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1-23
'선화공주 허구설은 허구다'라고 편파 해석하는 이유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선화공주 허구설은 허구다'라고 편파 해석하는 이유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선화공주 허구설은 허구다'라고 편파 해석하는 이유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본문듣기 설정
기사입력2019.11.19.
원본보기2009년 미륵사 서탑에서 나온 명문사리기. 서탑을 조성한 이가 좌평 사택적덕의 딸이자 백제왕후인 ‘사택씨’였다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서동요’의 주인공인 선화공주가 가공인물이었다는 폭탄선언이었다.|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필자는 10년 전인 2009년 1월 19일에 벌어진 ‘난리법석’을 잊을 수 없다. ‘미륵사, 선화공주와 무관하다’ ‘백제 무왕의 왕후 사택씨가 창건’ ‘서동요 설화 재검토 필요’ 등이 신문 제목으로 쏟아진 날이니 말이다. 그럴 만도 했다. 그 날 ‘미륵사지 서석탑(국보 제11호)의 해체 보수과정에서 석탑의 조성 이력을 밝히는 명문 금제사리봉안기가 확인됐다’는 제목으로 전해진 전북 익산 미륵사발 발굴자료는 두 눈을 의심케했다.
“백제 왕후인…좌평 사택적덕의 딸이…깨끗한 재물을 희사해서 가람을 세우시고…기해년(639년) 정월 29일 사리를 받들어 맞이했다.”
원본보기익산 쌍릉 ‘대왕묘’에서 발견된 남성인골더미. 1917년 이 무덤을 발굴한 일본인 야쓰이가 인골을 상자에 담아 무덤방에 넣은 것을 101년만인 지난 4월 재발굴 과정에서 찾아냈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제공
■어느날 떨어진 폭탄선언, “선화공주는 가공인물!”
폭탄선언이었다. “무왕의 부인(선화공주)이 용화산 큰 못에 나타난 미륵삼존을 보고 무왕에게 ‘이곳에 절을 지어달라’고 간청하여 미륵사를 지었다”는 <삼국유사> 내용은 새빨간 거짓이었다는 말인가. 미륵사를 창건한 이가 선화공주가 아니라 백제 좌평(16관등 중 1품)의 딸인 사택씨가 무왕의 부인이라면 ‘무왕(서동)이 퍼뜨린 동요 때문에 혼인했다’는 ‘서동요’의 내용 또한 허구였단 말인가. 백제 서동왕자와 신라 선화공주의 사랑과 혼인, 그리고 ‘하룻밤 사이에 뚝딱 이뤄진 미륵사의 창건’ 등 <삼국유사>의 내용을 역사적 사실로 믿고 있던 거의 모든 사람들에게 명문 사리기의 내용은 충격, 그 자체였다.
원본보기인골 분석 장면. 키 161~170㎝, ㎝나이 최소 50대이상, 60~70대 사이의 노년층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연대측정결과 7세기 초중반으로 판명됐다. 따라서 쌍릉 대왕묘의 주인공은 백제 제30대 임금인 무왕인 것으로 굳어졌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제공
■반전, 또 반전의 드라마
그 후 10년이 지나는 사이 ‘선화공주’ 논쟁과 관련된 몇차례 깜짝 놀랄 연구와 대반전의 발굴이 이어졌다.
이중 예부터 무왕과 무왕의 부인인 선화공주의 무덤으로 전해진 익산 쌍릉(사적 제87호)에 초미의 관심이 모였다. 2015년 국립전주박물관이 일제강점기인 1917년 일본인 야쓰이 세이이치(谷井濟一)의 발굴 이후 약 100년 만에 펴낸 보고서가 또한번 세상을 놀라게 했다. 쌍릉 중 무왕의 무덤으로 알려졌던 대왕묘에서 출토된 치아 4점을 분석한 결과 무덤의 주인공이 20~40대 여성이었다는 것이다. 그동안 무왕릉으로 알려졌던 대왕묘가 선화공주 혹은 사택씨의 무덤이란 말인가. 그렇다면 대왕묘보다 규모가 작은 소왕묘는 누구의 무덤이란 말인가. 아무렴 선화공주(혹은 사택씨)가 남편이자 임금인 무왕보다 큰 무덤을 조성했다는 것인가. 책임있는 국가기관이 펴낸 보고서라지만 의심스러운 대목이 한 둘이 아니었다.
원본보기무왕의 무덤인 것으로 사실상 확정된 쌍릉 대왕묘에서는 21m에 이르는 엄청난 규모의 무덤길이 확인됐다. 4m50㎝ 가량의 흰선은 피장자 생전에 무덤을 조성하려고 판 흔적이며, 보라색 선은 피장자가 죽은 뒤 파낸 무덤길의 흔적이다. 가운데 파란색 선은 일제가 파낸 흔적이다. 대왕묘가 무왕 생전에 철저하게 준비된 수릉이라는 얘기다.|원광대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제공
결국 2017년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쌍릉에 대한 대대적인 재발굴조사를 시작했다. 급기야 1년 뒤인 지난해 7월 대반전의 발굴성과를 발표했다. 즉 대왕묘을 발굴해보니 100년전 발굴자인 야쓰이가 나무상자 안에 담아놓고 간 1개체분의 인골(102조각)이 확인되었다. 그런데 이 인골을 과학적으로 분석했더니 그 주인공이 무왕일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인골의 키가 161~170㎝, 나이는 50대 이상의 노년층, 연대는 620~659년으로 추정됐다. 팔꿈치뼈와 목말뼈(발목뼈 중 하나)의 크기, 넙다리 뼈의 무릎부위 너비 등을 측정해봐도 남성이 틀림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161~170㎝ 정도의 키는 19세기 남성의 평균키(161.1㎝)에 견줘도 큰 편이다.
원본보기미륵사의 구조는 <삼국유사>에 나온 그대로. 3개의 금당과 3개의 탑이 나란히 조성된 3금당3탑의 형태이다. 중원(중앙목탑+금당)을 중심축으로 서원(서탑+금당)과 동원(동탑+금당)으로 구성됐다. 동탑과 서탑은 해체복원이 마무리됐지만 중앙탑은 터만 남았다. 일부 전문가들은 명문 사리기가 출토된 서탑의 조성자가 ‘사택씨’이며, 터만 남은 중앙목탑의 주인공이 ‘선화공주’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무왕(재위 600~641)은 풍채가 훌륭하고 뜻이 호방하며 기상이 걸출하다”는 <삼국사기> ‘백제본기·무왕조’에도 부합된다. 연구소측은 고고학·법의학·유전학·생리학 등은 물론이고 암석학과 임산공학 전문가들까지 총동원해서 분석한 결과이니 믿을 만하다고 단언했다. 애초에는 무왕묘로 추정되었다가 국립전주박물관 보고서에서 여성묘로 지목되었던, 그래서 선화공주 무덤일 가능성이 제기된 대왕묘의 주인공이 3년 만에 남성, 그것도 무왕으로 다시 바뀌는 순간이었다.
3원(금당)3탑 형식의 미륵사 가람배치. <삼국유사>의 창건설화를 입증해주는 배치이기도 하다.|이병호의 단행본 <백제왕도 익산, 그 미완의 꿈>에서
■쌍릉 대왕묘의 주인공은 백제 무왕
이러한 우여곡절 끝에 쌍릉 중 대왕묘의 주인공은 백제 제30대 임금인 무왕으로 사실상 확정되었다. 이제 관심의 초점은 소왕묘 발굴로 쏠렸다. 그러나 지난 9월 발표된 소왕묘 발굴성과는 실망스러운 것이었다. 선화공주인지, 사택씨인지 무덤의 주인공을 판가름할 어떤 증거도 찾을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럴만도 했다.
쌍릉은 “1329년(충숙왕 16년) 익산(금마군)의 무강왕 무덤을 도굴한 도적이 금을 많이 갖고 있다”는 <고려사> ‘열전·정방길’의 기록에서 보듯 고려시대부터 여러차례 도굴의 화를 입었기 때문이다. 이를 증명하듯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소왕묘 발굴에서 일제강점기 이전에 만들어진 길이 68㎝, 높이 45㎝ 정도의 도굴 구덩이가 확인됐다.
또한 100년 전 쌍릉을 발굴한 일본인 야쓰이는 “대왕묘나 소왕묘나 이미 도굴되었기 때문에 유물이 거의 없었다”고 했지만 그 말을 액면 그대로 믿을 수도 없다. 2015년 국립전주박물관 보고서에 따르면 쌍릉 출토유물이 20건 31점에 이른다고 했기 때문이다. 1917년 12월10일부터 6일간 발굴하고 3년 뒤인 1920년이 되어서야, 그것도 달랑 1쪽도 안되는 보고문을 남긴 야쓰이가 다른 출토품을 반출해갔을 수도 있다.
원본보기쌍릉 소왕묘 발굴모습. 소왕묘의 주인공은 무왕의 왕비일 것이며, 무왕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것으로 보인다. 무왕은 부인의 무덤 옆에 자신의 무덤을 조성했다. |원광대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제공
■무왕의 부인은 1명뿐이었을까
아무튼 실낱같은 희망을 걸어본 소왕묘 발굴이 소득없이 끝나자 ‘선화공주’ 논쟁은 다시 미궁에 빠졌다. 하지만 필자는 2009년 1월 19일의 ‘폭풍같은 하루’가 끝나고 이튿날부터 본격 제기되기 시작된 ‘그럼에도 선화공주’, 즉 ‘선화공주 실존설’을 놓치지않고 주목해왔다. 그러던 필자는 얼마전 출간된 이병호 국립중앙박물관 전시과장의 단행본(<백제왕도 익산, 그 미완의 꿈>, 책과함께)을 들여다 보면서 여전히 선화공주를 향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음을 깨닫게 됐다.
‘선화공주’설의 근거는 분명 존재한다. 과연 41년간이자 재위한 무왕의 왕비는 미륵사 서석탑 명문 사리기에 등장하는 ‘사택적덕의 딸’ 한 명 뿐일까. 이병호씨는 <삼국사기> ‘백제본기·무왕조’를 예로 든다.
“638년(무왕 38년) 3월 임금이 빈어(嬪御·임금의 첩)을 데리고 큰 못에서 배를 띄우고 놀았다”는 기록이다. 무왕이 본처가 아닌 첩과 뱃놀이를 했다는 것이다. 무왕에게 여러 왕비가 존재할 수 있었다는 단서가 된다.
“고구려 산상왕(197~227)에게 두 왕비가 있었다”는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산상왕조’ 기록도 있다. 1명은 고국천왕(179~197)의 부인이었다가 산상왕(고국천왕의 동생)의 왕비가 된 우씨 부인이고, 다른 1명은 산상왕의 소후가 된 20대 여성이다. <삼국사기>는 “왕후인 우씨부인이 남편(산상왕)과 관계를 맺은 20대 여인을 질투해서 죽이려다가 미수에 그쳤으며, 결국 산상왕의 아이를 낳은 여인은 소후(둘째 왕비)가 됐다”고 했다. 또 <일본서기> ‘흠명조’는 “고구려 안원왕(531~545)에게 왕비가 셋이었다”고 기록했다.
원본보기익산 쌍릉 중 소왕릉의 무덤길 안쪽에 서있는 묘표석. 높이가 120㎝에 달하는 거대한 돌이 무덤의 주인공을 지키고 있다. 발굴단은 이 묘표석이 무덤주인공의 사후 생활이 편안하도록 귀신을 지키는 벽사의 의미로 조성된 것이라 추정했다.|원광대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제공
그렇다면 백제 무왕 시대에는 사리봉영기에 등장하는 사택왕후와 삼국유사에서 부인으로 등장하는 선화공주, 그리고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빈어 등 여러 왕비(후궁 포함)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서탑의 주인공은 사택씨, 그러면 중앙목탑은 ‘선화공주?’
이 가운데 ‘3명의 왕비설’은 ‘사택씨’의 등장으로 한바탕 소용돌이가 휘젓고 간 다음날인 2009년 1월 20일부터 제기됐다. 미륵사가 ‘3금당 3탑’이라는 독특한 구조를 지니고 있는 것에 착안됐다. 즉 미륵사는 발굴결과에서 밝혀졌듯 중원(중앙목탑+금당+문)과 서원(서탑+금당+문), 동원(동탑+금당+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미륵사는 전·탑·낭무 등을 각 세 곳 창건했다”는 <삼국유사> 기록, 즉 ‘삼원병렬식 가람배치’와 정확히 부합된다. 그런데 ‘사택적덕의 딸이 창건했다’는 명문은 서탑의 해체·복원과정에서 출토됐다. ‘사택씨’가 서원(서탑+강당)을 창건한 왕비라면, 중원과 동원은 선화공주를 비롯한 다른 왕비들이 세웠다는 추론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 3금탑3탑 중에 가람의 중심축 역할을 하는 중원이 서원이나 동원보다 먼저 세웠을 것이라는 추정도 가능하다. 근거가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서탑의 해체·복원에 앞서 주변부를 약식발굴해본 결과 중원 서회랑 판축이 먼저 이뤄지고, 나중에 서탑(서원) 쪽이 성토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륵사서탑 보고서>는 “이것은 중원 쪽이 서원보다 먼저 조성된 증거”라고 해석했다. 그렇다면 서원과 동원은 어느 쪽이 먼저였을까.
이병호 과장은 “1층에서 6층까지 별개의 돌을 조립해서 입체감을 풍기는 서탑에 비해 입체감이 떨어지는 동탑은 백제가 아닌 통일신라 기법으로 조성됐다”면서 “동원이 서원보다 늦게 조영됐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원본보기1917년 일제강점기에 야쓰이 세이치가 약식으로 발굴할 당시의 익산 쌍릉.
■무왕의 왕비는 3명이었다?
또한 미륵사터에서 출토된 명문 백제 기와(수막새) 가운데 오로지 미륵사에서만 보이는 ‘정해’명 기와가 가장 많은 80여 점에 이른다. ‘정해’는 627년에 해당되는데, 이는 미륵사의 초축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이병호 과장은 “미륵사 창건에 사용된 기와들이 627년 전후에 제작된 것이라면 미륵사 공사는 서탑 완공 시기(639년)보다 10여년 앞서 시작되었다는 이야기”라고 추정했다. 결국 미륵사의 중심축인 중원(중앙목탑+금당)의 건립 등 주요건물의 축조는 이미 620년대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즉 미륵사의 조영시기는 중원(620년대?)→서원(639년)→동원 순이라는 것이다,
한가지 의문이 더 생긴다. 서원의 조성시기와 조성자가 ‘639년 사택씨’라면 그보다 앞선 중원의 조성자는 ‘선화공주’ 혹은 제3의 왕비라는 얘기인가. 이와 관련해서 단서가 되는 두 사료가 있다. 즉 “641년(무왕 42년) 임금이 승하했다”는 <삼국사기> ‘백제본기·무왕조’와 “642년 의자왕의 국주모(國主母)가 죽었다”는 <일본서기> ‘서명’조의 기사이다. 이병호 과장은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국주모’, 즉 국왕의 어머니는 무왕의 부인으로 639년 미륵사 서탑을 발원한 ‘사택씨’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639년과 642년은 불과 3년의 차이인데, 그 3년 동안 왕비가 교체되었을 가능성이 상식적으로 희박하기 때문이다. 결국 무왕이 서거한 지(641년) 1년만에 왕비인 사택씨가 승하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무왕의 부인이 한 사람이 아니라면 선화공주는 ‘사택씨’ 이전의 왕비이며, 그 분이 미륵사 중원을 조성했을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다.
원본보기무왕의 무덤인 쌍릉 대왕묘에서 나온 목관 실측도. |이병호씨 제공
■무왕이 생전에 자기 무덤을 조성한 이유
이와 관련해서 몇가지 중요한 단서가 잡혔다.
하나의 실마리는 무왕의 무덤으로 사실상 확정된 익산 쌍릉의 대왕묘에서 무덤길이 확인됐다는 것이다. 무덤길은 무덤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되는 일종의 통로로 목관이 들어가는 길이다. 길이 21m, 최대너비 6m, 최대깊이 3m 정도인 이 무덤길은 백제 왕릉급 무덤 중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목관을 넣는 장례의식이 얼마나 장엄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런데 이 무덤길을 발굴한 조사단(마한백제문화연구소)은 이 대왕묘가 무왕의 생전에 미리 조성한 이른바 수릉(壽陵)이라는 증거를 찾아냈다. 즉 무왕 살아생전에 미리 석실을 마련해놓고 일정시간이 흐른 뒤 21m에 이르는 무덤길을 파서 시신을 매장하는 절차를 거친 흔적을 보여주는 토층 분석 결과가 나왔다. 무왕은 왜 사비(부여)가 아닌 익산에 묻히기를 희망했을까. 아마도 무왕은 기존 귀족들의 권력과 경제기반을 축소시키고 자신의 세력을 넓히려고 자신의 출생지이자 어머니의 연고지인 익산을 개발했고, 그 또한 그것에 묻히기를 희망했을 것이다.
원본보기대왕묘 출토 목관 복원도. 관의 뚜껑을 여닫는 밑동쇠와 꾸미개의 기법과 문양으로 보아 소왕묘보다 늦게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이병호씨 제공
■사택씨는 쌍릉 소왕묘의 주인공이 될 수 없다
이와는 달리 무왕 부인의 무덤인 소왕묘는 발굴결과 수릉이 아니라 죽은 뒤 조성한 무덤인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소왕묘의 주인공은 무왕의 생전, 즉 641년 이전에 죽었고, 무왕은 바로 이 죽은 주인공(왕비)의 곁에 묻히기 위해 무덤(대왕묘)을 미리 조성했다는 얘기가 된다. 따라서 무왕이 승하한 1년 뒤(642년) 서거한 ‘사택씨’가 쌍릉의 소왕묘에 묻힐 수가 없다. 이병호 과장은 “아마도 642년 죽은 의자왕의 국주모, 즉 ‘사택씨’는 사택 가문의 세력기반지인 사비에 묻혔을 가능성이 크다”고 추론한다. 그렇다면 소왕묘의 주인공은 641년 이전에 죽은, 무왕의 또다른 왕비인 선화공주이거나 혹은 제3의 왕비일 가능성이 짙다.
원본보기소왕묘 출토 유물들. 입체적이고 화려한 장식기법과 문양으로 보아 대왕묘 보다 앞선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이병호씨 제공
이병호 과장은 이러한 추론에 고고학적인 근거를 제시한다. 즉 소왕묘와 대왕묘에서는 1917년 야쓰이의 발굴 때 목관의 뚜껑을 여닫기 위해 장착된 밑동쇠 및 꾸미개가 출토되었음이 뒤늦게 밝혀졌다. 그런데 두 왕묘 출토품의 문양과 제작기법을 비교했더니 소왕묘 출토품이 대왕묘 출토품보다 시대가 앞선 것으로 파악됐다.
또 소왕묘 출토 밑동쇠와 비슷한 사례가 부여 부소산성에서 출토된 금동광배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이 부소산성에서는 금동광배와 함께 621년 발행된 당나라 동전 개원통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익산 쌍릉의 소왕묘 밑동쇠의 제작시기 또한 621~630년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게다가 이 소왕묘 출토 밑동쇠와 꾸미개는 양식상 ‘사택씨가 639년 창건한’ 미륵사 서탑의 사리호 양식보다 앞선다. 그렇다면 소왕묘는 621~630년 무렵 서거한 무왕의 부인 무덤일 공산이 짙다. 이런 여러가지 자료로 볼 때 쌍릉 소왕묘의 주인공은 ‘사택씨’가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그 주인공은 ‘선화공주’이거나 제3의 왕비일 가능성을 배제할 이유가 없다.
원본보기소왕묘의 관뚜껑을 여닫는데 쓰인 밑동쇠(맨 왼쪽)과 대왕묘의 꾸미개(가운데와 오른쪽)는 장식기법과 문양이 다르다. |이병호씨 제공
■<삼국유사> 무왕조는 정확한 사실이다
돌이켜 생각하면 지금까지의 미륵사 발굴 결과는 <삼국유사>의 내용이 결코 설화가 아니라는 사실을 웅변해준다. 무왕과 선화공주의 혼인과정에 비록 설화의 요소가 담겨있지만 “미륵설화를 법상으로 삼고 전·탑·낭무 각 세 곳을 창건했다”는 <삼국유사>의 내용은 미륵사 발굴에서 드러난 삼원병렬식 가람배치와 정확히 일치한다. 또한 또 “지명법사가 신통력을 발휘해서 산을 무너뜨려 연못을 메웠다”는 <삼국유사> 기록은 어떨까. 그런데 미륵사 가람 중심부 발굴에서 뻘흙과 같은 저습지의 흔적이 폭넓게 확인됨에 따라 사실로 굳어졌다. 또 절의 뒷편에 용화산이 위치하며 그 중턱에 사자사라는 절터가 확인된다는 점 역시 “무왕이 부인과 함께 사자사에 가려고 용화산 밑의 큰 못가에 이르렀더니 미륵삼존이 연못 가운데서 나타났다”는 <삼국유사> 기록을 정확히 웅변해준다.
<삼국유사> 내용이 이렇게 고고학 발굴 자료와 부합되는데, 유독 선화공주와 서동(무왕)의 혼인 이야기나 선화공주의 존재만 부정하는 것은 왠지 불공평하다는 느낌이 든다. 부정론자들은 당대 백제 무왕(재위 600~641)과 신라 진평왕(540~576) 시대 양국은 불구대천의 원수 사이였는데 “무슨 국가간 혼인이냐”고 고개를 내젓는다. 즉 백제는 성왕(재위 523~554)이 신라 관산성을 공격하다가 전사한(554년) 이후 전쟁을 되풀이했다.
원본보기부여 부소산성 출토 금동광배. 소왕묘 출토 밑동쇠와 비슷한 문양이다. 부소산성에서는 금동광배와 함께 621년 발행된 당나라 동전 개원통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익산 쌍릉의 소왕묘 밑동쇠의 제작시기 또한 621~630년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이병호씨 제공
■백제 왕자와 신라 공주의 혼인은 진실일 수 있다
하지만 전쟁이 한창 일어나는 그 순간에도 사신은 오고가는게 국가간 외교이다. 또 국가간 혼인 역시 정략적인 차원에서 이뤄진다. 긴장이 높아질수록 오히려 혼인이 쉬워질 수 있다. 단적인 예로 백제 성왕이 553년(성왕 31년·진흥왕 14년) 10월 자신의 딸을 진흥왕의 소비로 보냈다는 <삼국사기> 기록이 있다. 553년이면 백제가 신라의 배신으로 한강유역을 빼앗긴 직후다. 성왕이 끓어오르는 분노를 참고 애지중지하던 자신의 딸을 진흥왕의 소비(小妃)로 보낸 이유는 아마도 신라로부터 한강하류지역을 반환받기 위한 고육책이었을 가능성이 짙다.
원본보기미륵사터에서 가장 많이 확인된 ‘정해(629년)’명 기와. 미륵사의 초축연대를 가늠할 수 있는 자료이다. 80여점의 ‘정사’명 기와가 나왔다.|이병호씨 제공
필자는 이야기를 좋아한다. 그런 필자가 1500년 동안 이어지던 백제 왕자와 신라 공주의 애틋한 사랑이야기가 ‘허구’라고 하는 명문기록이 어느날 갑자기 나왔으니 얼마나 허무했겠는가.
그러나 다행히 이병호씨와 같은 연구자들이 ‘선화공주 실존설’을 제기해주니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 2009년 1월 19일 ‘선화공주 허구론’이 단번에 대세로 들이닥친 다음날(20일)부터 곧바로 ‘그럼에도 선화공주론’을 개진하는 기사를 쓸 수 있었던 이유다. 그후 10년이 지난 지금에도 필자는 선화공주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한다. 편파해석일지 모르지만 포기할 수 없는 근거가 분명 많은데 왜 선화공주를 버리겠는가. (이 기사를 쓰는데 이병호 국립중앙박물관 전시과장의 ‘<백제왕도 익산, 그 미완의 꿈>, 책과함께, 2019년’이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경향신문 선임 기자 lkh@kyunghyang.com
Subscribe to:
Post Comments (Atom)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