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자정이 가까워오는 시간에 일본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았다. 2003년에 도쿄에서 연극 <섬 · isle · 島>을 쓰고 연출 공연할 때 ‘아사히신문’에 인터뷰를 하면서 알게 된 전(前) 아사히신문 기자, 논설위원 분이다. 이후 소식을 서로 전하고 일본을 가면 이따금 만나곤 했다. 지금은 대학에서 강의 중이다.
“한국 법원의 판결을 어떻게 생각하세요?”
“... 미친 판결이라고 보이네요”
“일본에 양심적인 지식인 법률가들이 큰 충격을 받았어요. 일본 법원보다 더 심하게 일본 극우 주장이에요”
“......”
“뭐가 문제일까요?”
“......”
나는 대답하기 어려웠다.
어제 기상천외한 판결을 한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34부(재판장 김양호)는 대법원 판결을 뒤집어엎는 기존과 배치되는 판결을 내놓은 건 처음이 아니다. 재판장인 김 부장판사는 지난 3월 29일 일본군 성노예(위안부) 피해자들 소송에서 전임 재판부 판결을 뒤집어, 일본 기업에 배상을 하라고 "추심할 수 있는 비용이 존재하지 않는다"라면서 한국 법원이 "추심을 결정하면 국제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어"
"국가적 위신과 관련되고 사법부 신뢰 저해"라고 기이한 판결로 성노예 피해자 패소 판결을 했던 자다. 이 때문에 어제 판결도 기이 기괴한 판결을 예상할 수 있었다.
김양호 재판장은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2018년 10월 강제징용 피해자들이 일본 기업 4곳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 재상고심에서 원고 승소를 확정한 판결을 어제 판결로 거부한 것이다. 하급심 판사의 당당한 소신인가?
결론부터 말한다. 정신이 온전치 못한 ‘미친 판사’다. 지난번 성노예 판결과 같이 판사가 정치와 국가 외교까지 도맡아 하겠다는 ‘착란 판결’과 같다. “법률과 양심에 따라 판결”한다는 판사는 대법원의 전원합의체 판결과 다른 하급심 판결을 할 수는 있다. 하지만 김양호 재판장의 이번 ‘의도된 오판’은 대법원 전원합의체 소수 의견과 동일한 것이다. 법률과 ‘양심’의 판단이라고 할 수 없는 삐뚤어지고 찌든 병든 의식으로 마치 뉴라이트 집단의 오판과 같다.
한국의 대법원 대법관 구성이 정신적으로 온전하지 못한 것들이 혼재한 현실을 그대로 드러냈던 2018년 7:6의 아슬아슬한 확정 판결에서 보듯이, 하급심 김양호의 판단이 한국 법원에서 몹시 특이하고 이례적인 ‘각하 판결’이라고 볼 수도 없다. 대한민국 법원의 ‘미친 판결’ ‘미친 판사’는 자주 등장한다.
문제는 어제 판사 김양호 판결은 ‘법리’가 한없이 엉성 허술하고 심지어 논리와 근거가 박약하다는 것에 있다.
더하여 역사와 국제법에도 무식하고 무지한 판단이란 점이다. 이는 한국 사회의 법원이 스스로 법 혼란을 일으키면서 법의 안정성을 파괴하는 것이며 식민지 시기 자국 국민이 입은 피해를 권리 구제해야 한다는 국가 법원의 존재 이유와 근거까지 부정한 몰상식, 반 사회, 반 이성, 반 법률, 반 헌법체제 태도에 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제34민사부(재판장 김양호)의 무식과 무지는 용감하기도 한데, 그 만용의 무식과 무지는 바로 이 대목에서 절정이다,
김양호 판사는 “식민지배의 불법성과 징용의 불법성은 유감스럽게도 모두 국내법적 해석”이라며 “일본을 포함한 어느 나라도 자신들의 식민지배 불법성을 인정했다는 자료가 없고, 국제법적으로도 그 불법성이 인정한 자료가 없다.”
자료가 없다? 21세기 인류의 국제법 판례들을 깡그리 무시하는 것 이상으로 전쟁범죄 가해 국가인 일본 정부가 인정한 실증까지도 부정하고 있다.
이 ‘일본 극우보다 더 일본제국주의자’인 김양호 판사는 식민지배의 불법성마저도 한국의 “국내법적 해석”일뿐이라는 태도를 보였는데, 정작 일본의 법원에서 일본의 “국내법적 해석”에는 일본이 개인 청구권과 외교 보호권을 구분한 다른 사례도 있음을 본다. "원폭 투하 피해자가 일본 정부가 미국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체결한 탓에 미국에 대한 청구권이 없어졌다'며 일본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냈을 때 일본 법원과 정부는 배상 청구권이 “국내법적”으로 소멸하지 않았으니 미국을 상대로 재판하라는 법원 판단과 일본 정부의 답변이 있었음을 김양호 재판장은 모르거나 알아도 무시한 것이다.
또 실증의 일본의 “국내법적” 해석에서 심지어 가해 국가 일본 정부가 1991년에 강제징용 피해자 개인 청구권을 인정한 사례가 생생하게 있다. 일본 우익 정부가 숨기고 싶아하고 가리고 싶어하지만 말이다.
1991년 8월 27일 일본 의회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주미 일본대사를 지낸 야나이 순지(柳井俊二)가 외무성 조약국장으로 근무하던 때 "개인의 청구권 그 자체를 “국내법적인 의미로 소멸시킨 것은 아니다"는 답변을 했다.
이는 일본 정부 스스로가 “1965년 청구권 협정은 일한 양국이 국가로서 지닌 외교적인 보호권을 서로 포기한다는 의미"라고 전제하지만, 이는 “한국 정부가 이에 대항할 외교적 수단을 포기·상실하게 될 뿐 개인 청구권 자체가 소멸한다고 볼 수 없다”는 일본 정부 외무성 공식 의사이자 발표인 것이다.
야나이 당시 외무성 국장의 일본 의회 답변을 좀 제대로 살펴보자, 그는 “일한 청구권 협정으로 양국과 양국 국민 사이의 청구권 문제가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된다고 규정한 것이, 일한 양국에 있어서 존재하던 각각 국민의 청구권을 포함해 해결했다는 것이지만 (BUT) 이것은 일한 양국이 국가로서 가지고 있는 외교보호권을 상호 포기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른바 개인의 청구권 그 자체를 국내법적인 의미로 소멸시켰다는 것은 아니다. 일한 양국 사이에서 정부로서 이것을 외교 보호권의 행사로서 다루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런 의미다"라고 부연 답변을 질의한 의원에게 한 바 있다.
이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을 체결한 만큼 한국 정부가 한국인의 피해를 구제하기 위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외교 경로로 배상이나 보상 등을 요구할 수는 없으나 그렇다고 정부가 아닌 개인이 지닌 권리(청구권) 자체가 소멸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견해를 공식적으로 1991년 당시 일본 정부 스스로 밝힌 것이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의 외무상도 이런 견해를 확인한 바 있다.
2018년 11월 14일 중의원 외무위원회에서 고노 다로(河野太郞) 당시 외무상(현 행정개혁 담당 대신 겸 백신 장관)은 야나이의 1991년 8월 발언에 관한 질의에 "개인청구권이 소멸했다고 말씀드린 것은 아니다"라고 분명히 답변했다. 그러면서 고노 당시 외무상은 "개인의 청구권을 포함해 일한 사이의 재산청구권의 문제는 일한 청구권 협정에 의해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이 끝났다"는 아베 내각의 주장을 덧붙여지만 ‘고쿠타 게이지’ 공산당 의원이 중의원 외무위원회에서 일본 정부도 개인 청구권의 존재를 인정해오지 않았느냐고 묻자 “개인 청구권이 소멸했다고 말한 것은 아니다”라고 실토했다. 이는 “일한협정으로 완전 해결”만 주장하다가 의회에서 추궁을 당하자 “청구권은 존재한다”면서 “그러나 배상 판결은 안 된다”라고 궤변을 했다. 이는 ‘국제 상식에 반한다’는 지적까지 받았다.
이처럼 고노 다로 일본 당시 외상이 2018년에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개인 청구권이 있다고 시인한 것은 한국의 대법원 판결을 부정하던 아베 일본 정부가 한국 대법원의 손해배상 판결 이후 개인 청구권이 존재한다고 처음 발언한 것이다.
좀 더 2018년 11월 14일 일본 중의원 외무위원회 상황을 살피자면, 2년 6개월 전 고쿠타 의원은 미카미 마사히로 외무성 국제법 국장에게 한국 판결에서 원고들이 요구한 것은 미지급 임금이 아니라 식민 지배 및 침략 전쟁과 직결된 강제동원에 대한 위자료라고 지적했다. 고쿠타 의원은 1991년 야나이 외무성 조약국장이 “(한-일 협약으로 소멸한 한국인의 ‘재산과 권리 등의 이익’ 중에) 위자료 청구권이라는 것이 들어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고 말한 점도 지적했다. 그는 “위자료 청구권은 소멸하지 않은 것 아니냐”고 따졌다. 미카미 국장은 “야나이 국장 발언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권리 자체는 소멸하지 않았다”고 간신히 답변했다.
이처럼 2018년 고노 외무상 미카미 국제국장 등의 중의원 답변으로 “한국 대법원 판결이 ‘일한협정에 명백히 반한다’는 아베 정권의 주장이 근본부터 흔들렸다.
더 나아가 일본의 양심적인 법률가들은 일본 정부의 ‘재판상 청구 불가 주장’에 대해서도 국제적 상식에 반한다고 지적한다. 전후 보상 관련 전문가인 ‘야마모토 세이타’ 변호사는 “한일협정에 따라 개인 청구권은 있어도 재판상 청구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일본 정부와) 일본 최고재판소 판결이 국제법 상식에 벗어난다”고 지적했다. 이것이 세계 보편의 법률 상식이다.
김양호 판사는 또 “일본을 포함한 어느 나라도 자신들의 식민지배 불법성을 인정했다는 자료가 없다”라고 단언했다.
무식 무지다. 가장 최근에만 해도 2012년 10월 5일 영국 고등법원은 영국이 아프리카 케냐를 식민 지배한 것은 잘못된 것이고 배상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다. 이에 따라 영국 정부는 2013년 6월 윌리엄 헤이그 외교장관을 통해 사죄를 표명하고, 피해자에 대한 금전 지급 및 기념관 건립을 약속했다.
또 다른 판결도 있다. 인도네시아를 350년 이상 식민 지배한 네덜란드의 법원에서도 식민 지배 사과 판결이 나왔다. 네덜란드는 1946년과 1947년에 인도네시아 라와게데 등에서 발생한 독립투쟁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대량학살을 자행했다. 이때 참혹한 참상을 겪은 피해자들이 2008년 네덜란드로 건너가 민사소송을 제기한다. 이에 헤이그 지방법원은 네덜란드 국가의 배상책임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린 것이다. 네덜란드 법원은 자국의 국내법인 소멸시효 경과도 인정하지 않았다. 그 정도로 식민 지배로 인한 피해자 구제에 능동적으로 임했다.
독일의 과거사 청산 문제에서 유태인에 대한 배상은 긴 시간 어마어마한 금전 배상은 물론이고 지금도 시효 제한없이 계속되고 있다. 독일이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식민지배 약탈 문화재를 반환한다든지 독일이 식민지배하며 학살했던 아프리카 ‘나미비아’에 대한 독일 정부 사죄와 배상 회담도 있다.
특히 영국과 네덜란드 법원의 식민지 국가 사죄 배상 판결은, 식민지배를 당한 피해자 국가가 아니라 가해자 국가가 자기 반성을 촉구했다는 점에서 일본과 비교된다.
하물며 식민 지배 피해를 당한 피해자 국가가 식민지배 불법성도 인정하지 않고 반성도 없는 일본 우익 정부를 대변하는 입장에서 일본 극우와 같은 내용의 판결을 한다는 것은 법원이, 판사가, 어느 나라 법원이고 판사인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3년 전 2018년 대법원 판결도 피해자들이 소송을 제기한 지 13년 8개월 만에 나온 판결이었다. 이는 박근혜 정부가 양승태 대법원과 재판 거래를 한 것으로 사법농단 실체였다. 한국의 법원이 자국민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몹쓸 짓을 거듭하고 상처를 주면서 또다시 법정에서 재판 자체를 무효화시키는 좌절을 안겼다. 도대체 이 나라 법원은 일본 법원 출장소인가?
원래 재판도 6월 10일로 예정했던 선고 날짜를 “법정의 평온과 안정 등 제반 사정을 고려”한다는 이상한 이유로 갑자기 7일로 변경했다. 재판 당사자들인 피해자들에게 연락도 않고 변호사에게만 연락하고 피해 당사자들은 재판 날자 변경을 사전 통지 받지 못했다. 갑작스러운 기일 변경으로 지방에 사는 피해자들 다수는 법원에 나오지도 못했다. 법원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고령의 원고들이 다수 모이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조처였다”고 말했다.기막힌 처사다. 피해자를 존중하기는커녕 외면하고 무시하는 재판장 태도다.
민족을 배반하고 자국민을 모욕하고 능멸한 김양호 판사와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34부는 탄핵되어야 한다. 국회 집권당 민주당은 민족 배반, 국가 배반, 국가 헌정 법률 체제를 부정한 이들 재판부와 재판장을 단죄하고 탄핵하는 발의를 국회에서 제기해야 마땅하다.
일부 보도된 김양호 판사의 ‘각하’ 판결문 부분을 여기에 가져온다. 같이 읽어보자.
1965년 한일협정이 “개인청구권의 완전한 소멸까지는 아니더라도 ‘대한민국 국민이 일본이나 일본 국민을 상대로 제소로써 권리를 행사하는 것은 제한된다’는 뜻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비엔나협약(27조)에서 식민지배의 불법성을 인정하는 국내법적 사정 만으로 청구권협정의 ‘불이행’을 정당화할 수는 없다. 청구권협정에 배치되는 발언이나 행위는 국제법상 금반언의 원칙(禁反言·이미 표명한 자신의 언행에 대해 모순되는 행위를 할 수 없다는 원칙)에 위배될 가능성이 높다”
“국내법적 사정만으로 이사건 피해자들의 청구권을 일괄 보상하기로 합의한 청구권협정의 ‘불이행’을 정당화할 수는 없는 것”
“식민지배의 불법성은 국내법적 해석”
김양호 재판장의 오판은 2018년 10월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다수의견과 배치됨은 위에서도 얘기했다. 대법원 확정 판결은 일본제철 강제노역 피해자 이춘식씨 등 4명이 일본제철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소송 재상고심에서 ‘피해자의 손해배상 청구권이 국가 간 협정으로 소멸됐다고 볼 수 없다’며 피해자 승소 판결을 확정한 것이다. 그러나 김양호 판사는, 대법원 판결에 대하여,
“국내 최고재판소의 판결이지만, 식민지배의 불법성과 이에 터잡은 징용의 불법성을 전제로 하고 있어 이러한 판결은 단지 국내법적 해석에 불과하다”
“피해자의 손을 들어준 대법원 판결이 국제사법재판소로 간다면 대한민국 사법부의 신뢰에 치명적 손상”
“문명국으로서의 위신은 바닥으로 추락”
“분단국이 현실과 세계 4강의 강대국 사이에 위치한 대한민국으로서는 자유민주주의라는 헌법적 가치를 공유하는 서방세력의 대표국가들 중 하나인 일본과의 관계가 훼손되고, 이는 결국 한미동맹으로 우리 안보와 직결된 미합중국과의 관계 훼손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최고 상급심 대법원 판결을 하급심 판사가 임의로 해석한 것이다.
“피해자 승소 판결로 강제집행이 이뤄질 경우 국제적으로 초래될 수 있는 역효과 등까지 고려하여 보면 국가의 안전 보장과 질서 유지라는 헌법상의 대원칙을 침해한다. 따라서 (법원이) 헌법기관으로서 헌법과 국가 그리고 주권자인 국민을 수호하기 위해 위와 같이 판결할 수밖에 없었다”
“1965년 일본과 청구권 협정으로 얻은 외화는 이른바 ‘한강의 기적’에 큰 기여를 했다”
일본의 양심 양식있는 변호사 법률가 대학교수 등이 강제 징용 문제가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 등으로 완전히 해결됐다는 등의 주장에 반박하는 설명이 근거와 함께 일목요연하게 제시된 사이트(https://katazuketai.jp)를 만들었다. 한국 법원의 재판부는 이런 일본인들에게 어떤 모습으로 비쳐질까?
사진 - 1945년 당시 조선인(한국인) 강제징용자들 모습
596Hun-Mo Yi, 박길수 and 594 others
30 comments
113 shares
Like
Share
30 comments
Most relevant
Jeongwoo Bae
나의 '데쓰 노트'(1년 안에 지구를 떠나길 기원하는 악인 명단)에 올립니다.
1
Like
· 1 w
Suduk Kim
일개 법관이 정치선언을 한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국회는 합당한 절차를 밟는 것이 마땅합니다!
7
-------------------
https://www.google.com/imgres?imgurl=https%3A%2F%2Fqph.fs.quoracdn.net%2Fmain-qimg-35f16e02e7198a7f35ee376328b1c8c6&imgrefurl=https%3A%2F%2Fwww.quora.com%2FWhat-happened-to-all-the-Japanese-soldiers-who-were-on-islands-that-were-bypassed-by-the-Allies-during-WWII-Did-they-all-starve-Did-they-get-repatriated-at-the-end-of-the-war-if-they-survived&tbnid=Wkjj7PvcQoUB_M&vet=12ahUKEwjclfKO_J3xAhUqkUsFHe3wCiMQMygDegUIARCYAQ..i&docid=Xnu0L6MClL_c6M&w=602&h=452&q=did%20japanese%20soldiers%20starve%20in%20ww2&hl=en&ved=2ahUKEwjclfKO_J3xAhUqkUsFHe3wCiMQMygDegUIARCYAQ
-------
https://www.quora.com/What-happened-to-all-the-Japanese-soldiers-who-were-on-islands-that-were-bypassed-by-the-Allies-during-WWII-Did-they-all-starve-Did-they-get-repatriated-at-the-end-of-the-war-if-they-survived
What happened to all the Japanese soldiers who were on islands that were bypassed by the Allies during WWII? Did they all starve? Did they get repatriated at the end of the war if they survived?
19 Answers
Profile photo for Charles Ainsworth
Charles Ainsworth, Amateur historian, mainly WWII
Updated December 8, 2019 · Upvoted by Vadim Mikhnevych, Former Driver-Electrician in the Air Forces and Mark Beardsley, BA History, George Mason University (1994)
The book "Nanyo, the Rise and Fall of the Japanese in Micronesia" by Mark Peattie goes into this to some extent. After Japanese garrisons, often consisting of Japanese civilian settlers as well as military, were bypassed on various islands in the Marshalls, Gilberts, Carolines, Marianas, Solomons, and other places, the Imperial Japanese Navy attempted to keep them resupplied by submarine or seaplane for awhile, but eventually was unable to keep up the supply missions.
The Allies kept pressure on the various bypassed garrisons with frequent aerial bombing and sometimes bombardment by surface ships. Faced with starvation, the bypassed garrisons depended on local foods including coconuts, breadfruit, and native fish. In some cases, the isolated Japanese garrisons completely depleted the fish population in the lagoons of the atolls they were occupying. On some islands the Japanese attempted to cultivate and harvest their own farms, with mixed results. There were a few instances of cannibalism of Allied prisoners of war from shot-down bombers and the Japanese may have sometimes cannibalized their comrades who died of starvation or disease. Speaking of disease, the garrison on Satawan in the Carolines was overrun by an infestation of a local chigger-like insect, which caused them intense pain and suffering before they were rescued by Allied authorities after Japan's surrender. After the surrender, surviving Japanese warships and merchant ships were impressed into duty to repatriate the island garrisons back to Japan.
Addendum: I finally retrieved my copy of “Nanyo” and here are some more details on bypassed Japanese garrisons in Micronesia. Keep in mind that there were other bypassed garrisons outside Micronesia in the Dutch East Indies, Solomons, Ocean Island, Nauru, and other places.
Marshalls- Bypassed garrisons on Wotje (1,000 survivors of original 3,000 in garrison at war’s end), Jaluit, Mili (1,900 died out of a garrison of 4,700), and Maloelap (2,000 died of original 3,000 garrison).
Carolines- Bypassed garrisons were on Ponape (8,000 military and 5,700 civilian settlers survived with few losses due to abundant agriculture), Truk (38,000 civilians and military; unknown number died), Kusaie (300 deaths from starvation), Woleai (1,600 survivors from original 7,000 garrison), Puluwat, Yap, Morlocks (Nomori), and Satawan
Palau- Aimeliik and Babelthuap (2,000 deaths) had bypassed garrisons
Marianans- Rota, Pagan, and Aguiguan had small, bypassed garrisons
Initially (1944), there remained 60,000 Japanese army and navy troops on the bypassed Micronesian garrisons listed above. A total of 95,000 military and 52,000 civilians were repatriated to Japan, Korea, and Taiwan from all parts of the Pacific ocean (excluding mainland Asia) after the war ended.
207.5K viewsView 692 upvotesView shares
38 comments from Stephen Gandee and more
Profile photo for Ken Graham
Ken Graham, Lifelong reader and researcher of military history
Answered December 19
Those who survived and accepted surrender were repatriated. More than a few held out for years after the war was over. In the Philippines, large numbers of Japanese soldiers refused to acknowledge or accept that that Japan had surrendered. Well, into the 1950s (5+ years after Japan surrendered), entire company-sized units of Japanese troops were still surrendering in the Philippines. And make no mistake. These units weren’t just playing hide and seek in the woods. As far as they knew, they were still at war so they were in the jungle acting accordingly, and many innocent Filipinos died as a result. Even after all of the larger units finally surrendered, individual Japanese soldiers held out for decades longer…. yes, DECADES… after the war. The last one didn’t surrender in the Philippines until 1975!!! We are talking 30 years after the war ended!!! These last few holdouts spent more than half their lives fighting a war that was already over!!! If memory serves, the last holdout refused to surrender until his old commanding officer came to the Philippines and ordered him to surrender.
As insane as these stories are, there were at least two Japanese soldiers in Malaysia who refused to surrender at the end of the war, joined the communists in a rebellion against the British (and from 1957 onward against the newly independent Malaysian government). That rebellion ended In 1960 except for a few hardcore holdouts, including the two Japanese soldiers. These holdouts eventually drummed up enough support to restart a low grade rebellion in the 1967 that simmered off and on until the 1980s! These two men… at that point they were in their 70s!!! …finally gave up and went home in 1990, 45 years after most of their comrades surrendered!!
528 viewsView 4 upvotes
Profile photo for Sejin Pak
Profile photo for Henry Kim
Henry Kim
Updated September 10, 2019
While not exactly those stranded on faraway islands, some Japanese troops after the surrender wound up being recruited for unexpected ventures.
In former Dutch East Indies, the occupying British soldiers found themselves short of troops as Indonesian National Revolution (the war for independence by Indonesian nationalists) was breaking out. Many Japanese troops were called upon by British to serve under their command to “keep order,” while a significant number joined Indonesian revolutionaries instead. (For now, I can only point to a Wikipedia article: Indonesian National Revolution - Wikipedia) Very few stayed in Indonesia in the long run, though.
In China, something similar took place. While vast majority were repatriated, both KMT and Communists kept services of thousands of Japanese, mostly technical troops like mechanics, medics, and so forth as well as skilled civilian technicians, eg railway engineers (Tianshui Association - Wikipedia) Most eventually made ot back to Japan, but a decent number (along with stranded Japanese civilians) effectively blended into China after the Civil War ended. (Need to track down ref's for military personnel held in China).
Edit: This is link to a story from an English language newspaper based in China about a Japanese soldier recruited into Mao Zedong's army after World War 2. (A Chinese soldier at heart) The story claims that 33,000 Japanese soldiers served in the PLA during the Chinese Civil War. Yasuyuki Sato, the soldier profiled in the article, went back to Japan in 1953.
5.1K viewsView 6 upvotes
1 comment from Don Thomas
Related Questions
More Answers Below
Did any WWII Kamikaze pilots lose their nerve and abort? If so, what happened to them? If they flew back to Japan, what was the penalty? Were any captured as POWs?
At the end of WWII, were there any cases where freed Allied POWs exacted revenge on their Japanese guards?
Did the US or Allied sailors kill captured or helpless Japanese sailors during the Pacific War? I heard many stories about Japanese sailors killing Allied sailors one way or another but do the reverse happened?
Profile photo for Pete Shyvers
Pete Shyvers, lives in Santa Clara, CA (1983-present)
Answered January 1
From James Hornfischer’s “Fleet At Flood Tide”…
- more that one million foreign nationals predominantly Koreans, Chinese, Formosans, and Ryukyuans, were in Japan as prisoners & slaves
- there were thousands and thousands of Allied POWs
- there were an estimated 6.7 *million* Japanese nationals - combatants & civilians, over 3.5 million in China & Manchuria & Soviet-controlled areas, and hundreds of thousands on Pacific islands
“Potsdam had been a contract, and America turned to its duty, delivering mercy on a mass scale to its enemies of the season just past. … Rear Admiral Donald B. Beary … co … (more)
Profile photo for Sejin Pak
Profile photo for Lawrence Trevethan
Lawrence Trevethan, Analyst (2017-present)
Answered August 1, 2018
There was some starvation. But generally, it is possible for soldiers to survive in an island situation. One can catch fish for example. And generally, those on islands were repatriated. Things were a bit different in some of the larger islands under Aussie control, however. There is an instance on New Guinea when a Japanese unit was not allowed to surrender - in spite of the protest of its executive officer. And there are cases on Borneo where SURRENDERED prisoners were handed over for reprisals by the people whom they formerly had abused. A process that was certain to be fatal. They were dif … (more)
Profile photo for Sejin Pak
Profile photo for Robert Clouse
Robert Clouse, Disable Veteran at Cincinnati, Ohio, USA (2000-present)
Answered July 29, 2018 · Upvoted by Pete Bohnhof, M.A. Documentary Filmmaking & History, Syracuse University (2015)
Eventually, after the Japanese seurrender, and they accepted that it had happen, they were all returned to Japan.
That last one, accepting that the Japanese emperor had ordered the surrender was the important part. Until that happen, some of them continued to fight, and couldn't be safely returned to Japan until they surrendered.
The last Japanese soldier to surrender was Hirō "Hiroo" Onoda, in 1974.
Hiroo Onoda - Wikipedia
To get lieutenant Hirō "Hiroo" Onoda to surrender, they had to get his former commander, Major Yoshimi Taniguchi, who had since become a bookseller, to give the order to surren … (more)
15 comments from Dani Richard and more
Profile photo for Richard Lobb
Richard Lobb, Lifelong student of history
Updated June 6, 2018
“What happened to all the Japanese soldiers who were on islands that were bypassed by the Allies during WWII? Did they all starve? Did they get repatriated at the end of the war if they survived?”
The “die on the vine” strategy was originally presented to Admiral Halsey as a way of avoiding a bloody landing on Kolombangara, an island in the Solomons. The Marines seized another, more lightly held, island instead. But the Japanese managed to evacuate their troops from Kolombangara to fight again another day. They probably all died on Tarawa or some other awful place.
In other places, however, Japa … (more)
14 comments from Deck Travis and more
Profile photo for Brendan McNally
Brendan McNally, worked at Dallas, TX
Answered June 4, 2018
I know the Japanese operated a “Repatriation Navy” after the end of hostilities whose main purpose was taking troops and other Japanese nationals off of islands and other territories and bringing them home. I know they even operated an aircraft carrier which had, for a period of time, been capsized in Yokohama Harbour at the end of the war. It was reflected, repaired and sent to perform repatriation duties that went on for another year. It’s captain, a guy named Miyazaki had been involved in espionage activities in the US while working as a naval attache during the 1930s.
Some of the ships and … (more)
Profile photo for Sejin Pak
Profile photo for Edgar D. McDonald II
Edgar D. McDonald II, former Corrections, Parole Probation, Investigations at California (1973-2001)
Updated March 13, 2020
Places like Rabaul had quite large isolated garrisons. After the war ended it took months to repatriate these garrisons using available shipping. When the garrison at TRUK finally came on board, they were all emaciated and looked like walking skeletons.
The First Marine Division ended up in Beijing after the war guarding the capital and protecting the Japanese civilians from the Chinese until they could be repatriated. As anyone might imagine, they were NOT a happy bunch of Marines. While everyone else was going home they had to babysit the Japanese.
I changed the island referred to from Rabaul … (more)
Profile photo for Sejin Pak
Profile photo for Michael Mills
Michael Mills, worked at Australian Public Service (1973-2001)
Answered May 25, 2018
Towards the end of the war, Australian troops were sent to a number of islands near New Guinea which had been bypassed by the main Allied thrust through and past that island. The Japanese garrisons were on the edge of starvation, but they put up a gallant fight. The Australian troops hunted them down and wiped them out.
The Australian War Museum has a section on those final battles, with several photographs of the campaign. It presents the view that the hunting down of those last isolated Japanese outposts was unnecessary and a waste of Australian lives. One of the photos shows an Australian so … (more)
2 comments from John Biddle and more
Related Questions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