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29

[장정일 칼럼] 우리가 이광수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것



[장정일 칼럼] 우리가 이광수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것


장정일 칼럼
우리가 이광수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것


입력 2018.08.08 10:35



장정일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가 한국일보에 연재중인 ‘100년에서 100년으로’ 제23회분(2018년 7월30일자)은 이광수의 생애와 저술을 이렇게 평가한다. “이광수가 우리 현대 지성사에 남긴 유산은 세 가지다. 근대 소설의 선구자, 민족주의의 개척자, 친일파로서의 활동이 그것이다.” 춘원의 친일 전향 기점을 ‘개벽’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한 1922년으로 잡는 것이 보통이지만, 민족개조와 실력양성을 통한 준비론은 그의 첫 장편소설이자 한국 최초의 근대장편소설이라는 ‘무정’(1918)에서부터 돌올하게 드러난다. 도산 안창호의 제자인 춘원은 이 작품을 이렇게 끝맺었다. “큰 학자, 큰 교육가, 큰 실업가, 큰 예술가, 큰 종교가가 나와야 할 터인데, 더욱더욱 나야 할 터인데. 어둡던 세상이 평생 어두울 것이 아니요, 무정하던 세상이 평생 무정할 것이 아니다.” 애초부터 그는 싸우기보다 사람을 키워야 한다는 쪽이었다.

‘무정’은 춘원이 출발부터 준비론자였다고 말해주지만, 이런 사실보다 더 크게 의미를 두어야 할 사항이 따로 있다. 바로 이 소설이 일본식 악덕인 ‘사소설’로부터 한국 근대문학을 방어했다는 것이다. 이 사실은 ‘무정’이 성취한 문학적 업적(언문일치, 반봉건ㆍ계몽 의식, 사실주의)에 가려 그 중요성이 부각되지 않고 있다.


사소설은 세계문학사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일본만의 특유한 장르다. 이 장르의 정치ㆍ역사적 함의는 국가와 작가 사이의 신사협정으로 설명된다. 즉 작가가 공적 화제에 입을 다무는 이상 국가도 작가를 건드리지 않는다는 상호간의 암묵적 합의가 사소설을 낳았다. 작가가 ‘나’를 화자이자 주인공으로 내세워 자신의 심경과 사생활을 파헤치는 이 장르의 묘미와 난관은, 작품이 독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는 작가 자신의 삶이 그만큼 극적이 되어야 한다는 데 있다. 이 때문에 사소설 작가에게는 자멸파(自滅派)니 자해파(自害派)니 하는 딱지가 붙었다. 다야마 가타이는 여제자에게 애욕을 품었던 경험을 고스란히 옮긴 ‘이불’(1907)을 썼고, 그와 쌍벽인 시마자키 도손은 여조카와 육체관계를 맺고서 ‘신생’(1919)을 썼다.

이광수 글쓰기의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는 단연 ‘자서전적 글쓰기’다. ‘그의 자서전’(1936), ‘나’(1947), ‘나의 고백’(1948) 같은 자서전이 그랬거니와, 자서전적 글쓰기와 거리가 멀다고 착각하기 쉬운 소설에서마저 자서전적 일화를 활용했다. 어느 평자가 ‘무정’을 가리켜 “그의 25세까지의 자서전”이라고 했던 말은 어느덧 상식이 되었다. 춘원의 글쓰기가 이러했던 것은 일본이라는 창구를 통해 문학을 배웠기 때문이다.

사소설의 독소가 그만큼 깊었으나 ‘무정’을 사소설이라는 평자는 아무도 없다. 이광수는 사소설을 쓰려야 쓸 수가 없었다. 일본 작가들과 달리 춘원에게는 협약을 맺을 수 있는 국가가 없었다. 일본 작가는 욱일(旭日)하는 제국주의 국가 안에서 ‘동조의 침묵’이나 ‘거부의 침묵’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었지만, 춘원이 놓인 상황은 그게 아니었다. 식민지 지식인이었던 그는 미래에 올 국가의 바탕이 될 민족부터 개량해야 했다. 그가 사소설에 순순히 투항하여 연애와 개인 잡사 쓰기에 열중했더라면, 민족개조론과 같은 미끄러운 비탈길을 타고 민족의 배신자가 될 리도 만무했다. 그가 사소설을 쓰지 않았기에 한국 문학사는 일본 문학사에 편입되는 것을 면했다. ‘무정’이 보유한 ‘최초’라는 역사적 의미는 그만큼 무겁다.

언젠가 이 지면에 ‘이광수 최남선은 안 되는 이유’(2016년 8월19일자)라는 글을 쓴 적이 있다. 그 글은 이광수 문학상 제정을 반대하는 것처럼 읽히지만, 내 본심은 그게 아니었다. 육당에 대하여는 깊이 고민해 본 바 없지만, 춘원의 경우에는 친일 과오에도 불구하고 그를 문학적으로 기념해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 그런데도 춘원문학상을 만들겠다고 나선 한국문인협회는 반대 여론을 설복시킬 문학 내적 근거를 마련해 두지 않았다. 그 때문에 한국문협은 역풍을 맞고 며칠 만에 문학상 제정을 취소했다. 1만3,000명의 문인이 모였다는 한국문협은 동네 반상회보다 못했다.

장정일 소설가




[장정일 칼럼] 이광수 최남선은 안 되는 이유


이광수 최남선은 안 되는 이유


입력 2016.08.19 11:17

0 0
인쇄스크랩글자크기 작게글자크기 크게



한국일보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 스토리로 공유
카카오톡 공유
이메일 공유



지난 8월 2일, 한국문인협회는 춘원 이광수와 육당 최남선의 이름을 내건 문학상 제정 사실이 공표된 뒤 문학계 안팎의 역풍을 맞고 며칠 만에 백기를 들었다. 1만 3,000명의 문인이 모였다는 한국문협은 동네 반상회보다 못했다. 춘원과 육당은 서로 판박이나 같았던 대표적인 친일 문인이다. 그들의 이름으로 된 문학상을 제정하기로 작심했다면 친일 과오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이 기념되어야만 하는 문화 내적인 근거가 제시되어야 했다. 한국문협이 믿었던 것이라고는, 내년이 한국근대소설의 효시인 ‘무정’이 출간된 지 100주년째라는 상징적 위세밖에 없었다.

김동인과 서정주는 이광수 최남선과 함께 민족문제연구소에서 펴낸 ‘친일인명사전’에 버젓이 등재되어 있지만, 1955년과 2001년부터 두 사람을 기리는 문학상이 만들어졌다. 동인문학상과 미당문학상을 받는 시인ㆍ소설가들은 두 사람의 문학적 성취와 정치적 과오를 기막히게 분리한 뒤, 문학적 성취와 상금만 선택해서 받는 모양이다. 포정해우의 솜씨다. 김동인 서정주는 되고 이광수 최남선은 안 되는 이유는, 전자는 문사 나부랭이에 불과하지만 후자는 사회적 활동의 비중이 글쓰기보다 더 컸던 때문이다.
최남선(좌), 이광수. 한국일보 자료사진


함석헌은 ‘새 시대의 전망’(백죽문학사,1959)이라는 제목으로 초간되고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생각사,1979)라는 제목으로 재간된 책에서, 이승만 시절에 개최된 ‘육당ㆍ춘원의 밤’에 대한 감상을 적은 바 있다. 그는 무려 여덟명의 강사가 나섰던 육당ㆍ춘원의 밤을 실패한 강연회였다고 단정짓는다. 함석헌은 강당 문을 나오면서 “소금이 아니 들었구나!”라고 분개하고 “점잖음이 사람 죽이누나!”라고 탄식했다.

“강사들이 말하기 어려워하는 것은 두 분이 다 문제를 가지기 때문이다. 총독부의 사료 편수관(최남선)이 됐고 학도병 나가라는 권유 강연(이광수)을 했기 때문이다. 누가 봐도 이것을 잘했다 할 수는 없으니 말을 끄집어내면 그것에 대한 비판을 안 할 수 없고, 하면 고인에게 욕이 될 것 같고, 이러므로 될수록 그 문제는 건드리지 말자 해서 그 말은 안 했을 것이다. 그러나 아픈 데 건드리지 않고 고치는 의사는 어디 있으며 병 고쳐 주지 않고 인술이 어디 있나? 그것 하자고 연 밤에 그것 아니 했으니 무슨 의미인가?”

김현이 자신의 이광수론 첫머리에 써서 유명해진 “이광수는 만지면 만질수록 그 증세가 덧나는 그런 상처와도 같다”던 말의 기원이 여기 있다. 함석헌은 이 글에서 “그들은 참 잘 울었다”면서 육당과 춘원이 펴낸 잡지와 작품의 이름을 죽 열거한다. 그런 다음 “그것이 다 이 민족을 위해 울고 이 나라를 위해 슬프게 힘 있게 우렁차게 운 것 아닌가? 민중은 한때 그들 안에서 자기의 가슴에 사무친 불평을 시원이 울어낼 수 있었다. 육당ㆍ춘원 울라고 하늘이 천분을 주어 내보낸 울음꾼이 왜 마지막까지 울지 못했나?”라고 안타까워했다. 나머지는 독자들이 찾아 읽으시라.

원래 8월은 대한민국의 민족주의와 반일 정서가 분기탱천하는 달이다. 8월은 걸그룹(소녀시대)이 광복절 하루 전날 도쿄에서 공연한 것만으로 비난받는 달이고, 일본제국의 군기를 이모티콘으로 사용한 가수(티파니)를 연예계에서 영구퇴출시켜야 한다고 광분하는 달이다. 언론이 한국문협의 어설픈 계획을 폭로한 것도 8월이다. 함석헌은 “자기 발견의 정도가 낮은 민중일수록 우상적인 숭배에 빠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도량 좁은 제재(制裁)를 한다. 그래 가지고는 사회는 건전한 발달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8월은 광복의 기쁨이 넘쳐나는 달이 아니라, 1년 동안 친일을 했던 죄의식을 정화하고자 서로를 밀고하는 달이다. 매일 제대로 ‘울었(깨어 있었)’다면 어쩌자고 속죄월(贖罪月)이 따로 필요할까. 모든 문인들이 저 상을 욕스럽게 여겼다면 애초부터 반대 운동을 할 필요도 없다. 모두들 안 받을 테니 그까짓 상 정도는 생겨도 괜찮았다. 하지만 내가 거부할 것이 분명한 그 상을 ‘누군가는 받을 것’이라는 두려움이 춘원ㆍ육당 문학상 제정을 원천봉쇄 했다. 이 두려움은 어디서 왔는가.

장정일 소설가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