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정권을 어떻게 보는지 물었습니다.
반감을 느낀다는 의견이 61.6%로 호감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반감 비율은 연평도 도발 이후보다는 조금 낮아졌지만 6년 전에 비해서는 크게 높아졌습니다.
<인터뷰>조병선(부산시 전포동) : “그만큼 밀어주고 도와줬는데도 그걸 모르고 시시때때로 우리 남침하려고 하는 게 그게 너무 안 좋아요.”
<인터뷰>유만기(서울시 행신동) : “평소에 내가 생각할 때는 부정적으로 많이 보지. 많은 도움을 줬는데도 불구하고 이렇게 저 온 국민들을 젊은 사람들을 많이 희생시키고..”
북한에 대한 식량 지원은 조건부 지원이 64.6, 무조건 중단은 24.5%였습니다.
무조건 중단해야 한다는 비율 역시 6년전 보다는 높아졌지만 연평도 도발 직후에 비해서는 조금 낮아졌습니다.
<인터뷰>정수락(울산시 옥동) : “무조건 지원한다고 해서 해결되는 게 아니고 좀 더 신중하게 지원을 해야 되지 않나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인터뷰>박현미(대구시 신암동) : “한민족이니까 우리가 나중에는 통일이 될 거 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어느 정도 조건을 달고라든가 지원을 어느 정도 해주는 쪽은 좋다고 생각해요. 아예 안 해주는 쪽보다.”
금강산 관광은 조건 없이 계속해야 한다 27, 조건부로 계속해야 한다 58.2, 무조건 중단해야 한다 14.8%로 조사됐습니다.
조건 없이 계속해야 한다는 비율 역시 6년전 보다는 낮고 지난 해 말보다는 높았습니다.
통일에 대해 관심은 있다 72.3, 없다 27.7%였습니다.
2005년 이후 4차례 조사 모두 비슷한 비율입니다.
통일 당위성에 대해서는 돼야 한다74.4, 돼선 안된다 25.6%였습니다.
통일이 돼야 한다는 비율 역시 2005년 이후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인터뷰>성낙길(대전시 둔산동) : “빨리 통일이 돼서 한민족이 같이 지낼 수 있는 그런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인터뷰>허훈(서울 상계동) : “같은 민족이니까 아무래도 우리가 통일이 되면 여러 경제적인 면에서나 아니면 민족관계 같은 문제에서 도움이 된다고 봐야죠.”
통일이 되면 가장 걱정되는 것으로는 막대한 통일 비용을 꼽는 의견이 45.9%로 가장 많았고, 사회적 혼란과 정치군사적 혼란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정부가 검토 중인 통일세의 경우 개인부담을 할 수 있다는 의견이 52.5%로 절반을 넘었습니다.
1년 전 조사 때보다 5.7%p 낮아졌습니다.
<인터뷰>최진욱(통일연구소 북한연구센터 소장) : “통일 비용은 역시 통일 의지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국민들은 과거에 비해서 통일 비용을 부담하겠다는 숫자는 오히려 줄고 있습니다. 통일에 대한 의지는 늘어나면서도 통일에 대한 의지를 방해하는 원인으로 볼 수 있는데요. 그래서 통일 비용을 절감하는 여러 가지 대책이 필요하지 않나,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통일을 위해서 우선해야 할 일로는 문화와 인적 교류, 경제협력, 이산가족 왕래, 남한의 경제성장, 군사적 신뢰구축, 정상회담 순으로 꼽았습니다.
통일 시기로는 10년 이내 18.5, 11~20년 사이가 39.6, 21~30년 사이 18.9, 30년 이상 15.5% 비율로 답했습니다.
10명중 6명꼴로 20년 이내에 통일이 가능하다고 전망했습니다.
한반도 통일에 도움이 되는 나라는 없다가 39.7, 중국이 27.1, 미국이 26.7% 순이었습니다.
지난 2005년 조사에서는 통일에 가장 도움이 되는 국가로 중국, 미국, 없다 순으로 꼽혔는데요.
지난해 천안함과 연평도 사태를 겪으면서 도움이 되는 국가가 없다는 의견이 가장 많아졌습니다.
<인터뷰>최진욱(통일연구소 북한연구센터 소장) : “중국이나 미국 등 주변국들이 우리의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희망하는 그러한 현실을 반영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통일 한국이 미국과 동맹을 강화하면서 중국을 견제하는 그런 상황을 굉장히 우려하는 것이다 그렇게 생각이 됩니다.”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평가는 찬성과 반대가 비슷한 비율이었습니다.
지난 해 8월 이후 3차례 모두 비슷한 비율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송경호(인천시 검단동) : “도발같은 시민들의 불안감을 사는 건 그런 거를 막기 위해서는 이명박 정책이 더 잘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인터뷰>서기석(인천시 학익동) : “천안함사건부터 해가지고, 연평도 도발 두 번만해도 지금 정권은 남북 대화에 좀 문제가 있다고 생각을 해요.”
대북정책을 지난 정부와 비교했을 때 잘한다는 답은 33.9 못한다는 답은 43.4% 였습니다.
지난 정부보다 잘 한다는 응답 비율 역시 최근 1년간 큰 변화가 없습니다.
현재의 안보상황에 대해서는 불안하다 84.7, 불안하지 않다 15.3%였습니다.
안보상황이 불안하다는 답은 지난해 연평도 사태 때 높아진 비율이 그대로 유지됐습니다.
<인터뷰>이계화(서울시 신월동) : “불안하게 생각되죠. 북한이 언제 어떨지 모르니까 그거 때문에 많이 걱정하고 있죠.”
<인터뷰>임정윤(안양시 관양동) : “안보에 대해서는 굉장히 불안하죠. 그래서 좀 잘 지켜줬으면 하고.”
이번 조사는 KBS 남북협력기획단이 엠비존에 의뢰해 지난 10일, 전국 성인 남녀 1,02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설문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플러스 마이너스 3.1%포인틉니다.
반감을 느낀다는 의견이 61.6%로 호감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반감 비율은 연평도 도발 이후보다는 조금 낮아졌지만 6년 전에 비해서는 크게 높아졌습니다.
<인터뷰>조병선(부산시 전포동) : “그만큼 밀어주고 도와줬는데도 그걸 모르고 시시때때로 우리 남침하려고 하는 게 그게 너무 안 좋아요.”
<인터뷰>유만기(서울시 행신동) : “평소에 내가 생각할 때는 부정적으로 많이 보지. 많은 도움을 줬는데도 불구하고 이렇게 저 온 국민들을 젊은 사람들을 많이 희생시키고..”
북한에 대한 식량 지원은 조건부 지원이 64.6, 무조건 중단은 24.5%였습니다.
무조건 중단해야 한다는 비율 역시 6년전 보다는 높아졌지만 연평도 도발 직후에 비해서는 조금 낮아졌습니다.
<인터뷰>정수락(울산시 옥동) : “무조건 지원한다고 해서 해결되는 게 아니고 좀 더 신중하게 지원을 해야 되지 않나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인터뷰>박현미(대구시 신암동) : “한민족이니까 우리가 나중에는 통일이 될 거 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어느 정도 조건을 달고라든가 지원을 어느 정도 해주는 쪽은 좋다고 생각해요. 아예 안 해주는 쪽보다.”
금강산 관광은 조건 없이 계속해야 한다 27, 조건부로 계속해야 한다 58.2, 무조건 중단해야 한다 14.8%로 조사됐습니다.
조건 없이 계속해야 한다는 비율 역시 6년전 보다는 낮고 지난 해 말보다는 높았습니다.
통일에 대해 관심은 있다 72.3, 없다 27.7%였습니다.
2005년 이후 4차례 조사 모두 비슷한 비율입니다.
통일 당위성에 대해서는 돼야 한다74.4, 돼선 안된다 25.6%였습니다.
통일이 돼야 한다는 비율 역시 2005년 이후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인터뷰>성낙길(대전시 둔산동) : “빨리 통일이 돼서 한민족이 같이 지낼 수 있는 그런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인터뷰>허훈(서울 상계동) : “같은 민족이니까 아무래도 우리가 통일이 되면 여러 경제적인 면에서나 아니면 민족관계 같은 문제에서 도움이 된다고 봐야죠.”
통일이 되면 가장 걱정되는 것으로는 막대한 통일 비용을 꼽는 의견이 45.9%로 가장 많았고, 사회적 혼란과 정치군사적 혼란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정부가 검토 중인 통일세의 경우 개인부담을 할 수 있다는 의견이 52.5%로 절반을 넘었습니다.
1년 전 조사 때보다 5.7%p 낮아졌습니다.
<인터뷰>최진욱(통일연구소 북한연구센터 소장) : “통일 비용은 역시 통일 의지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국민들은 과거에 비해서 통일 비용을 부담하겠다는 숫자는 오히려 줄고 있습니다. 통일에 대한 의지는 늘어나면서도 통일에 대한 의지를 방해하는 원인으로 볼 수 있는데요. 그래서 통일 비용을 절감하는 여러 가지 대책이 필요하지 않나,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통일을 위해서 우선해야 할 일로는 문화와 인적 교류, 경제협력, 이산가족 왕래, 남한의 경제성장, 군사적 신뢰구축, 정상회담 순으로 꼽았습니다.
통일 시기로는 10년 이내 18.5, 11~20년 사이가 39.6, 21~30년 사이 18.9, 30년 이상 15.5% 비율로 답했습니다.
10명중 6명꼴로 20년 이내에 통일이 가능하다고 전망했습니다.
한반도 통일에 도움이 되는 나라는 없다가 39.7, 중국이 27.1, 미국이 26.7% 순이었습니다.
지난 2005년 조사에서는 통일에 가장 도움이 되는 국가로 중국, 미국, 없다 순으로 꼽혔는데요.
지난해 천안함과 연평도 사태를 겪으면서 도움이 되는 국가가 없다는 의견이 가장 많아졌습니다.
<인터뷰>최진욱(통일연구소 북한연구센터 소장) : “중국이나 미국 등 주변국들이 우리의 통일보다는 현상유지를 희망하는 그러한 현실을 반영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통일 한국이 미국과 동맹을 강화하면서 중국을 견제하는 그런 상황을 굉장히 우려하는 것이다 그렇게 생각이 됩니다.”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평가는 찬성과 반대가 비슷한 비율이었습니다.
지난 해 8월 이후 3차례 모두 비슷한 비율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송경호(인천시 검단동) : “도발같은 시민들의 불안감을 사는 건 그런 거를 막기 위해서는 이명박 정책이 더 잘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인터뷰>서기석(인천시 학익동) : “천안함사건부터 해가지고, 연평도 도발 두 번만해도 지금 정권은 남북 대화에 좀 문제가 있다고 생각을 해요.”
대북정책을 지난 정부와 비교했을 때 잘한다는 답은 33.9 못한다는 답은 43.4% 였습니다.
지난 정부보다 잘 한다는 응답 비율 역시 최근 1년간 큰 변화가 없습니다.
현재의 안보상황에 대해서는 불안하다 84.7, 불안하지 않다 15.3%였습니다.
안보상황이 불안하다는 답은 지난해 연평도 사태 때 높아진 비율이 그대로 유지됐습니다.
<인터뷰>이계화(서울시 신월동) : “불안하게 생각되죠. 북한이 언제 어떨지 모르니까 그거 때문에 많이 걱정하고 있죠.”
<인터뷰>임정윤(안양시 관양동) : “안보에 대해서는 굉장히 불안하죠. 그래서 좀 잘 지켜줬으면 하고.”
이번 조사는 KBS 남북협력기획단이 엠비존에 의뢰해 지난 10일, 전국 성인 남녀 1,02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설문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플러스 마이너스 3.1%포인틉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