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7

알라딘: 작은 것이 아름답다 - 유종호 2019

알라딘: 작은 것이 아름답다 - 시, 깊고 넓게 겹쳐 읽기
유종호  2019-06-10




































미리보기

종이책전자책 9,450원




책소개
평생 시문학에서 이러한 매력을 발굴해 온 유종호 문학평론가의 신간. 영문학자로서, 문학평론가로서, 교육자로서 살아오면서 맞닥뜨린 시적 진실을 담았는데, 특히 개인적으로 애정이 더 가는 작품들을 골랐으며 평생 시에서 얻은 삶의 지혜를 고즈넉하게 담았다.

시는 문학에서 가장 짧은 장르다. 그래서 더 문학적 진실의 정수가 녹아 있는 장르이기도 하다. 이러한 맥락을 바탕으로 이 책은 백석과 상호텍스트성, 윤동주와 ‘창조적 배반’, 루크레티우스와 시의 역사적 진실, 하기와라 사쿠타로와 번역시의 문제 등 다양한 문제의식을 통해 필자를 매혹시켰던 시인과 문학적 진실에 대하여 조용히 이야기하듯이 들려준다.


목차


책머리에
1부
1 상호텍스트성의 현장― 백석과 다나카 후유지
2 운명이란 이름의 자작극― 백석의 ‘아모르 파티’
3 시도 역사를 만든다― 루크레티우스와 근대
4 오래된 놀라운 신세계―『사물의 본성』을 읽고
5 모나리자와 살구꽃― 진흙 속의 진주
6 열아홉 적의 매혹― 하기와라 사쿠타로
7 슬픈 천명인 줄 알면서도― 일본어판 윤동주에 붙여
8 총독부에 갔다 온다― 이바라키 노리코 시의 친화력

2부
9 작은 것이 아름답다― 짤막함의 힘
10 근사치를 향한 포복― 번역시의 어려움
11 현자의 시론― 공자, 니체, 그리고 벌린
12 불변하는 것과 당대적인 것― 보들레르, 베토벤, 그리고 바쇼
13 시인의 고향에서― 칭송과 예의
14 아직도 담배를 태우세요?― 나의 살던 고향과 얼룩소
3부
15 서정적 변모의 궤적― 박목월의 시적 역정
16 굶주려 본 사람은 알리라― 시와 정치
17 거부와 부정의 육성― 신동문 다시 보기
18 디오게네스의 노래― 오직 시를 위한 삶
19 가난문화의 시적 성찰― 『질마재 신화』 다시 보기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20세기가 바뀔 무렵 단체 여행단에 끼어 일본 훗카이도(北海道)를 처음으로 가 보았다.

차라리, 고등보통같은것 문과(文科)와같은 것 도스터이엡스키이와같은것 왼갖 번역물과같은것 안읽고 마럿스면 나도 그냥 정조식(正條植)아나심으며 눈치나살피면서 석유호롱 키워놓고 한대(代)를 지켰을꺼나. 선량한나는 기어 무슨 범죄라도 저즈럿슬것이다.

어머니의 애정을 모르는게아니다. 아마 고리키 작(作)의 어머니보단 더하리라. 아버지의 마음을 모르는게아니다. 아마 그 아들이 잘 사는 걸 기대리리라. 허나, 아들의지식이라는것은 고등관도 면소사(面小使)도 돈버리도 그런것은 되지안흔것이다.

고향은 항시 상가(喪家)와 같드라. 부모와 형제들은 한결같이얼골빛이 호박꽃처럼 누러트라. 그들의 이러한 체중(體重)을 가슴에언고서 어찌 내가 금강주(金剛酒)도아니먹고 외상술도 아니 먹고 주정뱅이도 아니 될 수 있겠느냐!!

안해야 너 또한 그들과 비슷하다. 너의 소원은 언제나 너의 껌정고무신과 껌정치마와 껌정손톱과 비슷하다. 거북표류(類)의 고무신을 신은 여자들은 대개 마음도 같은가 부드라.
(네, 네, 하로바삐 취직을 하세요) 달래와 간장내음새가 피부에젖은안해, 한달에도 및번식 너는 찌저진 백로지(白露紙)쪽에 이러케 적어보내는것이나, 미안하다, 취직할 곳도 성공할 곳도 내게는 처음부터 업섯든걸 아라라..
미안하다 안해야. 미안하다. 미안하다.

- <풀밭 위에서>, 서정주 접기 - 좋은날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조선일보
- 조선일보 2018년 6월 15일자 '편집자 레터'
서울신문
- 서울신문 2019년 6월 23일자
한국일보
- 한국일보 2019년 6월 25일자
경향신문
- 경향신문 2019년 6월 24일자



저자 및 역자소개
유종호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서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했다. 공주사범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가르쳤고, 연세대학교 국문학과에서 석좌교수로 퇴임하면서 교직 생활을 마감했다. 저서로 『유종호 전집』(5권), 『시란 무엇인가』, 『문학이란 무엇인가』, 『서정적 진실을 찾아서』, 『한국근대시사』, 『나의 해방 전후』, 『그 겨울 그리고 가을』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 샬럿 브론테의 『제인 에어』, 아이리스 머독의 『그물을 헤치고』, 윌리엄 워즈워스의 『하늘의 무지개를 볼... 더보기

수상 : 2023년 정지용문학상, 2006년 대한민국 예술원상, 1995년 대산문학상, 1995년 편운문학상, 1988년 대한민국 문학상, 1959년 현대문학상
최근작 : <사라지는 말들>,<작은 것이 아름답다>,<그 이름 안티고네> … 총 70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 한국 문학평론의 거목 유종호 선생이 들려주는 시의 품격

유종호 문학평론가는 문학이 고유의 매력과 저력으로 다른 시청각 매체와 경쟁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문학에 대한 이러한 믿음을 소설보다 시에서 더 찾는다. 왜냐하면 영화나 뮤지컬 등으로 재창조되는 소설과 달리 시의 고유한 능력은 ‘대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 대체 불가능한 자질은 바로 ‘진실’이다. 그래서 공허한 수사나 거짓 이야기가 따라 할 수 없는 시 본연의 자질은 인문학의 정신과도 통한다.

평생 시문학에서 이러한 매력을 발굴해 온 유종호 문학평론가의 신간 『작은 것이 아름답다: 시, 깊고 넓게 겹쳐 읽기』가 출간되었다. 이 책에는 영문학자로서, 문학평론가로서, 교육자로서 살아오면서 맞닥뜨린 시적 진실을 담았는데, 특히 개인적으로 애정이 더 가는 작품들을 골랐으며 평생 시에서 얻은 삶의 지혜를 고즈넉하게 담았다. “미처 착안하지 못한 국면을 밝혀 주어 독자의 안목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된다면 다행으로 생각할 것이다.”

★ “모든 고양된 감정은 짤막하게 마련이다.” ―에드거 앨런 포

시적 진실은 문학에서 미학적인 반응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그런데 시는 거대한 진실을 가장 짧은 형태에 담은 문학 장르다. 예를 들어 알렉산더 포프의 “미래를 모르는 다행이여!”라는 재치 있는 외침, 영웅의 몰락과 참새의 추락을 대비시킨 짧은 은유들은 거대한 역사의식이 체득돼 있지 않고는 나올 수 없는 표현들이다. 월터 새비지 랜더는 일흔다섯 살 생일에 지은 4행시에서 “나는 아무와도 다투지 않았다, 다툴 만한 상대가 없었기 때문./ 나는 자연을 사랑했고, 그다음으론 예술을 사랑했다/ 나는 생명의 불길에 두 손을 쪼였다./ 그 불이 가물거린다. 나는 떠날 채비가 돼 있다.”고 말하는데, 이는 “철학한다는 것은 죽음을 배우는 것”이라는 몽테뉴의 사상을 “더 사색하고 궁리할 필요가 없는 안심입명(安心立命)”의 경지로 끌어올린 것이다.

시는 문학에서 가장 짧은 장르다. 그래서 더 문학적 진실의 정수가 녹아 있는 장르이기도 하다. 이러한 맥락을 바탕으로 이 책은 백석과 상호텍스트성, 윤동주와 ‘창조적 배반’, 루크레티우스와 시의 역사적 진실, 하기와라 사쿠타로와 번역시의 문제 등 다양한 문제의식을 통해 필자를 매혹시켰던 시인과 문학적 진실에 대하여 조용히 이야기하듯이 들려준다.

★ “시 읽기는 삶의 낙이자 고독의 의미를 가르쳐 준다.”

“문학을 포함해서 예술 없는 삶은 오류다!” 유종호 문학평론가에게 문학은 삶과 떨어질 수 없는 존재론적 의미를 지닌다. 『작은 것이 아름답다』에는 전쟁과 가난으로 인한 부족하고 메마른 삶 속에서 시가 어떤 역할을 했는가에 대한 개인적인 체험이 개별 시인들 소개와 맞물려 펼쳐진다. 독자는 80여 평생 문학에 몸담은 저자의 사적인 문학 체험을 통해 우리 삶에 시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에 대한 키워드를 제공받게 된다. 이제 독자는 한 시대를 대표하는 굵직한 문학평론가의 문학과 철학을 입체적이고도 편안하게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시는 내 삶의 첫 열정이란 말을 더러 해왔다. 시를 되풀이 읽고 외우며 즐겼고 그것을 낙으로 알았다. 해방을 맞아 뒤늦게 우리말을 새로 발견하고 익히기 시작한 직후여서 시 읽기는 동시에 말 쓰임새 배우기의 즐거움이기도 하였다.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권면하면서 호응과 동조를 기대하는 것이 사람의 마음이다. 중학 시절 그런 시도를 해보았으나 동조자를 찾지 못했다. 시 읽기는 낙이었으나 동시에 내게 고독의 의미를 가르쳐 주기도 하였다.” 접기





문학평론가 이명원의 말처럼 서정주는 무책임의 윤리를 미끈한 언어로 은폐 분식시켰다는 점에서 언어의 연금술사가 아니라 언어의 도금술사라고 해야한다. 예술가의 행위와 작품은 별개라고 주장하는 인간들이 기억해야 할 말이다.
anathema 2019-06-14 공감 (4) 댓글 (0)
Thanks to
공감





유종호 선생님의 거의 모든 글을 읽었고, 그 때마다 가장 행복하고 뭉클한 독서의 경험을 얻었습니다. 신간을 내 주시는 것에 대해 무조건 감사할 따름입니다.
초록비 2019-06-19 공감 (3) 댓글 (0)
Thanks to
공감





제목부터 끌렸던 책입니다. 작은 것을 소중히 여기며 시를 대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rlarmaso 2019-12-15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