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05

(3) 천관율 - ‘견고한 남부’와 ‘위대한 호남’ 1. ‘견고한 남부’의 붕괴는 2차대전 이후 미국 정치에서 벌어진 가장...

(3) 천관율 - ‘견고한 남부’와 ‘위대한 호남’ 1. ‘견고한 남부’의 붕괴는 2차대전 이후 미국 정치에서 벌어진 가장...
‘견고한 남부’와 ‘위대한 호남’
1. ‘견고한 남부’의 붕괴는 2차대전 이후 미국 정치에서 벌어진 가장 중요한 일로 손꼽힌다. 1860년대 미국 내전 이후, 패전한 남부는 자신들의 대변자였던 민주당과 강력한 정당일체감, 그러니까 콘크리트 투표를 보여준다. 이게 ‘견고한 남부’다. 대권은 북부와 서부를 장악한 공화당이 먹지만, 민주당은 연방권력을 내어주는 대가로 남부를 장악하는 하위 파트너 자리를 받아들였다. 이 구도는 1896년에 뚜렷이 정립되어 30년 넘게 이어졌다(샤츠슈나이더, 절반의 인민 주권).
이걸 뒤흔든 게 프랭클린 루스벨트다. 그가 만들어낸 뉴딜연합은 전통적 지지층인 남부와 가톨릭에 더해 백인 노동계급과 소수인종을 묶어내면서 다수파연합을 만드는데 성공한다. 이게 또 30년쯤 간다. 그러니까 뉴딜연합은 인종부심 자영농부심 쩌는 보수파 남부 백인의 정당에다가 백인 노동계급과 흑인을 대뜸 끼얹어놓고도 한 세대를 유지하는데 성공한 놀라운 외줄타기였다(전형적인 역사가의 글이라 좀 지루하지만. 맥짐시, 위대한 정치의 조건).
이게 해체되는 게 대충 1960년대다. 공화당이 남부를 꾸준히 파고들기도 했고 민주당의 인종평등 정책에 남부가 학을 떼기도 했고 뭐 그렇지만, 사실 점점더 리버럴과 지식인과 조직노동의 정당으로 흘러가던 민주당을 이때까지 남부가 참고 지지했다는 게 더 놀랍다. 역시 전쟁을 겪은 동네의 투표 충성도란(...)
1952년에 남부는 65% 대 19%로 민주당에 그야말로 몰표를 준다. 이게 2004년이 되면 32% 대 38%로 뒤집힌다. 뉴딜연합에서 남부가 이탈한 것은 30년 민주당 시대를 끝내는 결정적 사건이었고, 이후 민주당은 히스패닉을 지지블록으로 포섭할 때까지 소수파의 설움을 견뎌야 했다.
남부의 이탈 이유를 뭐라고 설명하든, 그건 차라리 ‘정상화’ 과정에 가깝다. 래리 바텔스는 문화적 보수주의(“낙태 반대!” 블라블라)가 공화당 시대를 열었다는 분석을 거의 조롱하면서, 중상층 남부 백인의 비정상적인 민주당 쏠림이 그저 제자리로 돌아간 것만으로 뉴딜연합 붕괴를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바텔스, 불평등 민주주의).
2. 나는 호남 특유의 정서라는 걸 전혀 모른다. 그저 미국 정치와 한국 정치를 두고 맥락을 무시한 몇가지 유비를 할 수 있을 뿐인데, 이를테면 나는 반 새누리 연합의 핵심축 두 개가 호남과 도시 중산층이라고 생각한다. 도시 중산층의 투표성향도 나눠지기 때문에, 어느 시점 이후로는 반 새누리 젊은 도시 중산층을 리버럴이라고 바꿔 불러야 할 것 같다. 꽤 무리지만 여기선 리버럴을 최대한 넓고 벙벙한 의미로 그냥 쓸 생각이다. 이 둘이 하나의 연합이어야 할 논리적 이유는 없고, 역사적인 우연에 가까워 보인다. 뉴딜연합이 그렇듯이.
반 새누리 연합 내에서 김대중 시대까지는 호남이 우세한 가운데 거목 DJ가 둘을 포괄하는 게 가능했던 모양이다. 노무현 정부는 반 새누리 연합이라는 소수파 정권이었던 동시에, 연합 내에서도 리버럴이라는 소수파, 그러니까 이중 소수파 정권이었다. 이 구도를 무리하게 깨 보려 했던 시도(나는 문제 많은 전략이었다고 생각한다)가 열린우리당 창당이었던 것 같다.
열린우리당은 2006년 지방선거에서 참패를 당했다. 쪼그라들었던 민주당은 호남을 싹쓸이하며 부활한다. 열린우리당 핵분열 이후 무슨 당이 몇 개나 생겼다 합쳤는지 자기들도 헷갈려하는 2007년의 난리법석은 결국 호남 - 리버럴 연합의 (호남의 주도권을 불확실하게 암시한) 부활과 불복한 리버럴 일파의 이탈로 결론났다. 이게 2008년 총선에서 팔십몇석인가 얻은 그 민주당이다. 리버럴의 이탈은 2007년 대선 투표율 폭락의 이유 중 하나다. 덕분에 MB는 5년 전 이회창보다 겨우 5만표를 더 얻고도 500만표를 이겼다.
이명박 시대에 민주당 밖의 리버럴은 ‘혁신과 통합’을 띄운다. 호남 - 리버럴의 불완전 연합이었던 민주당과 혁통의 통합으로 리버럴 우위가 공고해졌다. 그게 야바위의 승리든 지지블록 크기의 반영이든 간에, 반 새누리 연합에서 호남이 하위 파트너로 밀려나는 추세가 점점 더 분명해졌다. 그냥 직관으로만 말하면, 도시화 수준과 교육 수준의 가파른 상승 때문에 도시 리버럴의 충원 속도가 호남 정체성 투표자(호남 출신 수도권 가정 자녀 중엔 여기 해당하지 않는 표도 많다)의 재생산보다 빠르며, 이 추세는 당분간 역전되기 힘든 것 같다.
“호남이 친노의 표셔틀이냐”라는 논평을 이 맥락으로 번역하자면 리버럴의 하위 파트너 역할을 감내할 이유가 없다는 뜻으로 나는 이해한다. 이건 납득할 만한 반응인데, 단순다수제 선거제도 하에서 반 다수파 연합은 일상적인 인질극의 공연장이다. 호남은 2012년 대선에서 리버럴의 하위 파트너 자리를 받아들였다. 리버럴은 2007년 대선에서 호남의 하위 파트너를 사실상 거부했다. 그리고 2008년 봄에 거한 살풀이를(...)
반 새누리 연합에서 호남이 리버럴의 상위 파트너로 복귀하는 세상은 당분간 오지 않을 것 같다. 그것이 가능하다 해도 리버럴 다수가 이탈한, 기껏해야 2007 버전의 불완전 연합이 되지 않을까 싶다. 그렇다면 호남이 하위 파트너 역할을 계속 감당할까? 2006년에 그랬듯이 이번에도 거부할 것이라는 사인을 계속 보내는 중이다. 대선이 올해라면 또 달랐을지 모른다. 그게 2012년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20개월이나 남았다.
역사적 궤적의 강한 구속 때문에 호남이 새누리를 지지하는 일은 꽤 오랫동안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견고한 남부’의 붕괴는 100년 넘게 걸렸다. 하지만 반 새누리 연합의 하위 파트너를 받아들이는 것은 또다른 문제다. 하위 파트너 자리의 스트레스는 상상을 초월하고, 리버럴도 그 자리를 못 견디는 모습을 몇 번 보여줬으니, 왜 역사적 책무에 헌신하지 않는가라고 호남더러 말할 권리는 누구도 없다. 아니 애초에, 유권자 블록에 어떤 책무를 준다는 발상 자체가 기괴하다. 유권자를 투표장으로 불러올 책무를 정치세력과 지도자가 진다.
그러니 호남의 남은 선택지로, 독자적인 대변자를 내세워 독자행보와 조건부 연합을 교차하며 당분간 힘겨루기를 이어가는 전략, 이건 그럴듯하다. 적어도 호남 엘리트의 선택지로는 꽤 그럴듯하다. 나는 호남 정서에 대한 이해도가 꽝이라서 지금 호남의 여론이 엘리트 주도인지 바닥부터 끓어오르는지 판단할 능력이 없다. 때문에 호남의 특수성 변수를 생략하고 그저 합리적으로 보이는 전략적 조합을 고려하는 데서 멈추겠다. 어쨌든 반 새누리 연합에 대한 호남의 헌신을 절대화하는 논평(“호남의 위대한 전략투표가 작동할 것”)은 여러 사정을, 특히 호남이 연합내 하위 파트너로 몰렸다는 사정을 무시하는 것 같다.
3. 지금 벌어지는 일이 ‘견고한 남부’의 붕괴 한국판일까. 아니다. 둘은 꽤 다르다. 견고한 남부는 결국 공화당으로의 월경을 통해 붕괴했다. 2016년 호남의 풍경은 일단 반 새누리 연합 내부의 주도권 투쟁에 더 가까워 보이며, 월경의 징후는 거의 없다.
그렇다고는 해도 이탈의 가능성까지 포함해 연합이 헐거워지는 것만은 분명하다. 이를테면 수도권의 호남표 중 일부는 새누리당 승리를 감수할 태세다. 역사적 맥락도 궤적도 다른 미국의 사례에서 우리가 적용 가능한 교훈은 이렇다. 정의상 이질적일 수밖에 없는 다수파연합을 유지하는 것이야말로 정치세력과 지도자의 중요한 능력이다. 미국 민주당은 루스벨트 사후에도 얼추 20년간 뉴딜연합을 유지해 냈다. 한국은 DJ의 임기 종료로부터 올해가 14년째다. 소수파연합이라는 중요한 차이도 있다.
호남과 리버럴은 연합의 두 축이지만, 이탈 전략이라는 옵션은 호남이 더 쉽게 선택할 수 있다. 호남은 지리적 인접성이라는 ‘주권의 단위’를 충족한다. 하지만 리버럴은 도시를 중심으로 묽게 퍼져 있다. 대도시로 갈수록 선거의 승패를 좌우할 수는 있지만 독자 세력화는 더 어렵다. 리버럴 단독 정당이라는 이탈 전략도 몇 차례 시도되었으나 결과는 다들 아시는 대로. 연합 내의 상호 인질극에서 지리적 인접성은 호남이 가진 중요한 무기다.
어떤 정치인은 여기서 기회를 포착한다. 그릇이 작은 정치인은 연합을 쪼개어 제가 감당할 만한 단위로 지지블록을 조각내려 한다. 그게 성공하면 연합은 구멍이 뚫리지만 제 정치적 이익은 극대화된다. 이건 민주적 경쟁이 작동하는 시스템에서는 거의 어떤 경우에나 등장 가능한 전략으로, 사실상 상수다. 때문에 이런 그릇 작은 정치인을 비난할 수는 있어도, 그런 일을 예측하지 못했다고 연합의 정치 지도자가 변명할 수는 없다.
지금 시험대에 선 것은 반 새누리 연합에 대한 호남의 헌신이 아니다. 어떤 유권자 블록이든 그렇게 초월적인 임무를 지우는 전략은 인질극이다. 한두 번은 모를까 결국 작동하지 않는다. 시험받아야 할 것은 반 새누리 연합 지도자들의 능력이다. 호남 - 리버럴 연합을 유지해내거나, 혹은 그를 대체할 대안 연합(나는 상상이 잘 안 된다)을 찾아내거나, 혹은 그야말로 창조적인 균열을 발명해 내거나. 총선이 너무 임박한 정치일정이라면 대선까지라도 찾아내는 것이 정치 지도자가 지지층에 지는 책무다. 뭐하나 쉬운 게 없네.
4. 쓰고 보니 헐거운 대목이 곳곳에 보인다. 리버럴의 개념은 너무 확장해 놔서 제 무게를 못버틸 지경(...) 어쨌든 나는 요즘 국면을 이와 같이 생각한다. 그러지 않으려고 노력했지만, 아마도 내 관점에 맞는 정보를 편향적으로 수집한 결과일 것이며, 특히 2번에서 묘사한 정치궤적이 그럴 것 같다.
그냥 미국 얘기나 하고 있어보이게 끝낼 걸 그랬다.
Like
Comment
16 comments
Comments
Seyoung Lee 같은 생각... 이하 참고

<'김종인 체제'에 대하여 - '파국적 힘의 균형'과 '보나파르티즘'>...See More
LikeReply2611 hrs
Keonhwi Kim 늘 그랬듯이 좋은 글입니다. 그런데 본문에도 밝히셨지만 한국에서의 '리버럴'은 어떻게 좀더 명확히 정리될 수가 없는 것인가요? 독립적 개념으로 떼놓고 보기엔 너무 복합적인 것 같아요. 우리 사회에서 리버럴을 자처하는 386 이상의 인텔리들을 뜯어보면 상당수가 호남에서 상경한 사람들이기에 더더욱 호남과 리버럴이 분리될 수 없는 것 같고요. 일전에 유시민씨 관련해서 리버럴을 정의하신 글도 읽었지만 제 수준에서는 간명히 정리가 잘 안되더군요 ㅎㅎ...
LikeReply510 hrsEdited
JI Min Jun 호남 투표권자로써(첫 총선 투표지만)전체적 맥락에서 동의합니다. 80년대 서울권 대학에서 학생운동을 한 소위 운동권 출신인 아버지는 민주당이 개판을 쳐도 한 자리 해먹으려는 국민의당은 안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설날에 못 견디겠다는 목소리가 할아버지 입에서 나왔습니다. 여태까지 2번 찍어서 노무현이가 뭐해준거 있냐고.(참고로 전북 군산입니다) 차라리 어떻게어떻게 누구네 집 아들 국민의당 후보를 뽑겠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확실한건 대선에서 새누리당은...See More
LikeReply410 hrs
Wook Kim 다르게 말하면 호남의 보수정치 수요가 이제 발현된 것이라고 볼 수 있죠. 영남 장년층과 다를바 없는 보수적 정신세계인데 진보정당을 지지해야 하니 얼마나 답답했을까요? 계속 패배하는데 지지할 이유도 없어진 거죠.
LikeReply89 hrs
Eunsil Yi (미... 미안. 하나마나 한 소리라는 생각이 문득 ㅠㅠ)
LikeReply9 hrs
Jungmin Park 요즘 합리적 중도일 것 같은 젊은이들 중에도 1번 콘크리트가 많다는...
LikeReply9 hrs
Lee James 천 기자님 말씀대로 2007년에 도시 리버럴들이 배신했을 때도 호남은 묵묵히 지지해줬죠. 그렇지만 그 대가가 형편없었기 때문에 지쳐버린 어르신들이 돌아섰고요.
문제는 한경오 내부의 싸가지 없는 진보들이나 수구꼴통 조중동, 여기에 조중동이 변태한 종편, 오염당한 방송 3사의 보도 행태입니다.
한쪽은 당연한 걸 생색내는 거라 여겨서 고깝다는 듯이 굴고, 한쪽은 이를 부추기니.......안타까운 현실입니다.
LikeReply38 hrs
김주영 잘 읽었습니다. 미국 남부가 어떻게 민주당에서 공화당으로 지배 세력이 바뀌였는지 궁금했는데 조금은 이해가 되었고 한국의 경우도 약간의 가능성은 있다고 봅니다. 단순무식하게 보면 해방 이후의 대구와 제주가 지금과 다른 것처럼요. 저는 갠적으로 이번 총선의 의의를 광주에 대한 부채감을 극복하는 것으로 삼고 있습니다. 첫사랑에 대한 그리움을 이제 정리하고 다시 만나더라도 쿨하게 대하고 싶습니다. 기득권이 다 된 구닥다리 386에게 너무 오랜 시간이었어요. ^^
LikeReply48 hrs
Lee James 27세밖에 안됐지만 군복무 21개월 15일+교환학생 15주를 빼고 모든 인생을 전주시에서 보낸 이로서 한 말씀 올리겠습니다.
군사독재정권 하에서 경부 축선이 눈부시게 발전하는 동안 비 경부 지역은 이촌향도의 아픔을 겪어야 했습니다.
87년에 민주화를 이룩하고도, 특히 야권이 승리한 DJ-MH 정권 10년 동안에 충청은 발전했지만, 호남은 또다시 소외당했죠....See More
LikeReply68 hrsEdited
Inkyu Noh 겉으로 보기에는 호남을 많이 생각하고 쓴 글 같지만 사실 현재 야권분열의 책임을 호남 쪽에 교묘하게 뒤집어 씌운다는 느낌이 드네요. 특히 리버럴 우위 얘기하는 것 보면..호남을 거의 밑밥으로 까는 것을 전제하는 것인데. 여기서 말하는 '리버럴'들의 교만과 위선 그리고 정치력 부재를 돌아보기 바랍니다.
LikeReply57 hrs
Delaware John Lee 대체로 읽을 만하긴 한데 호남을 umbrella term으로 두긴 이번 선거에선 좀 어려울 듯요. 왜냐하면 전북이 다르고, 지금 판세는 전남은 다수가 더민주를 지지해요. 오히려 96년 총선 때 대구는 신한국당 박살 났지만 경북은 다수파였던 것과 더 유비가 맞을 듯요. 그리고 공화당이 남부를 파고들었듯이 지금 새누리가 호남을 파고드는 것도 아니거든요. 진보 리더십 전쟁이라고 보는 게 더 맞을 듯 합니다. 대구경북도 김영삼 대신 이회창 택한 이후 극히 안정화됐음.
LikeReply7 hrsEdited
김우승 유시민씨는 호남, 운동권, 시민사회 세개로 나누던데 어쨌든 비슷하면서 다양한 예시외 설명이 흥미롭네요.
LikeReply17 hrs
Kukjin Jeong 여기서 한가지 오류가 있는 것 같습니다. 2번 세번째 문단에서 07대선에서 리버럴의 이탈을 말하고 있으신데요. 정동영의 궤멸적 패배를 리버럴만의 이탈이 주된 것이라고 설명하기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저는 되려 당시가 호남+리버럴이 쪼그라들었을 뿐이며 리버럴의 투표 포기는 그다지 큰 규모가 아니었다고 생각합니다.

97대선 김대중 표는 호남+리버럴+충청이었고 02대선 노무현 표는 호남+리버럴+충청+약 정치혐오층(중도)라고 봅니다. 그리고 07대선은 여기서 호남+리버럴만으로 치렀으니 궤멸적으로 패배(패배가 뻔해서 투표포기한 것도 꽤됨)
LikeReply27 hrs
김호산 호남 / 리버럴 2개의 분열구도가 아니라 3개임. 호남 / 수도권 / 리버럴. 친노 친문의 기반은 리버럴이고 반노의 기반은 앞의 둘. 핵심은 행정수도이전으로 대표되는 지역균형전략이고 여기서 호남은 균등분배가 자기들의 노력을 무시당했다고 생각하기에 비토하는거고 수도권은 자기들 이익에 반하는 지방분권책에 거부감을 보이는거 그게 바로 이명박과 그놈의 수도권 부동산임. 호남만 가지고는 민주당이 지금처럼 지리멸렬 하지않아요. 전통적인 민주당 지지 보수세력인 양측의 교감이 있기에 이런결과가 나온거지.
LikeReply14 hrs
안기수 누가 봐도 사학과 출신ㅋㅋ
좋은 글 늘 감사하네~
LikeReply1 hr
Seyoung Lee '호남+리버럴'이란 '역사적 블록'의 형성과 균열에 대하여...

<패권주의 단상- 야당, 헤게모니 전략, 역사적 블록>...See More
LikeReply24 mins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