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극우 주장 담은 '반일 종족주의'는 역사 부정"
송고시간2020-01-15
박상현 기자기자 페이지
신간 '반대를 론하다'·'한일 우익 근대사 완전정복'
경기도 파주 임진각 평화의 소녀상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지난해 화제를 모은 역사서 '반일 종족주의' 논지를 비판한 책 두 권이 잇따라 출간됐다.
일제 강제노동 연구로 유명한 정혜경 박사가 허광무·조건·이상호 박사와 함께 쓴 '반(反)대를 론(論)하다'와 이영채 일본 게이센여학원대 교수와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가 집필한 '한일 우익 근대사 완전정복'이다.
도서출판 선인이 펴낸 '반대를 론하다'는 부제가 '반일 종족주의의 역사 부정을 넘어'다. 한국 자본주의가 사실상 일제강점기에 시작됐다고 보는 식민지근대화론이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제외하고 강제동원 진실을 밝히는 데 집중했다.
반일 종족주의 저자들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사실을 대체로 부정한다. 그러나 정 박사는 일제가 강제성이 있는 징용을 비롯해 모집, 관 알선이라는 세 가지 방식으로 조선 노동자를 모았고, 징용 제도만을 활용하지 않은 이유에는 국민등록 체계 미비와 비용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한다.
정 박사는 일제강점기 노무동원에 강제성이 없었다면 왜 많은 조선인이 고향을 등져야 했고, 일본 기업이 현장 이탈자를 퇴사가 아닌 '도주'로 기재했는지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조선인 노동자가 임금을 제대로 받았다는 반일 종족주의 저자 견해에 대해서도 "직접 만난 노무동원 경험자들은 일하는 동안 임금을 달라는 요구를 하지 못했고 목숨만 건져 돌아오면 다행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고 반박한다.
정 박사는 "반일 종족주의는 전쟁 피해와 인권 문제를 연구하는 사람에게 불편함을 넘어 고역스러운 책"이라며 "일본 식민통치가 한국 근현대사에 기여했음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보인다"고 평가한다.
다만 정 박사는 국내 학계도 선행 연구를 비판 없이 수용하거나 잘못 해석하는 실수를 저질렀다고 고백한다. 그는 시작 단계인 강제동원 연구가 시행착오를 극복하고 실증적 탐구로 나아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지난해 화제를 모은 역사서 '반일 종족주의' 논지를 비판한 책 두 권이 잇따라 출간됐다.
일제 강제노동 연구로 유명한 정혜경 박사가 허광무·조건·이상호 박사와 함께 쓴 '반(反)대를 론(論)하다'와 이영채 일본 게이센여학원대 교수와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가 집필한 '한일 우익 근대사 완전정복'이다.
도서출판 선인이 펴낸 '반대를 론하다'는 부제가 '반일 종족주의의 역사 부정을 넘어'다. 한국 자본주의가 사실상 일제강점기에 시작됐다고 보는 식민지근대화론이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제외하고 강제동원 진실을 밝히는 데 집중했다.
반일 종족주의 저자들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사실을 대체로 부정한다. 그러나 정 박사는 일제가 강제성이 있는 징용을 비롯해 모집, 관 알선이라는 세 가지 방식으로 조선 노동자를 모았고, 징용 제도만을 활용하지 않은 이유에는 국민등록 체계 미비와 비용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한다.
정 박사는 일제강점기 노무동원에 강제성이 없었다면 왜 많은 조선인이 고향을 등져야 했고, 일본 기업이 현장 이탈자를 퇴사가 아닌 '도주'로 기재했는지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조선인 노동자가 임금을 제대로 받았다는 반일 종족주의 저자 견해에 대해서도 "직접 만난 노무동원 경험자들은 일하는 동안 임금을 달라는 요구를 하지 못했고 목숨만 건져 돌아오면 다행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고 반박한다.
정 박사는 "반일 종족주의는 전쟁 피해와 인권 문제를 연구하는 사람에게 불편함을 넘어 고역스러운 책"이라며 "일본 식민통치가 한국 근현대사에 기여했음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보인다"고 평가한다.
다만 정 박사는 국내 학계도 선행 연구를 비판 없이 수용하거나 잘못 해석하는 실수를 저질렀다고 고백한다. 그는 시작 단계인 강제동원 연구가 시행착오를 극복하고 실증적 탐구로 나아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
한일 우익 근대사 완전정복은 저자들이 유튜브 채널에서 강연한 내용을 창비가 엮은 단행본이다.
일본의 피해자 의식, 일본군 위안부와 징용, 일본 우익 연원, 한국 우익과 친일 문제를 짚고 역사에 관한 시각차로 교착 상태에 빠진 한일관계를 개선할 방법을 모색했다.
저자들은 일본이 과거사를 반성할 기회를 여러 차례 놓쳤고, 자신을 오히려 피해자로 인식하면서 역사 문제를 거론하는 주변국 반응에 '역사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고 진단한다. 아베 정권이 장기화하면서 역사를 부정하려는 우익 목소리도 커졌다고 분석한다.
이영채 교수는 "일본 극우 보수세력 실체는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도 잔영이 있다"며 "위안부와 강제동원을 부정하는 반일 종족주의 주장은 일본 역사수정주의자 생각과 맥락이 같다"고 비판한다.
그는 한·일 양국의 반일 종족주의 수요가 일본에서 패배한 역사수정주의가 한국에 수출된 뒤 일본 자본에 의해 다시 수입돼 나타난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저자들은 엉킨 실타래와 같은 한일관계를 풀려면 양국 시민사회와 사회운동 세력 연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아울러 저출산, 인구 도시 집중, 학교폭력 등 여러 사회문제를 공유하는 두 나라가 떼려야 뗄 수 없는 이웃임을 자각하고 새로운 미래를 열어야 한다고 제언한다.
반대를 론하다 272쪽, 1만5천원. 한일 우익 근대사 완전정복 288쪽, 1만6천원.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