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31

박옥경 제주의 잠녀 (해녀), 차례 (한글, 영어) Preface by Prof. Chun, Kyung-soo

책제목: 제주의 잠녀 (해녀), 이중신화 와 신유교사상

서문  :  전경수 교수ㅡ 서울대 사회인류학과 은퇴 교수

소개말: 살라뎅 앙글류교수, 라발대학 (케백주) 사회인류학과 은퇴 교수


저자의 들어가는 말:

1. Dedication and acknowledgement

2. 제주 학자들의 중요한 2개의 논설: 제주 정체성 과 살아져가는 잠녀

3. 저자의 수마트라섬 (인도네시아) 의 모계사회에 대한 저서와 잠녀사회의 비교


소갯말 - 제주의 현실을 발견하면서:


1. 흘러가는 배

2. 제주의 현실 - 화산섬과 어려운 환경

3. 제주의 현실과 신유교 사상의 영향 -  제주의 유일한 성관계의 유래

4. 제주 정체성과 잠녀

5. 여성중심 사회

6. 이책을 바침하는 데이터의 출처

7. 제정적인 받침


1장.   해민 (바다의 사람들) -  지리학적, 역사적 자취들


1. 제주의 지리

2. 제주섬을 채운 사람들과 그들의 유래

3. <물건너땅> - 제주

4. 삼국시대때 탐나왕국의 해상 무역

5. 고려시대와 몽골의 침략

6. 조선시대와 신유교 사상

7. 일본식민지 시대와 근대화

8. 4.3 사건과 한국 전쟁

9. 1960부터 현재까지의 제주 


2장.   제주 가족제도에서의 여성의 위치


1. 가족제도 안에서의 제주 정체성

2. 신유교사상 안에서의 가족제도

3. 제주가족제도의 모순

4. 제주가족제도안의 양성평등쪽의 경향

5. 제주가족제도 - 궨당

6. 우도섬 하우목동 마을 의 궨당 관계 

7. 제주 가족제도에 나타나는 제주의 성관계

8. 부부중심의 핵 가족관계 에 나타나는 평등성


3장.  제주의 잠녀 (해녀)


1. 한국의 아마존 - 외국인이 본 제주여인 - 너무도 떳떳한 한국의 아마존 여인

2.  한국의 카작- 제주 학자가 본 제주인들

3. 제주 신화에나오는 여성상

4. 잠녀에대한 제주 학계의 논설

5. 제주여성들의 잠수일의 역사적 배경

6. 해안과 중산지역 마을의  사회적-경제적  조건

7. 제주의 경제를 유지한 여인들 - 제주섬밖으로의 원정 물질

8. 잠녀들의 야간학교 교육과 일제 저항

9. 잠녀들의 세상과 그들의 가치관

10. 어장 (바다) - 잠녀들의 공동 재산

11. 잠녀들의 규칙

12. 잠녀들의 남자

13. 숨빗 - 잠녀들의 용기와 지혜 : 제주사회의 도덕적인 등뼈


4장. 잠녀들의 무속 신앙과 의식 (잠수굿)


1. 제주문화안의 샤마니즘

2. 마을의 신당 - 마을 사회의 중심

3. 제주마을 의식의 이중 구조

4. 잠녀, 무당 과 바다의 여신 사이의 관계

5. 바다여신을 위한 잠녀들의 굿 - 김녕 마을의 예

6. 잠녀들의 굿의 역활


5장. 한국 반도와 제주에 신유교사상의 영향

1. 제주인들의 신유교사상에대한  집착

2. 신유교사상 - 조선시대의 새로건국하는 나라를 짖는데 필요한   수단

3. 조상숭배 (제사) 는 부계사회를 강하게하는 수단

4. 고려 사회 - 신유교사상이 들어오기전에는 여성의 위치가 높앗다

5. 제주에 들어온 신유교사상 의 영향

6. 깊은 부계조상의 뿌리 의 예


6장. 과거의 제인가 - 거인여신 신화: 계속과 변화

1. 제주돌문화 공원 의 테마 - 거인여신 신화

2. 제주돌문화공의 역사와 공간

3. 제주 돌문화 박물관

4. 거인여신 설문대 할망관

5. 돌문화 공원에서 매년 열리는 설문대할망 제 

6. 설화에서 신화로의 개조

7. 현대에서 보는 설문대할망의 뜻: « 역사 » (history)에서 « 그녀의 이야기 » (her story) - 제주정체성의 새로운 정의 


_________________


Title: Dual Mythology, Neo-Confucianism and Women Divers (Jamnyo) of Jeju, Korea (2018)

Table of content 

Transcription of the Language 

Preface

Foreward

Author’s preface 

1. Dedication and acknowledgement

2. Two burning issues: Jeju identity and disappearing women divers

3. My earlier work on a matrilineal society of West Sumatra


Introduction - Discovering Jeju Reality

1. “A drifting boat”

2. The reality of Jeju - volcanic island and harsh environment

3. Jeju reality and Neo-Confucian influence:  The origin of a unique form of gender relations

4. Jeju identity and women divers

5. “Women centred society”

6. Sources of data used

7. Financial support, fieldwork location and methodology


Chapter 1. People of the Sea -  geographical and historical traces

1. Geography of Jeju

2. Peopling of Jeju and its origin

3. “District across the water” - Jeju

4. Tamna kingdom’s maritime trad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5. The Koryo period (918-1390) and the Mongol invasion

6. The Choseon dynasty (1390-1910)  and Neo-Confucianism

7. Japanese Colonialism (1910-1945) and modernization 

8. The April 3rd event (1948-49) and the Korean War (1950-53)

9. Jeju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2016)


Chapter 2. Women’s place in the Jeju kinship system 

1. Jeju identity in the domain of kinship 

2. The kinship system in the Neo-Confucian ideoloy

3. Contradictions in Jeju kinship system

4. The  “Neither sex dominant” tendency in Jeju kinship system 

5. Kwendang” in the Jeju kinship system

6. Kwendang relationship in Haumokdong village, Udo

7. Jeju gender relations as represented in the features of kinship system

8. Egalitarian nature of “couple centred” nuclear family relationship


Chapter 3.  Diving Women of Jeju (Jamnyo)

1. The Amazon of Korea - A foreigner’s view on Jeju women

2. The Kazak  of Korea - a Jeju scholar’s view on Jeju people

3. an image of women in Jeju mythology

4. Academic debate on women divers

5. Historical background of women diving

6. Socio-economic conditions of coastal and plains   villages

7. Supporters of the Jeju economy - Diving migrating outside the island

8. Divers’ anti-Japanese movement and night school education

9. The divers’ world and their value system

10. Fishing grounds (the sea) as a collective property

11. The divers’ rules

12. The divers’ men

13. Breathing out - Divers’ courage and wisdom - Moral backbone of Jeju society


Chapter 4.  Shamanic ritual of the divers 

1. Shamanism in Jeju Culture

2. Village shamanic shrines - Centre of the village   community

3. Double structure of Jeju village rituals

4. Relations between divers, shamans and the sea goddess

5. Divers’ shamanic Ritual for the sea goddess - the case of Gimnyung village

6. The role of divers’ shamanic ritual


Chapter 5. Neo-Confucian influence in cultures of Korea and Jeju 

1. Jeju people’s obsession with the Neo-Confucianism

2. Neo-Confucianism as a tool of change in building a new nation in the Choseon Dynasty

3. Ancestor worship ritual as a way of strengthening patrilineal lineages

4. Koryo - prior to coming of the Neo-Confucianism

5. Coming of the Neo-Confucianism to Jeju

6. Tracing deep patrilineal ancestral roots - an example


Chapter 6. Re-appropriation of the past and the “giant goddess mythology”: continuity and change 

1. The theme of Jeju Stone Park

2. Jeju Stone Park: history and space

3. eju Stone Museum

4. Seolmundae Halmang complex

5. Seolmundae Halmang Ritual at the Stone Park

6. Recomposition: from legend to myth

7. Meaning of Seolmundae Halmang myth in present time: From “History” to “Her story”: Re-defining the group identity


Glossary

Bibliography

Acknowledgements

-----

Preface by Prof. Chun, Kyung-soo (prof. emerite , seoul National University)

A serendipity arrived

Everywhere ethnographers have ultimately and everywhere been struggling with ethnographies ever since Malinowski’s Trobriand ethnography was published. Here is an ethnography based on Cheju island in Korea conducted by Dr. Pak Ok-kyung who acquired experience in matrilineal societies when studying the Minangkabau of Indonesia some years ago. Cheju, like Korea, has a tradition of patrilineality. Anthropologists(both female and male) in Korea has been raised in a patrilineal society. It seems to me that the ethnographer’s gender position is a key element in interpreting the nature of a society in terms of social structure. Annette Weiner raised at the question of the ethnographer’s gender in her work on Trobriand: “The women’s mortuary ceremony was a Pandora’s box…”(Weiner, A. 1976, Women of Value, Men of Renown: New Perspectives in Trobriand Exchange, p.8). The box was, in fact, closed in Malinowski’s ethnographies on Trobriand and Weiner needed to open it eventually. Malinowski used the interesting term,  “imponderabilia” of social life in human society in his work while Weiner tried to make it ponderable with her knowledge of gender. I believe she has successfully accomplished that at least to some extent. 

Here I have another Weiner at this moment. When Dr. Pak’s ethnography on Cheju appeared as a manuscript in front of me, I had to look over other ethnographies on the island published by Cho Hae-Jeong(1979) and Kim Chang-Min(1992). The former stressed women’s life style and finally used a term of “neither dominance” for describing the society in Cheju while the latter solely focused on the kindred known as Kwendang. Cho took the position of feminist anthropology while Kim kept his traditional position of social anthropology. Cho certainly opened up a new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Cheju society by focusing on the productive side of the lives of jamnyo (women divers) in contrast to men’s ritual obligations. Cho had successfully questioned the perspective of Jeju and also Korea as male dominant societies, in terms of the power relationships between female and male. However, in my opinion she failed to uncover the fundamental basis of the social structure of the island as being kinship where its main approach to social relationship is Kwendang. Kim’s contribution clearly touched upon this issue of kindred in his ethnography about Cheju. What’s missing from both ethnographies? Both had the perspective of laterality of kinship as a system in society and then obviously put aside that of lineality focusing on the rule of descent of which had tacitly and correctly been taken for granted in both ethnographies. Why did it happen like this? Both seemed ironically to be contaminated by a sort of touristic perspective, focusing solely on the Jamno whoes daily work (diving for sea food) supports their families.  

Dr. Pak’s contribution with this ethnography to explore the local variation of  the society of Cheju must be recognized as her comparative perspective on matrilineality, based on her studies of the Minangkabau. Her perspective of exploring this local variation of patrilineality in Korean soceity, adapted to this island, is the first attempt in the history of Korean anthropology as well as social science as a whole. This must be acknowledged as an eye-opener for Korean anthropology, as well as Korean studies in the international academic community. Jamnyo as a matter of fact have economic power in terms of everyday life at home and furthermore extend their social relationships in the community too. It could be viewed as a phenomenon of the matrilateral extension within the realm of patrilineal society with virilocality as the rule of residence. How does the “women-centered” life style function in this patrilineal society? This is the key question of Dr. Pak’s work. This is the serendipitous lesson for Koreans and Korean scholarship in terms of theory building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both in synchronicity and diachronicity. Critical discussion should never be ending with the explorations of this valuable ethnography on Korean studies. 


서문 전경수 교수 (명예 교수, 서울대학교)

뜻밖의 행운이 찾아왔다.

말리노프스키의 트로브리안드 민족지학이 출판된 이후 모든 곳의 민족지학자들이 궁극적으로 그리고 모든 곳에서 민족지학으로 고군분투하고 있다. 몇 년 전 인도네시아의 미낭카바우를 연구하면서 모계 사회 경험을 쌓은 박옥경 박사가 한국 제주도에 근거한 민족지학이다. 제주도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가계의 전통이 있다. 한국의 인류학자(여성과 남성 모두)는 부계 사회에서 길러졌다. 내가 보기에 민족학자의 성별 입장은 사회의 성격을 사회구조적으로 해석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로 보인다. 아네트 와이너는 트로브리안드에 관한 자신의 작품에서 인종학자의 성별에 대한 질문에 "여성의 장례식은 판도라의 상자였다"고 말했다. Trobriand Exchange의 새로운 관점, 페이지 8). 사실 이 상자는 트로브리앙드에 대한 말리노프스키의 민족지학에서 닫혔고 바이너는 결국 이 상자를 열어야 했다. 말리노프스키가 그의 작품에서 사회생활에 대한 흥미로운 용어인 "불가해성"을 사용한 반면, 와이너는 그녀의 성에 대한 지식으로 그것을 곰곰이 생각해볼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저는 그녀가 적어도 어느 정도는 성공적으로 해냈다고 믿습니다.

여기 또 다른 와이너가 있습니다. 박 박사의 제주 민족지학이 눈앞에 필사본으로 등장하자 조혜정(1979), 김창민(1992)이 펴낸 제주도 내 다른 민족지학들을 살펴봐야 했다. 전자는 여성의 생활방식을 강조하며 마침내 제주 사회를 묘사할 때 "두 쪽 다 지배"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후자는 권당이라는 동족에만 초점을 맞췄다. 조씨는 페미니스트 인류학, 김씨는 사회인류학의 전통적인 위치를 지켰다. 조씨는 남성 의례의무와 대조적으로 잠녀(여성 다이버)의 삶의 생산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며 제주 사회를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열게 됐다. 조씨는 여성과 남성의 권력관계 측면에서 제주도와 남성 지배사회로서의 한국의 시각에 의문을 제기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그녀는 권당이라는 섬 사회구조의 근본적 근거를 친족관계로 밝혀내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김씨의 기여는 제주에 대한 그의 민족지학에서 이 같은 문제에 명백히 언급되었다. 두 민족 모두 뭐가 부족하죠? 두 사람 모두 사회적 체계로서의 친족성에 대한 편협성의 관점을 가지고 있었고, 두 민족지학에서 암묵적으로 그리고 올바르게 여겨졌던 혈통 통치에 초점을 둔 선성의 관점은 분명히 제쳐두었다. 왜 이렇게 된 거죠? 아이러니하게도 둘 다 가족들에게 매일 하는 일(해식용 다이빙)에만 집중하는 일종의 관광적 관점에 오염되어 있는 것 같았다.

박 박사가 이 민족지리학에 기여한 공로는 미낭카바우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모계성에 대한 비교적 시각으로 인정받아야 한다. 이 섬에 적응된 한국 사회의 이러한 지역적 모계성을 탐구하는 그녀의 관점은 사회과학은 물론 한국 인류학 역사상 첫 시도이다. 이는 한국 인류학뿐만 아니라 국제학계에서 한국학이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잠뇨는 사실 가정에서의 일상 생활에서 경제력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사회에서도 사회적 관계를 더욱 넓혀가고 있습니다. 주거의 법칙으로 바이러스성을 지닌 부계 사회 영역 내 모계연장의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 3부제 사회에서 "여성 중심" 생활 방식은 어떻게 기능할까요? 이것이 닥터 박의 연구에 대한 핵심 질문입니다. 이것은 이론의 관점에서 한국인과 한국학자가 한국 사회를 동시성과 동시성으로 이해해야 하는 우연한 교훈이다. 비판적인 논의는 결코 한국학에 대한 이 귀중한 민족지학의 탐구로 끝나서는 안된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