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7-15

알라딘: 포스트종교운동 - 자본신앙과 건물종교를 넘어



알라딘: 포스트종교운동 - 자본신앙과 건물종교를 넘어

포스트종교운동 - 자본신앙과 건물종교를 넘어
이호재 (지은이)문사철2018-02-28






428쪽
153*224mm
813g

---------------

책소개
한국의 낳은 세계적인 종교사상가, 한국적 ‘기독교 해석 틀’을 창출한 ㅎㆍㄴㅂㆍㄺ성경해석학의 창시자, 그리고 풍류와 신선사상을 세계 신학계에서 최초로 정초한 풍류학자로 평가받고 있는 ㅎㆍㄴㅂㆍㄺ 변찬린의 종교사상을 실천화한 ‘새 교회운동’을 포스트 종교운동의 한 사례로 조명한다.

새교회운동은 피안신앙과 기복신앙의 배척, 다종교적인 종교경전과 다학제적인 현대학문을 인격신앙에 회통하여 새로운 인격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더 나아가 인격신앙으로 연대한 인격공동체를 형성하여 진리공동체, 사명공동체, 생활공동체로서 새 문명의 질서를 제시하여야 한다는 종교운동의 실제 사례로서 정밀하게 조감하고 있다.


목차


▪ 머리말

제1편 ᄒᆞᆫᄇᆞᆰ 변찬린의 한국종교사적 위상
1. ᄒᆞᆫᄇᆞᆰ문명사가 ᄒᆞᆫᄇᆞᆰ선생
1.1 ᄒᆞᆫᄇᆞᆰ문명의 탄생
1.2 영생문화와 종교 질서
1.3 자율공생과 정치 질서
1.4 유무상통과 경제 질서
2. 풍류학자로서의 변찬린
2.1 풍류체와 영성적 인간
2.2 풍류심과 장자론
2.3 풍류객과 공동체
3. 종교개혁가로서의 변찬린
3.1 ᄒᆞᆫᄇᆞᆰ성경해석학의 창시자
3.2 새교회운동의 창립자

제2편 한국의 종교운동
1. 종파종교의 개혁운동
1.1 유교운동약사
1.2 한국의 불교운동
1.3 풍류와 선, 도교 그리고 민속신앙
1.4 그리스도교의 종교운동
2. 신종교의 제도종교화
3. 신영성운동
4. ‘인간혁명’과 씨ᄋᆞᆯ종교공동체운동
5. 한국 종교운동의 역사적 과제

제3편 한국 종교문화 현상 비판
1. 직업종교인 유형과 비판
1.1 교주형 직업종교인
1.2 기복 부흥사형 직업종교인
1.3 권력지향형 직업종교인
1.4 식민신학형 직업종교인
1.5 교파신도형 직업종교인
2. 종교신앙 유형별 비판
2.1 피안신앙의 폐해: 죽으면 하늘나라 간다
2.2 노예신앙의 병폐: 건물교회에 구원있다
2.3 바울신앙의 오해: 믿음으로만 구원을 얻는다
2.4 교리신앙의 편견: 교리를 벗어나면 ‘이단’이다
3. 한국교회 유형별 비판
3.1 교회약사
3.2 건물교회
3.3 교파교회
3.4 기업교회

제4편 새교회운동
1. 종교운동으로서 새교회운동
2. 새교회의 신념체계
2.1 새교회의 개념과 의미
2.2 새교회 문장
2.3 새교회와 〈기도문〉
2.4 새교회와 〈칠신경〉
3. 새교회운동의 역사와 그 변천
3.1 변찬린 생전의 새교회운동
3.2 변찬린 사후의 새교회운동
3.3 반통일교회로서의 새교회운동
3.4 ᄒᆞᆫᄇᆞᆰ선당의 생활혁명프로젝트
4. 새교회운동의 평가와 남겨진 과제
4.1 초종교로서의 진리공동체
4.2 새 문명의 예언공동체
4.3 새 시대의 생활영성공동체

제5편 포스트종교운동의 지향점
1. 종교를 왜 신앙하는가?
2. 종교권위에 저항하라
3. 건물성전을 해체하라
4. 종교경전을 해방하라
5. 인격신앙, 인격공동체 체험을 통한 생활공동체를 만들라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접기

----------------
저자 및 역자소개
이호재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중국사회과학원의 철학박사(종교학 전공)학위를 취득한 후 성균관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관심영역은 동서양의 종교사상 연구를 바탕으로 '새 축 시대의 영성생활인’이라는 생활프로젝트를 세계화하는데 있다.
주요저서로는 『ㅎㆍㄴㅂㆍㄺ 변찬린: 한국종교사상가』, 『인생지도』 등이 있으며, 「함석헌의 ‘새 종교’론의 의미와 남겨진 과제」, 「변찬린의 새 교회론 연구」, 「孝女祈福:對華北一种民間宗敎儀式的人類學觀察」 등 십여 편의 국내외 논문이 있다.


최근작 : <포스트종교운동>,<인생지도>,<한밝 변찬린 : 한국종교사상가> … 총 4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포스트 종교운동은 한민족의 역사적 사명

종교적 인간은 제도종교의 종교적 권위에 기대지 못하고, 과학의 도전에 무기력하여 새로운 권위를 형성하려는 혼돈과 불확실성 시대에 살고 있다. 더구나 한국은 낡은 문명의 종교·문화적 토양이 축적된 지구상 유일의 분단국가이기도 하지만, 새로운 문명의 발상지로 전개될 수 있는 종교문화적 역량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저자는 진단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대주의적 종교적 근성을 뿌리뽑은 바탕위에 포스트 종교운동을 전개하여야 한다고 설득력있게 제시한다.
낡은 시대의 피안신앙과 기복신앙이라는 신앙체계, 건물성전, 기업종교, 교파종교로 범주화되는 건물종교현상, 이를 뒷받침하는 직업종교인의 ‘종교적 사기’행태를 교주형 직업종교인, 기복형 직업종교인, 식민식학형 직업종교인과 교파신도형 직업종교인으로 범주화하여 제도종교의 카르텔 현상을 날카롭게 해부한다. 기존의 종교운동이 제도종교의 공고화, 제도종교의 개혁, 신종교의 제도종교화라는 틀에 박힌 종교운동의 흐름과 직업종교인 중심의 호교론적인 종교옹호론을 해체시킨다. 이를 통해 포스트 종교운동은 제도종교의 개혁과 새 제도종교의 남상이라는 목소리가 아닌 한민족의 평화통일이 새 문명질서의 원천이 되어야 한다는 역사적 사명을 거대 담론으로 제시한다.

탈종교한 무(비)종교인이 주도하는 새로운 종교운동 : 자본신앙과 건물종교를 넘어

기존의 종교개혁에 대한 대안제시가 직업종교인에 의해 ‘그들만의 호교론적인 해석 틀’에서 제기된 한계점을 고발한다. 제도종교의 성역을 허물고 탈종교한 비종교인 혹은 무종교인 포스트 종교운동의 주역이 되어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제도종교가 생명력을 잃어버리고 화석화되어 종교의 역기능 현상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종교의 존재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시도한다. 특히 건물종교로서 기능하는 제도종교는 해체되어야 할 역사시대의 유물임에 불과함을 역설하고 있다.
포스트 종교운동의 주역은 
⓵ 종교권위에 저항하라. 
⓶ 건물성전을 해체하라. 
⓷ 종교경전을 해방하라. 
생활공동체를 형성하여야 한다는 
네 가지 실천 과제를 격문형식으로 제언한다. 

직업종교인이 설계한 제도종교의 종교개혁을 탈피하여, 새 시대의 새 인격이 탈종교하고 초종교한 자리에서 비(무)종교인이 새로운 종교문화를 창출해야 하는 것이 포스트 종교운동을 궁극적인 지향점임을 저자는 밝히고 있다.

ᄒᆞᆫᄇᆞᆰ사상과 새 교회 운동의 종교사적 의의

한국의 낳은 세계적인 종교사상가, 한국적 ‘기독교 해석 틀’을 창출한 ᄒᆞᆫᄇᆞᆰ성경해석학의 창시자, 그리고 풍류와 신선사상을 세계 신학계에서 최초로 정초한 풍류학자로 평가받고 있는 ᄒᆞᆫᄇᆞᆰ 변찬린의 종교사상을 실천화한 ‘새 교회운동’을 포스트 종교운동의 한 사례로 조명한다. 

새교회운동은 피안신앙과 기복신앙의 배척, 다종교적인 종교경전과 다학제적인 현대학문을 인격신앙에 회통하여 새로운 인격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더 나아가 인격신앙으로 연대한 인격공동체를 형성하여 진리공동체, 사명공동체, 생활공동체로서 새 문명의 질서를 제시하여야 한다는 종교운동의 실제 사례로서 정밀하게 조감하고 있다.
이 책은 ‘종교란 무엇인가’라는 고민과 회의에 휩싸여있는 제도종교인에게 근본적인 처방을 제시한다. 포스트종교 운동은 제도종교의 개혁이 아닌 인간혁명, 생활혁명, 문명혁신에 바탕을 둔 분단한국이 새 문명과 세계 종교운동의 시발점이 되어야 하는 역사적 사명을 있음을 강조하며 독자들의 동참을 호소하고 있다. 접기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