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9-03

일본 퇴행의 책임, 일본 리버럴에 있다 : 책과 생각 : 문화 : 뉴스 : 한겨레모바일

일본 퇴행의 책임, 일본 리버럴에 있다 : 책과 생각 : 문화 : 뉴스 : 한겨레모바일

다시, 일본을 생각한다-퇴락한 반동기의 사상적 풍경
서경식 지음, 한승동 옮김/
나무연필·1만6000원


“와다 선생의 방향 설정은 잘못된 게 아닌가, 라는 것이 나의 논점이다. 이런 문제 제기에 대해 ‘그는 선한 사람이다’라는 식의 반격은 논점에서 벗어난 것이고 (…) 악의적인 바꿔치기라고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서경식 도쿄경제대 교수는 한국과 일본 두 사회에서 모두 ‘타자’다. 그는 한국에 서는 재일동포라는 국외자로, 일본에서는 재일조선인이라는 소수자로 살아왔다. 한국에서는 두 형이 간첩단 조작사건으로 참혹한 곤경을 겪고, 일본에서는 차별 과 배척을 받았다. 그의 가족사는 두 사회의 주류와 다수자들이 볼 수 없는, 아 니 보지 않으려는 불편한 진실을 대면케 한다. 그가 겪는 신산한 삶은 전작인 < 나의 서양미술 순례>에서 보여준 풍부한 인문학적, 문학적, 역사적 소양으로 승 화됐다. 하지만 그는 <다시, 일본을 생각한다>에서 칼을 꺼낸다.

한일관계와 일본 과거 사 문제에서 일본의 양심을 대변한다는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에 대한 그 의 직설적 비판이 대표적이다. 그가 이 책에서 건드리는 불편한 진실의 대상은 일본의 진보 진영이다. 그는 아베 신조 정권으로 상징되는 최근 일본의 퇴행과 반동의 책임을 우리에게는 진보 진영으로 인식되는 ‘리버럴파’에 묻는다.

그에 따르면 일본 사회는 1990년대 이후 긴 ‘반동의 시대’로 들어갔다.
1990년 대 중반까지의 ‘사회당·총평(일본노동조합평의회)’계 그룹, 신문을 예로 든다면 <아사히신문> <마이니치신문> <도쿄신문>과 그 독자층으로 구성된 일본의 리버럴파는 일본 안팎의 조류에 붕괴했다. 사회주의권 붕괴와 동서 대립 구도의 종언, 신자유주의의 도래 앞에 투항한 것이다.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권위 주의 체제가 동요하며 민주화가 진행된 결과, ‘위안부’ 문제 등 일본의 봉인된 전 쟁범죄 문제가 표면에 떠올랐다. 하지만 당사국 일본은 이 벡터가 역방향으로 향 했다. 진보 세력을 결집하는 대안을 제시하는 대신에, ‘탈이데올로기 시대’라는 천박한 구호와 함께 스스로 자기붕괴의 길을 택했다. 진보적 입장을 대변하던 사회당은 보수 우파인 자민당과의 연립을 받아들였다가 결국 소멸로 갔다. 국가주의에 저 항하며 일장기 히노마루와 국가 기미가요 제창을 거부하던 교원노조는 이를 용 인했다.

서경식은 위안부 문제를 제국 운영의 부수적 피해라고 주장하는 ‘박유하 현상’에 빗대 이를 설명한다. “박유하의 언설이 일본 리버럴파의 숨겨진 욕구와 정확하 게 합치하기 때문이다 (…) 우파와 일선을 긋는 리버럴파 다수는 이성적인 민주 주의자를 자임하는 명예 감정과 옛 종주국 국민으로서의 국민적 특권 모두를 놓 치고 싶지 않은 것이다.”

한국의 입장에서 그의 이런 비판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와다 교수의 현실주의적 선회로 보면 이해된다. 와다 교수는 2015년 12월28일의 한일 위안부 문제 합 의를 백지 철회하도록 하는 것은 ‘일의 경과로 보건대 어렵다’고 말한다. 새로운 해결안을 내놓게 할 힘이 일본 국내에는 없기 때문에 그 한일 합의가 개조·개선 의 길로 갈 수밖에 없다고 본다. 책은 그가 최근에 쓴 일본에 관한 글을 골라 모은 것이다.

위안부 문제를 놓고 와다 교수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의 두 편의 글, 그가 소수자로 일본 사회를 바라 보는 애국주의, 개헌, 안보법제 문제 등을 해부한다. 그에게 일본 리버럴파는 두 나라와 그 관계의 미래를 위해 버리거나 매도할 수 없는, 아니 끝까지 같이 가야 하는 세력이다. 그렇기 때문에 서경식의 불편한 진 실 뒤집어내기는 결코 해코지가 아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