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공출 강제동원…일제면장이 대한민국의 면장입니까?
김남균 기자
승인 2019.02.18 13:50
괴산군 관내에만 최소 5개 공덕비…조선공로자 표창 받은 인물도3‧1운동 발포자 공적비도…사리면, 일제면장 공적안내판 설치계획
충북 괴산군 관내에 일제강점기 시절 면장을 지낸 5명의 공덕비가 면사무소 내와 인근부지 등에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17년 8월 15일 <시사인>은 위안부 故 김복동 할머니와 나눈 인터뷰 내용을 보도합니다.
<시사인>이 김복동 할머니에게 “처음에 어떻게 위안부로 끌려갔나?”라고 묻습니다.
김복동 할머니는 “그때는 식민지 시대였으니 일본이 자기들 마음대로 했거든. 시골 각 군·면마다 군수공장에서 일할 처녀 몇 십 명씩 모집한다고 돌아다닌다는 소문이 파다했어”라고 대답합니다.일제 강점기 시절 열네살의 나이에 일본군 위안부로 강제로 끌려간 고 김복동 할머니. 김복동 할머니는 일본의 진정한 사과도 받지 못한채 지난 1월 28일 93세의 나이로 돌아가셨다.
<시사인>이 다시 “누가 집으로 찾아와서 데려갔나?”라고 묻습니다. 그러자 김복동 할머니는 “ 그때만 해도 군수니 면장이니, 뭐 사무보는 직원들이니 전부 일본 앞잡이잖아. 일본한테 잘 보여야 자기들이 살아갈 수 있다고 해서 연필 거머쥔 사람들이 맘대로 명단을 작성했지. 자기네 일가친척은 다 빼고 나니 할당 인원수가 모자라는 거야. 그러니까 농부 딸들 중에 나이 어린 소녀까지 무조건 끌고 갔어. 나는 그때 열네 살이라 끌려갈 거라고 생각도 안 했어.”라고 대답합니다.
<시사인>이 “(일본 패망으로 위안부 생활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온) 그때가 언제인가?”라고 할머니께 묻습니다.
김복동 할머니는 “나이도 몇 살 먹었는지 모르겠고 그냥 일본군 이동하는 데마다 끌려 다니다 보니까 얼마나 갔는지도 모르겠고. 집에 가니 나이가 스물두 살이라고 그러더라고.”라고 대답합니다.
열네 살 그 어린 나이에 끌려가 동남아시아 이곳 저곳 으로 일본군에 끌려 다닌 시간이 자그마치 8년이란 시간이었습니다.
조선총독부 면장 = 대한민국 면장?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총독부의 행정체계는 1910년 개편이후 1914년과 1930년 등 세차례에 걸쳐 이뤄집니다.
일제는 1910년 9월 30일 ‘조선총독부 지방관 관제’를 공포합니다. 이에따라 1수부, 13도의 행정구역의 도, 부‧군, 면 체계로 개편됩니다. 1930년에는 군과 면 사이에 읍이라는 행정단위를 추가합니다.
해방 후 대만민국 정부 수립이후에도 도, 군, 읍‧면이라는 기본체계는 변동이 되지 않습니다. 면의 행정구역이 일부 바뀌었지만 이 체재는 현재까지도 이어집니다. 도지사, 군수, 면장이라는 호칭도 현재까지 그대로 이어오고 있습니다.
호칭이 같다고 조선총독부의 도지사나 군수, 면장이 대한민국의 도지사나 군수, 면장이 같을수는 없지 않겠습니까?
고 김복동 할머니의 말씀처럼 조선총독부 면장은 행정기구의 말단이자 최 일선에서 위안부 강제 착출이나 공출, 일 황군 지원병 모집 등 일제에 부역하는 업무를 기본으로 했습니다.
아무리 좋은 선행을 했더라도 이런 업무를 강제 받고 수행한 것은 역사적 사실입니다. 사람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가 있겠지만 일제에 부역한 것은 분명 맞는 사실이지요.
조선총독부 면장의 공덕 안내판까지 설치한다니...
괴산군 사리면사무소 앞 잔디밭 비석군. 이곳엔 일제강점기 시절 사리면장을 지낸 2명의 공덕비가 지금까지 보전되고 있다.
취재 과정중 현재 괴산군 관내에 일제강점기 시절 5명의 면장 공덕비가 남아있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괴산군 문광면사무소 내에는 일제강점기 시절 면장을 지낸 조한탁의 영세불망비와 송재욱의 기념비가 남아있습니다.
조한탁은 조선총독부및소속관서 직원록에 1930~1932년에 문광면장을 지낸 것으로 기록돼 있습니다. 문광면 관계자는 그의 후손으로부터 그의 공적에 관한 내용을 확인했다며 올해 그의 선정비 옆에 공적을 알리는 안내판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송재욱은 조선총독부 및 소속관서 직원록에 1939년과 1940년 문광면장을 지낸 것으로 돼 있습니다. 송재욱은 저희 충북인뉴스가 지난 15일 <괴산문광면장 송재욱은 미원면 3 1운동 총 쏴 죽인 헌병보조원>이란 제목의 기사에서 이미 밝혔듯이 1919년 3월 30일 미원장터에서 진행된 만세운동 참가자에 발포해 2명의 동포를 사살한 악질 친일인사입니다.
충북 괴산군 연풍면 향교 인근에 세워진 조병준의 ‘애민선정비’가 있습니다. 조병준은 조선총독부및소속관서직원록에 1914년 괴산군 연풍면장, 1935년 의원면 면장을 지낸 것으로 기록돼 있습니다. 또 조선총독부시정 25주년 기념 표창자 명감에도 올라 있습니다.
괴산군 사리면 사리면사무소 앞 잔디광장에도 여러 개의 공덕비가 모여 있습니다.
이곳에는 1920년부터 1924년 사리면장을 지낸 우현빈(禹顯斌), 1936년부터 1941년까지 사리면장을 지낸 이혁노(李赫魯)의 공덕비가 지금까지 보전돼 있습니다.
이 외에도 일제강점기 시잘 이장과 구장을 지낸 사람들의 공덕비도 부지기수입니다. 면장의 경우도 제가 파악한 것이 다섯 개 일뿐 더 많을 수도 있습니다.
일부 공무원들은 일제강점기 시절의 면장을 ‘초대 면장’으로 이야기 하기도 했습니다.
어떻게 일제강점기 시절의 면장이 대한민국 정부의 초대면장으로 불리는지 알 수 없는 대목입니다.
대한민국정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혈통을 이은 것이 아니라면 도저히 나와서는 안될 표현일 겁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