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11

제2차 세계대전기 인도네시아 팔렘방으로 동원된 조선인의 귀환과정에 관한 연구

제2차 세계대전기 인도네시아 팔렘방으로 동원된 조선인의 귀환과정에 관한 연구

제2차 세계대전기 인도네시아 팔렘방으로 동원된 조선인의 귀환과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urse of repatriation of Koreans who were mobilized to Palembang, Indonesi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약어 : 독립운동사연구

2012, vol., no.41, 통권 41호 pp. 275-316 (42 pages)

DOI : 10.15799/kimos.2012..41.007

UCI : G704-001260.2012..41.003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분야 : 인문학 > 역사학
강정숙 /Kang, Jeong-Sook 1
1이화사학연구소

초록 
이 글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팔렘방으로 동원된 조선인이 어떠한 귀환과정을 거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제 말기 강압적인 분위기 속에서 먼 팔렘방까지 동원되었던 조선인들이 어떻게 해방을 맞이하며 이국땅에서 귀환을 준비하였는가를 구술, 회고록, 명부 등을 통해 입체적으로 보고자 하였다.

팔렘방은 수마트라 남부의 중심도시로서 유전을 끼고 있어서 연합군과 일본군의 이익이 가장 직접적으로 부딪치는 곳이었다. 일본이 패전한 시점 팔렘방에는 군‘위안부’ 및 ‘위안소’ 관계자, 군인 군속, 노동자(회사원) 등 200~300명 정도 있었다.

일본 패전 이후 일본군은 군‘위안부’들을 임시간호부로 분식하였고, 조선인 남성들은 일본군이나 일본회사 등에서 놓여나 조선인들만의 단체인 팔렘방조선인회를 10월 18일 조직하였다. 식량 확보, 자위활동 등 자치활동을 시작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연합군이 본격적으로 들어오기 이전에 이미 진행되었다. 이후 포로감시원이 더해져 확대되었다. 팔렘방조선인회는 현지 화교 등의 도움을 받아 임시정부 소식을 듣고 태극기를 그리며 민족의식을 고양하였다. 그러나 팔렘방에 있던 조선인들이 모두 팔렘방조선인회로 모인 것은 아니었고 군‘위안부’ 중 일부는 임시간호부로서 일본군 그대로 편입되어 있었다. 그리고 해방의 소식을 듣고 자살하거나 해방된 조국으로 가지 않고 현지에 잔류한 군‘위안부’ 피해자, 군속들도 있었다.

팔렘방조선인회는 팔렘방에서 싱가포르로 옮기게 된 1946년 2월 7일에 사실상 해체되었다. 팔렘방조선인회의 중심을 이루었던 포로감시원은 연합군에 의해 잔류당하였다. 그리고 싱가포르 주롱수용소로 이동한 이들은 그곳에 있던 싱가포르고려인회에 가입하게 되었다. 이곳에서도 3·1운동기념강연 등의 활동이 있어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팔렘방에 있었던 이들은, 포로감시원을 제외하고 대부분 1946년 5월과 6월 귀국하였다. 포로감시원들은 엄한 조사와 재판으로 64명 중 13명이 형을 받아 대부분 고국으로 귀향하지 못하였다. 형을 받지 않은 이들은 1946년 말, 1947년 고국으로 귀환하였다.
팔렘방으로 동원된 조선인들의 귀환과정은 귀환자체만이 아니라, 연합군·인도네시아인 독립운동조직·일본군 등의 힘의 대결이 이루어진 장이었으며, 우리 민족 내부에서도 군‘위안부’와 업자, 군인 군속, 노동자 등 성(젠더)과 계층성이 작동하며 다양한 삶과 생각이 노출된 장이었다.


This study aimed at looking into the course of repatriation of Koreans who were mobilized to Palembang in Sumatra, Indonesia. I tried to stereoscopically look into how mobilized Koreans to Palembang in the coercive atmosphere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met their homeland liberation and how they prepared returning home through their oral statements, memoirs, the list of names and others.
As Palembang, the central city in southern Sumatra, is located with an oil field between, conflicting interests between the Allied Forces and the Japanese army directly collided with each other there. At a point in time that Japan lost the war, there were 200~300 Korean people, who were comfort women and dealers concerned, civilians attached to the Japanese military and laborers (office workers).
After the Japanese defeat, the Japanese army disguised the comfort women as temporary nurses. And the Korean men who were released from the Japanese army or Japanese companies formed an organization only for Koreans named “Korean society in Palembang (팔렘방조선인회)” on the 18th of October, and started self-governing activities for securing foodstuffs and self-protection. Such activities were under way before the Allied Forces made a landing in earnest, and then, as war prisoner guards participated in the organization, its activities expanded. Koreans in Palembang heard news abou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ith the help of local Chinese Indonesians, and raised national consciousness drawing the national flag of Korea. But not every Korean in Palembang participated in “Palembang Joseoninhoi”. Some of the comfort women were attached to the Japanese army as the temporary nurses as before. And some Korean comfort women and civilians attached to the Japanese military committed suicide after hearing news of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or did not return to the liberated homeland and remained there.
Moving from Palembang to Singapore, “Palembang Joseoninhoi” virtually was dissolved on 7th of February, 1946. The war prisoner guards who formed the center of “Palembang Joseoninhoi” were detained in Palembang by the Allied Forces, and then they moved to Jurong POW camp in Singapore and came to participate in Korean society in Singapore (싱가포르고려인회) there. As there were activities like a lecture meeting in commemoration of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there, they instilled national consciousness. Most of Koreans who had been in Palembang except the war prisoner guards returned to Korea in May and June, 1946. The guards were strictly investigated on their activities in the Japanese army. 13 among 64 guards received a punishment at the trial, and most of them couldn’t return to Korea. The people who didn’t receive a punishment returned to Korea at the end of 1946 and in 1947.
The course of the repatriation of Koreans who were mobilized to Palembang showed not only the repatriation of Koreans itself but also the field of the confrontation of powers between the Allied forces, Indonesian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and the Japanese army. As there was a wide range of people of different genders like comfort women and dealers, civilians attached to the Japanese military, laborers inside our Korean people, their various lives and thoughts were disclosed.


키워드
강제동원, 조선인, 군‘위안부’, 군속, 포로감시원, 귀환, 팔렘방조선인회, 인도네시아 팔렘방, 싱가포르
Coercive mobilization, Korean, Comfort women,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War prisoner guard, Repatriation, Korean society in Palembang(팔렘방조선인회), Palembang in Indonesia, Singapore.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