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19

신의주 할아버지 할머니와 아버지 어머니가 거기 출신이다. 그러니 나도

Facebook

 
내 생각엔, 모르는 장소에서 하는 건 산보가 아니다. 처음 가보는 곳이라도 아는 곳이 있고, 자주 다녀도 모르는 곳이 있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산보는 전자에서만 가능하다.
.
산보는 길을 잃을 염려 같은 것 전혀 없이 발길 닿는대로 걷는 일이면서, 그러고 다니는 동안 감각기관에 들어오는 모든 정보를 그대로 흡수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이건 내가 걷고 있는 그 공간을 근원적으로 긍정하고 있을 때에만 가능한 일이다. 어떤 곳을 근원적으로 긍정한다는 건 내가 거기서 시작되었다는 걸 알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출신'은 그곳이 나를 세상을 향해 꺼내 주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
내게는 서울이 그런 곳이다. 서울에서는 길을 몰라도 모르지 않고, 길을 잃어도 잃지 않는다. 이건, 물론, 내가 서울 출신이기 때문이고, 동시에 서울에 살지 않기 때문이다.
.
동남아에서 북한 공작원을 만난 민노총 인사들이 수사를 받는다는 기사를 읽고나서, 신의주 거리를 걷는 두 사람의 모습을 스케치했다. 내 할아버지 할머니와 아버지 어머니가 거기 출신이다. 그러니 나도 거기 출신이다. 요즘 나는 수시로 거기에 간다. 거기에 가서 할아버지, 아버지, 어머니, 아버지의 친구도 보고, 마산 출신 영감을 하나 만난다. 48년에 조선의 통일을 위해 올라갔다가 흐지부지 살아남은 사람. 그 사람은 신의주 거리를 걷되 산보하지 못하고 걷지 못하는 마산의 거리를 산보한다.
.
팔십년대 말에 '전취'라는 단어를 자주 쓰는 사람이 주변에 있었다. 어떤 일이 실제로 벌어지기 전에 먼저 끌어당겨서 내것으로 만든다는 뜻이었는데, '인간해방이 이뤄진 세계를 전취하는 상상력.' 이런 문장 속에서 쓰곤 했다. 나는 늘 그 말과 바깥의 거리 사이의 대비가 재미있었다. 그 둘 사이가 나와 당시의 벗들이 살고 있는 공간이었다. 현실의 거리와 전취된 세계의 거리. 그 사이. 일찍 세상을 떠난 한 선배를 추모하는 글에 다른 선배가 "어깨를 짚고 뛰어올라 높은 나뭇가지에 매달린 나뭇잎을 쥐려 하던 모습" 하는 식으로 쓴 문장이 있었는데 그 '사이'의 모습이 바로 그런 것이었다.
.
허구를 다루면서 알게 된 것 중 나한테 가장 의미있는 깨달음 하나를 꼽으라면, 남의 이야기와 내 이야기의 구분이라는 게 필요 없다는 것이다. 중요한 건 그 이야기의 의미를 누군가가 알고 말한다는 사실 자체다. 제임스 조이스의 <더블린 사람들>에 실려 있는 신비힌 이야기들처럼.
.
사진 속의 인물 둘 다 지금의 나보다 어리다. 둘 다 아마 사십대 초반?
.
All reactions:
김희숙 and 72 others
10 comments
Like
Comment
10 comments
Most relevant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