주 할머니는 버마에서 부자가 되었다?」중
박유하는 조선인 위안부들은 다른 점령지의 피해자들과 달리 “제국의 위안부”로서 일본군 병사와 “동지적 관계”를 맺고 있었다고 주장하기 위해, 소설뿐 아니라 자신이 비판하는 정대협과 정신대연구소가 편찬, 출판한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 증언집』 1~5권에서 많은 부분을 인용했습니다.
정대협은 피해자들의 증언을 진지하게 듣고 여섯 권의 증언집으로 기록, 간행하여 있는 그대로를 전하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박유하는 이 증언집에서 ‘위안부’ 중에는 일본군 병사에게 연애감정을 가진 사람이 있었다든지, 군인과 평화로운 한때를 보낸 경우도 있었다든지 하는 증언을 찾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제국의 위안부』의 표지에는 “위안부들의 증언을 정성껏 취합해”라고 쓰여 있는데, 이 증언집에서 자신이 주장하고 싶은 내용에 맞는 부분만을 “정성껏 취합한” 것이 바로『제국의 위안부』입니다. 박유하의 말을 빌어 표현하자면『제국의 위안부』야말로 피해자들의 증언을 “취사선택”했으며 “폭력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증언의 취합 방식뿐 아니라 해석 방식도 폭력적입니다. 박유하는 문학작품을 읽고 평론하는 듯한 방식으로 이 증언집을 해석하려 했습니다만, 상상력의 결여와 독해력의 졸렬함을 여지없이 드러냈습니다.
―「박유하 『제국의 위안부』 비판」중.
강풍에 날려 미래로 날아가더라도 뒤를 돌아보고 눈을 활짝 뜨며 멀어져가는 과거의 잔해를 지켜보는 천사-바로 이 모습이 나치스 독일에서 목숨을 잃기 직전에 사상가 벤야민이 그렸던 ‘역사의 천사’입니다. ‘발전’이나 ‘세계화’라는 강풍에 날려 단지 앞만 보고 ‘미래지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역사의 천사와 함께 20세기 폭력의 역사에서 눈을 돌리지 않는 것, 이것이 21세기를 사는 우리들이 갖춰야 할 기본자세이지 않겠습니까?
―최용탁, 「아베 담화는 무엇이 문제인가?」중
형법 제33장 ‘약취 및 유괴죄’ 제226조(국제이송목적약취 등) 제1항에는, 일본 국외로 이송할 목적으로 사람을 약취(폭행이나 협박 등에 의한 연행) 또는 유괴(기만, 유혹에 의한 연행)한 자는 2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어 제2항에는 일본 국외로 이송할 목적으로 사람을 매매 또는 약취, 유괴하거나 혹은 매매된 자를 일본 국외로 이송한 자도 제1항과 같이 처벌한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즉 ‘위안부’로 동원할 목적으로 여성을 매매하여 일본 국외의 위안소로 보내는 행위는 당시의 법체계에서도 중대 범죄였습니다.
―「업자가‘ 인신매매’로 징집, 연행했으니 일본군은 책임이 없다?」중
아시아 · 태평양전쟁이 시작된 1941년 12월의 물가지수를 100으로 할 경우 그 후의 물가지수는 [표1]과 같이 바뀌었습니다. 1942년도 군표가 발행되는 단계에서는 1루피(버마)=1달러(말라야)=1엔(‘내지’)으로 설정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버마의 루피와 ‘내지’의 엔의 가치가 같았던 겁니다. 그런데 OWI 보고서에 나오는 ‘위안부’ 피해자들이 포로가 된 1944년 8월 10일 시점이 되면 상황은 크게 바뀝니다. 두 달 전인 6월 버마 물가가 인플레로 인해 도쿄의 약 30배로 부풀었던 것입니다.
따라서 ‘위안부’들이 최고액인 750엔을 받았다 하더라도 도쿄의 화폐가치로 환산하면 750엔÷30=25엔 정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여기서 전차금을 갚아야 했고 그 나머지 액수에서 또다시 식료대금 등의 명목으로 고액의 돈을 지불해야 했으니 생활난에 빠지는 것은 당연합니다.
―「문옥주 할머니는 버마에서 부자가 되었다?」중
박유하는 조선인 위안부들은 다른 점령지의 피해자들과 달리 “제국의 위안부”로서 일본군 병사와 “동지적 관계”를 맺고 있었다고 주장하기 위해, 소설뿐 아니라 자신이 비판하는 정대협과 정신대연구소가 편찬, 출판한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 증언집』 1~5권에서 많은 부분을 인용했습니다.
정대협은 피해자들의 증언을 진지하게 듣고 여섯 권의 증언집으로 기록, 간행하여 있는 그대로를 전하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박유하는 이 증언집에서 ‘위안부’ 중에는 일본군 병사에게 연애감정을 가진 사람이 있었다든지, 군인과 평화로운 한때를 보낸 경우도 있었다든지 하는 증언을 찾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제국의 위안부』의 표지에는 “위안부들의 증언을 정성껏 취합해”라고 쓰여 있는데, 이 증언집에서 자신이 주장하고 싶은 내용에 맞는 부분만을 “정성껏 취합한” 것이 바로『제국의 위안부』입니다. 박유하의 말을 빌어 표현하자면『제국의 위안부』야말로 피해자들의 증언을 “취사선택”했으며 “폭력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증언의 취합 방식뿐 아니라 해석 방식도 폭력적입니다. 박유하는 문학작품을 읽고 평론하는 듯한 방식으로 이 증언집을 해석하려 했습니다만, 상상력의 결여와 독해력의 졸렬함을 여지없이 드러냈습니다.
―「박유하 『제국의 위안부』 비판」중.
강풍에 날려 미래로 날아가더라도 뒤를 돌아보고 눈을 활짝 뜨며 멀어져가는 과거의 잔해를 지켜보는 천사-바로 이 모습이 나치스 독일에서 목숨을 잃기 직전에 사상가 벤야민이 그렸던 ‘역사의 천사’입니다. ‘발전’이나 ‘세계화’라는 강풍에 날려 단지 앞만 보고 ‘미래지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역사의 천사와 함께 20세기 폭력의 역사에서 눈을 돌리지 않는 것, 이것이 21세기를 사는 우리들이 갖춰야 할 기본자세이지 않겠습니까?
―최용탁, 「아베 담화는 무엇이 문제인가?」중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6년 4월 11일자- 편자 : 이타가키 류타 (板垣龍太)
최근작 : | <위안부 문제와 식민지 지배 책임>,<한국 근대의 역사민족지>,<동아시아 기억의 장> … 총 17종 (모두보기) |
소개 : | 도시샤(同志社)대학 사회학부 교수. 전공은 한국근현대사회사. 1972년 일본 니가타(新潟)현의 사도(佐渡)라는 섬에서 태어남. 도쿄(東京)대학에서 문화인류학을 배우고 2006년에 이 책의 바탕이 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 한국에서 발간된 공편저로서<동아시아 기억의 장>(2015),<식민지라는 물음>(2014),<일기를 통해 본 전통과 근대, 식민지와 국가>(2013),<한국과 일본의 새로운 시작>(2007) 등이 있음. |
- 편자 : 김부자
최근작 : | <위안부 문제와 식민지 지배 책임>,<학교 밖의 조선여성들>,<역사와 책임> … 총 3종 (모두보기) |
소개 : |
- 역자 : 배영미
최근작 : | … 총 2종 (모두보기) |
소개 : |
- 역자 : 고영진
최근작 : | |
소개 : | 위안부 문제와 식민지 지배 책임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