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25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대남정책 변화의 동기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대남정책 변화의 동기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대남정책 변화의 동기는?
김정은 위원장, 체제보장을 위해 김정은은 새로운 대남전략 추진
곽태환 전 통일연구원 원장 | 기사입력 2024/02/24 [17:44]




▲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023년 12월27일 열린 노동당 제8기 제9차 전원회의 2일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조선중앙TV는 김 위원장이 "투쟁 방향에 대한 강령적인 결론을 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TV 캡처) 2023.12.28. ©브레이크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021년 10월 "우리의 주적은 전쟁 그 자체이지 남조선이나 미국 특정한 그 어느 국가나 세력이 아니다"라고 규정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김정은의 입장이 돌변했다. 이제는 그는 한반도에서 두 적대국가론을 주창하며 한국을 제1적대국으로 규정하고 ‘통일불가’를 선언하고, ‘우발 시’ 핵 사용을 공언했다. 이에 따라 1980년 이후 추진된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 방안(고려 연방제 통일 방안)의 수정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김 위원장은 동북아의 "신 냉전 체제"의 대결구도로 인식하며 한·미·일 안보협력에 대응하여 북·중·러 관계 강화 정책으로 선회했다. 따라서 최근 북한 지도부의 ‘피 포위 강박 증’(siege mentality) 악화로 인한 북한체제의 안전보장을 위해 북·중·러 간 안보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필자는 김정은 위원장의 대남정책변화 동기를 추정하기 위해 4가지 핵심 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북한은 윤석열 정부와의 대화나 협상이 불가능하다고 인식하고 '통미 봉남’(通美 封南) 혹은 통일 봉남 전략으로 회귀한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은 윤 정부가 북한의 핵심 이익을 수호하고 증진하는 데 아무런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전략적으로 판단한 것이다. 따라서 북한은 2024년에도 핵 무력능력 강화를 계속해 미 새 행정부와의 관계 개선을 통해 한미동맹을 약화시킨 뒤 미국과의 협상을 위해 협상 카드를 축적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지도부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오는 11월 재선에 성공하면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인정해 핵군축 협상의 물꼬를 틀 것으로 판단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둘째, 북한과 한국은 1991년 9월 17일 동시에 유엔에 가입한 회원국이다. 김정은 위원장은 정상적인 국가로서 자신의 정권의 생존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엔 헌장(제2조 제4항)은 모든 유엔 회원국은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무력과 위협을 행사하는 것을 자제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무력사용은 유엔헌장 제51조에 따른 정당방위를 제외하고는 불법이다. 따라서 김정은은 북한 주도의 통일이 불가능함을 인식하고 일시적으로 포기할 용의가 있으며, 한반도에 두 개의 주권국가가 존재한다는 것을 전 세계에 알리고, 유엔 회원국으로 국제법의 보호 아래 김정은 체제의 생존을 보장받으려는 의도가 보인다.





셋째, 남·북·미 3국 간의 강대강(强對强) 맞대응 전략이 북한의 장기적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북한 지도부의 인식이 있는 것 같다. 한국과 미국이 강대강(强對强) 전략을 고수하는 한 북한은 그에 대응하여 같은 전략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한 것 같다. 따라서 북한체제의 생존을 위해 북한지도부가 강대강(强對强) 맞대응전략을 수정하자는 제안을 일 수도 있어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1월 선거에서 재선될 경우 북한의 대결 전략이 우호적 전략으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남북한의 국력과 전쟁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때 북한은 남북 간 체제 경쟁에서 열세를 보일 정도로 차이가 크다. 결과적으로, 김정은 위원장은 남한에 의한 흡수 통일에 대한 두려움을 공개 적으로 인정하고 진정한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북한의 '피 포위 강박 증’으로 인한 심리적 악화는 남한에 의한 흡수 통일에 대한 우려와 북한 내의 심각한 경제적·정치적·사회적 불안정으로 인해 김정은의 체제보장을 위해 김정은은 새로운 대남전략을 추진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한반도에서 우발적 무력 충돌로 인한 전쟁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남·북·미 3국은 보다 우호적인 맞대응 전략으로 전환하고 대화 분위기 조성에 나서는 것이 전쟁예방을 위한 최선의 길이다. 한반도 문제 해법모색을 위해 대화와 협상을 통해 남·북·미 3국 정상이 실질적·미래지향적·합리적인 정책을 선택하기를 간절히 바란다. thkwak38@hotmail.com







▲필자/ 곽태환 박사. ©브레이크뉴스

현재 미국 Eastern Kentucky 대 국제정치학 명예교수; 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소장/교수; 전 경북대 정치과 교수, 전 통일연구원 원장, 현 경남대 초빙석좌교수, 현 한반도 미래 전략연구원 이사장, 통일전략연구협의회(LA) 회장, 미주민주참여포럼(KAPAC)상임고문, 평통 LA 협의회 상임고문 등, 경남대 명예 정치학 박사 수여(2019), Global Peace 재단이 수여하는 혁신학술연구분야 평화상 수상(2012). 통일뉴스 특별공로상(2021)수상. 34권의 저서, 공저 및 편저; 칼럼, 시론, 학술 논문 등 500편 이상 출판; 주요 저서:『한반도평화, 비핵화 그리고 통일: 어떻게 이룰 것인가?』 (2019), 공저,『한반도 비핵-평화체제의 모색』(매봉,2023), 영문책 Author, (co) editor: One Korea: Visions of Korean Unification(Routledge, 2017) 등.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What is the motivation behind North Korean Chairman Kim Jong-un's policy change toward South Korea?

Chairman Kim Jong-un pursues a new strategy toward South Korea to ensure regime security.

-Kwak Tae-hwan, former director of the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North Korean State Affairs Commission Chairman Kim Jong-un defined in October 2021, “Our main enemy is war itself, not South Korea or the United States or any specific country or force.” However, Kim Jong-un's position has recently changed. Now, he advocated the theory of two hostile states on the Korean Peninsula, defined Korea as the number one hostile country, declared ‘unification impossible’, and announced the use of nuclear weapons ‘in case of emergency’. Accordingly, it became inevitable to revise the plan to establish the Democratic Federal Republic of Goryeo (the plan to unify the Goryeo federal system), which had been promoted since 1980. Chairman Kim recognized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of the "new Cold War system" in Northeast Asia and turned to a policy of strengthening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in response to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erefore,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is being strengthened to ensure the security of the North Korean regime due to the recent worsening of the North Korean leadership's ‘siege mentality.’



The author would like to present four key factors to estimate Chairman Kim Jong-un's motivation for changing his policy toward South Korea.

First, North Korea appears to have recognized that dialogue or negotiation with the Yoon Seok-yeol government is impossible and has returned to the ‘unification of Bongnam’ or unification of Bongnam strategy. Kim Jong-un strategically judged that the Yun administration did not provide any help in protecting and promoting North Korea's core interests. Therefore, North Korea is expected to continue strengthening its nuclear capabilities in 2024, weakening the ROK-US alliance by improving relations with the new US administration, and then accumulating bargaining cards for negotiations with the U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North Korean leadership may judge that if former President Trump is re-elected in November, he will recognize North Korea as a nuclear state, opening the way for nuclear disarmament negotiations.

Second,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re member states that joined the United Nations at the same time on September 17, 1991. Chairman Kim Jong-un aims to ensure the survival of his regime as a normal country. The UN Charter (Article 2, Paragraph 4) stipulates that all UN member states “refrain from using force or threats of force by any means necessary.” The use of force is illegal except in self-defense under Article 51 of the United Nations Charter. Therefore, Kim Jong-un recognizes that North Korea-led unification is impossible and is willing to give up temporarily, informs the world that two sovereign states exis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guarantees the survival of the Kim Jong-un regime under the protection of international law as a member of the United Nations. The intention is visible.



Third, there seems to be a perception among the North Korean leadership that the strategy of strong-to-strong confrontation betwee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does not serve North Korea's long-term interests. It seems that North Korea has decided that as long as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tick to the strong-to-strong strategy, they have no choice but to use the same strategy in response. Therefore, it seems that the North Korean leadership may propose to revise its strong-to-strong response strategy for the survival of the North Korean regime. If former President Donald Trump is re-elected in the November election, it is expected that North Korea's confrontational strategy will change to a friendly strategy.

Fourth, when objectively evaluating the national power and war capabilities of North and South Korea, the difference is so great that North Korea appears to be inferior in system competi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s a result, Chairman Kim Jong-un has publicly acknowledged his fears about unification by absorption by South Korea and has even expressed genuine concerns. The psychological deterioration caused by North Korea's 'obsessive siege', concerns over absorption and unification by South Korea, and serious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instability within North Korea appear to have led Kim Jong-un to pursue a new strategy toward South Korea to guarantee his regime. .



Lastly, war should not occur due to accidental armed conflict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best way to prevent war is for the three countries, South Korea,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switch to a more friendly tit-for-tat strategy and create an atmosphere for dialogue. I sincerely hope that the leaders of South Korea,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ill choose practical, future-oriented, and reasonable policies through dialogue and negotiations to find a solution to the Korean Peninsula issue.

thkwak38@hotmail.com

*Author/Professor Kwak Tae-hwan

Currently Professor Emeritus of International Politics at Eastern Kentucky University, USA; Former Director/Professor of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at Kyungnam University; Former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former director of the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current visiting professor at Kyungnam University, current chairman of the Korean Peninsula Future Strategy Institute, chairman of the Unification Strategy Research Council (LA), standing advisor to the American Democratic Participation Forum (KAPAC), standing advisor to the Pyongtong LA Council, etc., Kyungnam University Received an honorary doctorate in political science (2019) and received the Peace Prize for Innovative Academic Research awarded by the Global Peace Foundation (2012). Received the Unification News Special Achievement Award (2021). 34 books, co-authored and edited; Published more than 500 columns, poetry essays, and academic papers; Major publications: 『Peace, denuclearization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ow to achieve it?』 (2019), co-authored,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Search for a Peace Regime』 (Maebong, 2023), English book Author, (co) editor: One Korea: Visions of Korean Unification (Routledge, 2017), etc.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