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의혹 틈타 '위안부 부정' 확산…따져 보니

 
 
기사입력2020.05.29. 오후 9:25
최종수정2020.05.29. 오후 10:03
네이버 동영상 플레이어
재생시간, 이 동영상의 길이는 3분 5초 입니다.

화질 선택 옵션

화질 선택 옵션

<앵커>

정의기억연대 회계 부정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위안부 역사를 왜곡하려는 움직임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최근 온라인에 이런 영상물이 많아졌습니다.

사실은 코너, 이경원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지난 7일 이용수 할머니의 첫 기자회견 이후 어제(28일)까지 구독자 10만 이상 보수 정치 유튜브 채널에서 위안부 관련 영상을 얼마나 만들었는지 분석했습니다.

22일간 48개 채널에서 400개 가까운 영상물이 올라왔습니다.

이 가운데는 위안부의 역사를 부정하는 영상물도 38개나 됐습니다.

[유튜브 영상물 : 처음부터 위안부란 것이 사기니까.]

[돈이 있으면 위안부를 이용할 수 있고, 없으면 이용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매춘입니다.]

위안부는 강제동원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 그 중심에 있었고, '반일 종족주의'의 저자 이영훈 전 서울대 교수의 논거가 주로 인용됐습니다.

책 보시면 위안부 피해자들이 노예처럼 끌려가지 않았다, 다만 좋은 데 취직시킨다는 속임수는 있었다고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협박이든 속임수든 본인 의사에 반하는 것이기 때문에 강제성 있는 것은 당연합니다.

1945년 미군 문서인데 한국인 여성이 강제와 사기를 통해 즉 의사에 반해 위안부가 됐다고 명시했습니다.

일본의 고노 담화조차 감언에 의한 동원도 본인 의사에 반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 전 교수는 강제동원의 개념을 협소하고 단편적으로만 이해한 것입니다.

[이영훈/前 서울대 교수 (지난해 8월) : (단면적인 결론 아니냐는 주장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세요?) 그건 논쟁거리죠. 저는 논쟁하자고 문제를 제기한 겁니다.]

이런 비판을 의식한 듯 이 전 교수는 이달 초 새 책에서 위안부 문제를 사회 모두의 책임이라고 주장합니다.

위안부 동원에 주선업자·업주·남성·가부장제도까지 모두 가담했다, 여성들 속여서 성매매시키는 일이 많았다, 당시 여성 인권도 열악했다, 그러니까 일본군에만 책임을 지울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영훈/前 서울대 교수 (지난 26일) : 거액의 전차금을 가난한 극빈 계층 가부장에게 제시할 때, 딸들을 주선업자들에게 내어 줍니다.]

하지만 1938년 조선총독부 법원은 여성을 모집해 위안부로 보낸다고 말한 조선인을 유언비어 유포죄로 처벌했습니다.

일본도 이 문제가 알려지는 것을 꺼렸습니다.

유대인 600만 명이 학살된 홀로코스트, 이 전 교수 논리대로라면 유대인은 수천 년 차별받고 종종 학살에도 시달려 왔는데 열악했던 유대인 인권이 문제다, 히틀러 책임만은 아니다로 귀결됩니다.

이런 말, 독일 형법상 역사 부정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영상편집 : 김선탁, CG : 공지수, 자료 조사 : 김혜리·김정우) 

이경원 기자(leekw@sbs.co.kr)

기자 프로필

구독한 기사는 네이버 MY뉴스에서 볼 수 있어요 
이경원 기자는 2006년 기자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사회부 사건팀과 교육청 출입, 문화부 등 여러 부서를 거친 뒤 현재 정치부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머리는 차갑지만 가슴은 뜨거운 기자, 인간미 넘치는 기자가 되고 싶다는 포부를 갖고 있습니다.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