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6

Chantal Mouffe - Wikipedia The Return of the Political 정치적인 것의 귀환 샹탈 무페

Chantal Mouffe - Wikipedia




Chantal Mouff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Chantal Mouffe
Mouffe in 2013
Born17 June 1943 (age 81)
Charleroi, Belgium
AwardsWestern philosophy
EraContemporary philosophy
SchoolPost-Marxism
Main interests
Political theory
Notable ideas
Criticism of deliberative democracy

Chantal Mouffe (French: [muf]; born 17 June 1943)[1] is a Belgian political theorist, formerly teaching at University of Westminster.[2] She is best known for her and Ernesto Laclau'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alled Essex School of discourse analysis.[3][4] She is a strong critic of deliberative democracy and advocates a conflict-oriented model of radical democracy.

Education

[edit]

Chantal Mouffe studied at the Universities of LeuvenParis and Essex and has worked in many universities throughout the world (in EuropeNorth America and Latin America). She has also held visiting positions at HarvardCornellPrinceton and the CNRS (Paris). During 1989–1995, she served as Programme Director at the Collège international de philosophie in Paris. She currently holds a professorship at the Department of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University of Westminster in the United Kingdom, where she is a member of the Centre for the Study of Democracy.[2]

Work

[edit]

She developed a type of post-Marxist political inquiry drawing on Gramscipost-structuralism and theories of identity, and redefining Leftist politics in terms of radical democracy.[5] With Laclau she co-authored her most frequently cited publication Hegemony and Socialist Strategy, and she is also the author of influential works on agonistic political theory, including Agonistics: Thinking the World Politically and The Democratic Paradox. Her book For a Left Populism was published in 2018.

A prominent critic of deliberative democracy (especially in its Rawlsian and Habermasian versions), she is also known for her use of the work of Carl Schmitt, mainly his concept of "the political", in proposing a radicalization of modern democracy—what she calls "agonistic pluralism". She has developed an interest in highlighting the radical potential of artistic practices.[6] Mouffe's Agonistics: Thinking the World Politically (2013) has been criticised by Timothy Laurie for its strong focus on State institutions, noting that Mouffe's "professed enthusiasm for (some) non-Western Islamist movements is solely conditional upon their assumption of State instruments".[7]

Critical

[edit]

The sociologist Pierre Birnbaum believes that Chantal Mouffe's theory is "fundamentally foreign to any Marxist or even socialist demonstration, and also contrary to any sociological analysis." He particularly calls into question his recourse to voters' emotions rather than their reason, "in an explicit rejection of the rationalist tradition of the Enlightenment embodied by Jürgen Habermas", but also of "the essentials of contemporary political theory"; according to the sociologist, Chantal Mouffe's thought is "an interpretation of the foundations of mobilization certainly inspired explicitly by the experiences of Latin America, but which seems to find its distant origin in the rants, in the 19th century, of Gustave Le Bon or of Gabriel Tarde."[8].

Publications

[edit]
  • (ed.) Gramsci and Marxist Theory. London – Boston: Routledge / Kegan Paul, 1979.
  • (with Ernesto LaclauHegemony and Socialist Strategy: Towards a Radical Democratic Politics. London – New York: Verso, 1985.
  • (ed.) Dimensions of Radical Democracy: Pluralism, Citizenship, Community. London – New York: Verso, 1992.
  • The Return of the Political. London – New York: Verso, 1993.
  • Le politique et ses enjeux. Pour une démocratie plurielle. Paris: La Découverte/MAUSS, 1994.
  • (ed.) Deconstruction and Pragmatism. London – New York: Routledge, 1996.
  • (ed.) The Challenge of Carl Schmitt. London – New York: Verso, 1999.
  • The Democratic Paradox. London – New York: Verso, 2000.
  • (ed.) Feministische Perspektiven. Wien: Turia + Kant, 2001.
  • (ed.) The legacy of Wittgenstein: Pragmatism or Deconstruction. Frankfurt am Main – New York: Peter Lang, 2001.
  • On the Political. Abingdon – New York: Routledge, 2005.
  • Hegemony, Radical Democracy, and the Political, edited by James Martin, London: Routledge, 2013.
  • Agonistics: Thinking The World Politically. London – New York: Verso, 2013.
  • Mouffe C, 1995 ‘Post-marxism: democracy and identity’, Environment and Planning D vol.13 pp. 259–266 ML: P305 E30.
  • (in conversation with Íñigo ErrejónPodemos: In the Name of the People (trans. Sirio Canos), London: Lawrence & Wishart, 2016.
  • For a Left Populism. London – New York: Verso, 2018.
  • Towards a Green Democratic Revolution. London - New York: Verso, 2022.

Honors

[edit]

See also

[edit]

References

[edit]
  1. ^ "Mouffe, Chantal". Library of Congress. Retrieved 25 July 2014CIP t.p. (Chantal Mouffe) data sheet (b. 17 June 1943)
  2. Jump up to:a b "Professor Chantal Mouffe". University of Westminster. Retrieved 11 December 2017.
  3. ^ Townshend, Jules (21 June 2016). "Discourse Theory and Political Analysis: A New Paradigm from the Essex School?". The British Journal of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5 (1): 129–142. doi:10.1111/1467-856X.00100S2CID 146283536.
  4. ^ Townshend, Jules (24 June 2016). "Laclau and Mouffe's Hegemonic Project: The Story So Far". Political Studies52 (2): 269–288. doi:10.1111/j.1467-9248.2004.00479.xS2CID 143928179.
  5. ^ "Chantal Mouffe". Retrieved 11 December 2017.
  6. ^ ”Mouffe, Chantal, “Artistic Strategies in Politics and Political Strategies in Art” in Tom Bieling (Ed.) (2019): Design (&) Activism: Perspectives on Design as Activism and Activism as Design, Milano: Mimesis, p. 53–57
  7. ^ Laurie, Timothy (2013). "Review: 'Agonistics: Thinking the World Politically'"Melbourne Journal of Politics36: 76–78.
  8. ^ Pierre Birnbaum (2017). "Les « gens » contre « l'oligarchie » : le discours de La France insoumise"Cités. pp. 163–173. Retrieved 27 December 2017.. Via Cairn.info.
  9. ^ "UV nombró Doctora Honoris Causa a politóloga Chantal Mouffe"Universidad de Valparaíso. 14 November 2014. Retrieved 30 March 2018.
  10. ^ "Reconocidos intelectuales europeos recibirán el doctorado"Universidad de Costa Rica (in Spanish). Retrieved 9 August 2023.
  11. ^ "Laudatio - Motivatio Chantal Mouffe"www.kuleuven.be (in Dutch). Retrieved 9 August 2023.

Further reading

[edit]
  • Anna Marie Smith, Laclau and Mouffe: The Radical Democratic Imaginary, London: Routledge, 1998.
  • David Howarth, Discourse,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2000.
  • Louise Philips and Marianne Jorgensen, Discourse Analysis as Theory and Method, London: Sage, 2002.
  • David Howarth, Aletta Norval and Yannis Stavrakakis (eds), Discourse Theory and Political Analysis,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2.
  • Jacob Torfing, New Theories of Discourse: Laclau, Mouffe, Žižek, Oxford: Blackwell, 1999.
  • Society is Always Divided, interview with Digital Development Debates, 2015 March.


===

シャンタル・ムフ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Chantal Mouffe
Mouffe in 2013
生誕1943年6月17日(81歳)
Charleroi, Belgium
時代現代哲学
学派ポストマルクス主義
研究分野政治理論
主な概念熟議民主主義に対する批判
テンプレートを表示

シャンタル・ムフ(Chantal Mouffe, 1943年シャルルロワ - )は、ベルギー出身の政治学者

ルーヴァン・カトリック大学パリ大学エセックス大学で学ぶ。コロンビア国立大学ロンドン市立大学ロンドン大学ウェストフィールド・カレッジの教授を歴任し、現在、ウェストミンスター大学民主主義研究所の所長を務める。

アントニオ・グラムシの思想に依拠して、民主主義の根源的な問い直しを通して、「政治的なるもの」の領域を探求。近年は、カール・シュミットの友敵関係を鍵概念に闘技的多元主義の構想を提起している。

著書

[編集]

単著

[編集]
  • The Return of the Political, (Verso, 1993).
千葉眞土井美徳田中智彦山田竜作訳『政治的なるものの再興』(日本経済評論社, 1998年)
  • The Democratic Paradox, (Verso, 2000).
葛西弘隆訳『民主主義の逆説』(以文社, 2006年)
  • On The Political, (Routledge, 2005).
篠原雅武訳『政治的なものについて――闘技的民主主義と多元主義的グローバル秩序の構築』(明石書店, 2008年)
  • For a Left Populism, Verso, 2018.
『左派ポピュリズムのために』山本圭・塩田潤訳(明石書店, 2019年)

共著

[編集]
  • Hegemony & Socialist Strategy: Towards a Radical Democratic Politics, with Ernesto Laclau, (Verso, 1985).
エルネスト・ラクラウ、シャンタル・ムフ/山崎カヲル石澤武訳『ポスト・マルクス主義と政治――根源的民主主義のために』(大村書店, 1992年)
『民主主義の革命――ヘゲモニーとポスト・マルクス主義』、西永亮・千葉眞訳、筑摩書房(ちくま学芸文庫)、2012年

編著

[編集]
  • Gramsci and Marxist theory, (Routledge & Kegan Paul, 1979).
  • Dimensions of Radical Democracy: Pluralism, Citizenship, Community, (Verso, 1992).
  • Deconstruction and Pragmatism, (Routledge, 1996).
青木隆嘉訳『脱構築とプラグマティズム――来たるべき民主主義』(法政大学出版局, 2002年)
  • The Challenge of Carl Schmitt, (Verso, 1999).
古賀敬太佐野誠編訳『カール・シュミットの挑戦』(風行社, 2006年)
==
Born
in Charleroi, Belgium
January 01, 1943

Genre


Chantal Mouffe is a Belgian political theorist. She holds a professorship at the University of Westminster in the United Kingdom. She is best known as co-author of Hegemony and Socialist Strategy with Ernesto Laclau. Their thoughts are usually described as post-Marxism as they were both politically active in the social and student movements of the 1960s including working class and new social movements (notably second-wave feminism in Mouffe's case). They rejected Marxist economic determinism and the notion of class struggle being the single crucial antagonism in society. Instead they urged for radical democracy of agonistic pluralism where all antagonisms could be expressed. In their opinion, ‘...there is no possibility of society without antagonism’; indeed, without the forces that articulate a vision of society, it could not exist. (less)

Average rating: 3.78 · 4,939 ratings · 360 reviews · 69 distinct works • Similar authors
For a Left Populism

by 
 3.58 avg rating — 931 ratings — published 2018 — 23 editions
The Democratic Paradox

by 
 3.88 avg rating — 448 ratings — published 2000 — 25 editions
On the Political

by 
 3.86 avg rating — 434 ratings — published 2005 — 26 editions
Agonistics: Thinking the Wo...

by 
 3.86 avg rating — 323 ratings — published 2013 — 17 editions
The Return of the Political

by 
 3.72 avg rating — 244 ratings — published 1993 — 18 editions
Towards A Green Democratic ...

by 
 3.13 avg rating — 101 ratings — 9 editions
The Challenge of Carl Schmitt

by 
 3.47 avg rating — 57 ratings — published 1999 — 7 editions
Dimensions of Radical Democ...

by 
 3.78 avg rating — 32 ratings — published 1992 — 10 editions
Podemos: In the Name of the...

by 
 4.04 avg rating — 25 ratings
Gramsci and Marxist Theory

by 
 3.53 avg rating — 19 ratings — published 2014 — 10 editions
More books by Chantal Mouffe…

“All forms of consensus are by necessity based on acts of exclusion”
― Chantal Mouffe

“a central task of democratic politics is to provide the institutions which will permit conflicts to take an ‘agonistic’ form, where the opponents are not enemies but adversaries among whom exists a conflictual consensus.”
― Chantal Mouffe, Agonistics: Thinking The World Politically

“Given my insistence on the importance of acknowledging radical negativity and of relinquishing the idea of a society beyond division and power, it will not come as a surprise that I disagree with the attempt by a group of left intellectuals to revive the ‘Idea of communism’.9 They claim that the ‘communist hypothesis’ is absolutely necessary for envisaging a politics of emancipation. They argue that the egalitarian ideal is so intrinsically linked to the horizon of communism that its future depends on bringing back such a model.

They are no doubt right in refusing the widely accepted view that the disastrous failure of the Soviet model forces us to reject the entirety of the emancipatory project. But I do believe that there are important lessons to be learned from the tragic experience of ‘really existing socialism’, and this calls for a serious rethinking of some central tenets of the communist project.

It would indeed be too easy to simply declare that the Soviet model represents a flawed realization of an ideal that remains to be truly implemented. To be sure, many of the reasons for which the communist ideal went astray could be avoided and the current conditions might provide a more favourable terrain. But some of the problems that it encountered cannot be reduced to a simple question of application. They have to do with the way this ideal was conceptualized. To remain faithful to the ideals that inspired the different communist movements, it is necessary to scrutinize how they conceived their goal so as to understand why those ideals could have become so disastrously misled.

It is the very notion of ‘communism’ that needs to be problematized because it strongly connotes the anti-political vision of a society where antagonisms have been eradicated and where law, the state and other regulatory institutions have become irrelevant. The main shortcoming of the Marxist approach lies in its inability to acknowledge the crucial role of what I call ‘the political’. While traditional Marxism asserted that communism and the withering away of the state logically entailed each other, Laclau and I assert that the emancipatory project can no longer be conceived of as the elimination of power and the management of common affairs by social agents identified with the viewpoint of the social totality. There will always be antagonism, struggles and division of the social, and the need for institutions to deal with them will never disappear.

By locating socialism in the wider field of the democratic revolution, we indicated in Hegemony and Socialist Strategy that the political transformations that will eventually enable us to transcend capitalist society are founded on the plurality of social agents and their struggles. Thus the field of social conflict is extended rather than being concentrated in a ‘privileged agent’ such as the working class.

It is for this reason that we reformulated the emancipatory project in terms of a radicalization of democracy. We emphasized that the extension and radicalization of democratic struggles will never have a final point of arrival in the achievement of a fully liberated society. This is why the myth of communism as a transparent and reconciled society – which clearly implies the end of politics – must be abandoned.”
― Chantal Mouffe, Agonistics: Thinking the World Politically
==
정치적인 것의 귀환 
샹탈 무페 (지은이), 이보경 (옮긴이)   후마니타스   2007-11-29
정가 15,000원
====
책소개
포스트마르크스주의의 시각에서 급진적이고 다원적인 민주주의 기획을 제시하고 있는 책. 지은이 샹탈 무페는 자유민주주의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명확하게 분화된 입장을 둘러싼 집단 정체성의 구성, 그리고 실제적 대안 사이에서 선택이 가능한 정치적 조건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정치가 축소되면 민주주의는 화합과 통합의 사회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이 책의 대답은 단호하다. 절대 그럴 수 없다는 것이다. 지은이는 정치의 세계가 갈등과 대립을 본질로 하는 데, 이러한 갈등이 정치의 영역에서 제대로 표출되고 대표되고 경쟁될 수 없다면, 그 에너지는 사회를 원초적으로 분열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고 지적한다.

대다수가 발전과 성장을 말해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이익과 다원적 정체성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갈등과 적대를 다룰 수 없는 오늘의 한국
====
목차
머리말 9
서론 경합적 다원주의를 위하여 10
제1장 급진 민주주의 : 근대적인가 탈근대적인가? 22
제2장 미국 자유주의와 그에 대한 공동체주의의 비판 43
제3장 롤즈 : 정치 없는 정치철학 70
제4장 민주주의적 시민권과 정치 공동체 99
제5장 여성주의와 시민권, 급진 민주주의 정치 121
제6장 자유사회주의를 향하여 144
제7장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접합에 대하여 162
제8장 다원주의와 현대 민주주의: 칼 슈미트를 중심으로 185
제9장 자유주의 정치[학]와 그 한계 213
옮긴이 후기 244

접기
밑줄긋기
P.12겨울호랑이
내가 이 책에서 오늘날 민주주의 사유의 상당 부분을 특징짓는 정치관에 이의를 제기하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이 정치관은 합리주의적이고 보편주의적이며 개인주의적인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나는 이 정치관의 주요 결함이, 갈등과 결정의 차원에 놓인 정치적인 것의 특정성에 관한 안목이 없고, 적대가 사회적 삶에서 구성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르크스주의의 종언 이후 적대라는 통념 없이도 지낼 수 있다는 가상illusion이 광범위하게 퍼졌다. 하지만 이 믿음에는 위험이 내포되어 있다. 이 믿음으로 말미암아 우리는 부지불식간에 나타날 수 있는 적대를 아무 준비 없이 맞이해야 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P.159겨울호랑이
허스트는 이렇게 쓰고 있다. ˝다원주의 국가는 결사체들에 대한 지원과 감독을 자신의 존재 이유로 정의한다. 다원주의 국가의 법적 과업은 결사체들 사이의 공평성을 보장하고 결사체들의 행동에 대해 치안을 유지하는 것이다. 다윈주의 국가는 개인과 결사체 모두를 실제 인격체로 다루며, 개인들이 다른 개인들과 결사체를 형성함으로써만 개인성을 찾을 수 있고 자기 자신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며, 개인과 결사체 양자의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는 것을 인정한다.˝ 이 마지막 지점은 특히 중요하며, 따라서 좀 더 정교해져야 한다. 이 지점은 민주주의 이론에 대한 성찰의 핵심 지점을 가리킨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P.206겨울호랑이
내가 제안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정치적 원칙들을 지지하는 것이야말로 민주적 평등에 요구되는 동질성의 토대로 간주되어야한다. 여기서 문제의 원칙은 자유와 평등의 원칙이며 이 원칙은 확실히 다양한 해석들의 근원이며 아무도 정확한 해석을 소유한다고 자임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원칙들을 해석하기 위한 논쟁의 틀 속에서 결정을 내리고 국가 의지를 규정하려면, 일정한 수의 메커니즘과 절차의 확립이 본질적으로 중요하다. 따라서 나는 슈미트와 켈젠 둘 다에 대해 부분적으로만 동의한다.
저자 소개
지은이: 샹탈 무페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큰글자책] 녹색 민주주의 혁명을 향하여>,<녹색 민주주의 혁명을 향하여>,<경합들> … 총 34종 (모두보기)
1943년 6월 17일 벨기에의 샤를루아에서 태어났다. 루뱅가톨릭대학교(벨기에)와 소르본대학교(프랑스)에서 정치철학을 공부한 뒤, 에섹스대학교(영국)에서 만난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와 함께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1985)을 출간하면서 주목받았다. 기존 맑스주의의 경제결정론과 계급정치학을 비판해 포스트맑스주의 논쟁의 중심에 서게 된 무페는 점차 연구 범위를 확장해 이성과 보편성 중심의 서구 근대 정치철학을 급진적으로 비판하면서 자신만의 경합적 접근법(경합적 다원주의)에 의거해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이념을 재구성하는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현재 영국 웨스트민스터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와 근현대문화연구소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 『좌파 포퓰리즘을 위하여』(2018), 『포데모스: 인민의 이름으로』(2016), 『정치적인 것에 대하여』(2005), 『민주주의의 역설』(2000), 『정치적인 것의 귀환』(1993) 등이 있다.
옮긴이: 이보경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위대한 개논비 논술 슈퍼 가이드>,<소설, 세상을 읽다> … 총 7종 (모두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대학원에서 철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한동안 공부를 쉬었다가 최근 다시 프랑스 철학 중심으로 공부를 이어가고 있다. 옮긴 책으로 샹탈 무페의 《정치적인 것의 귀환》이 있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민주화 이후 우리 사회의 지배적 담론은 늘 문제의 원인을 ‘정치의 과잉’에서 찾았다. 정치는 정치가나 정당의 권력욕을 실현하는 수단이자 장(場)이며, 늘 사회를 갈등과 대립으로 몰고 가는 부정적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치의 축소를 주장하거나 혹은 국가 전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한에서만 정치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논리가 늘 동원되었다. 이리하여 우리 사회 모두가 “정치논리 배제, 경제논리 우선”, “전문가 우대”를 외치게 되었고, 선거에서의 후보 간 경쟁 역시 누가 더 “기업이 잘 되는 나라”를 만들 수 있고 누가 더 “일자리 창출”을 많이 할 수 있는가를 두고 판단해야 하는 문제처럼 만들어질 수 있었다. 이번 대통령 선거 역시 마찬가지이다. 보수적인 진영이나 진보적인 진영이나 할 것 없이 “문제는 경제!”라고 하면서 스스로 정치의 문제를 없애는 데 기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말 그럴까? 정치가 만들어내는 갈등 때문에 문제이고, 정치가 축소되면 민주주의는 화합과 통합의 사회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이 책의 대답은 단호하다. 절대 그럴 수 없다는 것이다. 현대 자유민주주의에서 ‘정치적인 것’이 축소되면 어찌될까? 그 경우 사회는 파괴적 결과를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왜? 정치의 세계는 갈등과 대립을 본질로 하는 데, 이러한 갈등과 적대가 정치의 영역에서 제대로 표출되고 대표되고 경쟁될 수 없다면, 그 에너지는 사회를 원초적으로 분열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정치가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이익과 다원적 정체성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갈등과 적대를 다룰 수 없는 조건에서, 한편으로 누구는 절대로 안 된다고 말하고 다른 한편 모두가 발전과 성장을 말하는 오늘의 한국 민주주의는, 이 책의 관점에서 보면 그야말로 최악인 것이다. 정치 전선의 부재는 정치적인 성숙의 징후이기는커녕 민주주의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공허함의 표현이며, 그런 공허함은 새로운 반민주적인 정치적 정체성들을 접합하려는 세력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그러한 공허함과 반정치적 사유는 정치의 영역에 존재하는 경쟁자들을 선과 악의 이분법으로 규정해 경쟁해야 할 반대자가 아니라 오로지 파괴해야 할 적으로만 인지하게 만든다. 자유민주주의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명확하게 분화된 입장을 둘러싼 집단 정체성의 구성, 그리고 실제적 대안 사이에서 선택이 가능한 정치적 조건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은 이 책의 일관된 주장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오늘날 한국 민주주의가 처한 위기의 원인은 정치의 과잉 때문이 아니라 제대로 된 정치의 과소 때문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일자리가 적고 성장이 덜 되고 복지가 안 되어서가 아니라 모든 것이 경제의 문제로 환원되어 다뤄지는 일원주의가 지배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경제가 아니라 여전히 정치가 문제의 중심이 있음을 강조하려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반정치관이 무차별적으로 한국 사회를 지배하게 된 데에는, ‘신자유주의 극복론’에 매달려 있는 진보파들과 민주주의를 정치적인 것을 초월한 보편적 시민의 세계로 이해해온 시민운동가들의 책임도 있다고 말하고자 한다.
이 책은 중도와 사회적 합의에 기반을 둔 ‘반정치적’ 민주주의관이 기승을 부리는 시대에 ‘정치’, ‘정치적인 것’이 무엇이며, 민주주의 발전의 추동력인 갈등과 적대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할 수 있는 풍부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는 판단으로 기획되었다. 정치적인 것과 민주주의의 발전을 관련지어 생각해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더 없이 중요한 지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 믿는다.접기
2
100자평
3
리뷰
15
마이페이퍼
읽고 싶어요 7명
읽고 있어요 2명
읽었어요 16명
구매자 분포
0% 10대 0.1%
6.6% 20대 11.3%
16.5% 30대 18.6%
12.5% 40대 18.4%
3.9% 50대 9.6%
0.4% 60대 2.2%
여성 남성
평점 분포
    9.3
    66.7%
    33.3%
    0%
    0%
    0%
100자평
게시물 운영 원칙 
카테고리
배송 문의나 욕설 및 인신공격성 글은 상품 페이지에서 노출 제외처리됩니다.
현재 0/280byte (한글 140자 이내)
 스포일러 포함
등록
구매자 (2)전체 (2)
공감순
 추풍오장원  2013-03-27
메뉴
통렬한 책이다. 슈미트의 생각을 무기삼아 다시 슈미트적인 것들을 분쇄하고자 하는 저자의 욕망이라...!  
공감 (1)  댓글 (0)   
 lealea  2020-07-23
메뉴
번역이 좀 어려웠어요. 칼 슈미트를 참고해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양자의 장점만 취한 후 자유민주주의를 진정한 다원주의 민주주의로 구출해내고, 민주주의적 ‘우리‘를 구축해서 반민주주의적 ‘적‘과 전선을 치고 민주주의를 수호하려는 야심찬 정치기획서.  
공감 (1)  댓글 (0)   
마이리뷰쓰기
구매자 (2)전체 (3)
공감순
 겨울호랑이   2022-02-07
메뉴
롤즈와 드워킨과 같은 의무론적 자유주의자들은 정치에 도덕성을 주입하고자 한다. 그들은 칸트가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On Perprtual Peace에서 설정한 모델에 따라, 규범에 묶여 있고 도덕적으로 정의된 목표가 안내하는 정치학의 견해를 옹호한다. 반면에 공동체주의자들은 자유주의를 그 개인주의 때문에 공격한다. 공동체주의자들은 사회에 선행하여 존재하는 자연권을 타고났다는 개인관에 함축된 무역사적이고 무사회적이고 실체 없는 주체관을 비난하며, 롤즈가 설정한 새로운 자유주의 패러다임의 핵심인 좋음에 대한 옳음의 우선적 테제를 거부한다. 공동체주의자들이 되살리려는 정치관은, 우리 자신을 한 공동체의 참여자로 인정하는 분야가 바로 정리라는 관점이다. '권리에 기반을 둔' 자유주의자들의 칸트적 영감에 반대하여, 공동체주의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와 헤겔을 불러낸다. 공동체주의자들은 자유주의에 맞서 시민 공화주의 전통에 호소하는 것이다._ 샹탈 무페, <정치적인 귀환> , p179

샹탈 무페 (Chantal Mouffe, 1943 ~ )는 <정치적인 것의 귀환 The Return of the Political>에서 롤즈(John Rawls, 1921~2002)와 드워킨(Ronald Myles Dworkin, 1931~2013), 노직(Robert Nozick, 1938~2002)의 자유주의 정치철학과 매킨타이어(Alasdair Chalmers MacIntyre, 1929~ )과 샌델(Michael J. Sandel, 1953 ~ )의 공동체주의 정치철학을 모두 비판하는 이른바 '모두까기'를 시현한다. 그가 자유주의 철학과 공동체주의 정치철학을 비판하면서 도출하고자 한 결론은 '다원주의적 민주주의'라는 지향점이다.

급진적이고 다원주의적인 민주주의에서, 갈등의 최종 해결이 궁극적으로 가능하리라는 확신은 민주주의의 기획에 필수적인 지평을 제공하기는커녕 그것을 위태롭게 하는 그 무엇이다... 이 접근의 핵심은 다원주의적 민주주의가 하나의 역설을 포함하고 있다는 자각이다. 다원주의적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그 순간 그 분해를 목격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도달될 수 없는 한에서만 좋은 것으로 존재하는 어떤 좋음 a good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갈등과 적대는 그 완전한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인 동시에 불가능하게 하는 조건이므로, 이런 식이 다원주의적 민주주의는 항상 '도래해야 할' 하나의 민주주의일 것이다. _ 샹탈 무페, <정치적인 귀환> , p21

무페는 먼저 롤즈와 드워킨 등의 자유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개인의 도덕성에 기초한 정치철학을 비판한다. 개인의 도덕성에 근거하여 이들의 양보와 협력으로부터 얻어지는 이상적인 유토피아. 이 지점에 대한 공격을 위해 무페는 공동체주의자들의 주장을 인용한다. 개인의 덕성으로부터 합의점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보편적인 덕이 전제되어야 하지 않을까? 이처럼 자유주의자들의 비판에 샹탈은 공동체주의자들과 견해를 함께 한다. 그렇지만, 곧 무페는 공동체주의자들을 이번에는 자유주의자들의 논리로 비판한다.

롤즈는 보편주의적이고 개인주의적이고 자연권적인 유형의 자유주의 담론에서 벗어나려 했지만, 인간 실존의 집합적 측면을 구성적인 것으로 생각할 수 없는 자신의 무능력으로 말미암아 그 담론을 만족할 만한 대안으로 대치하는 데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는 것이 내 추측이다... 결국, 롤즈가 정치철학으로 제시하는 것은 단지 특정 유형의 도덕철학, 즉 사회의 기본 구조를 통제하려는 공적 도덕성이다. _ 샹탈 무페, <정치적인 귀환> , p95

샌들에 따르면 롤즈의 문제틀에서는 이런 '구성적인' 유형의 공동체를 생각할 수 없다. 롤즈의 문제틀에서 공동체는 개인의 이익들이 이미 주어져 있고, 그 이익을 옹호하고 증대시키기 위해 한데 모여 있는 개인들 간의 단순한 협동으로 생각될 수 있을 뿐이다. 샌들의 중심 테제는 옳음이 좋음보다 우선성을 지닐 수 있으려면 구성적 약속을 할 수 없는 이 무연고적 주체관이 필연적인데, 이는 롤즈가 정당화하려는 정의 원칙들과 모순된다는 것이다. _ 샹탈 무페, <정치적인 귀환> , p54

롤즈의 큰 장점은 단일한 실체적 공동선이 더는 존재하지 않으며 다원주의가 중심이 되는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치적 정의관을 하나의 특수한 종교적이거나 도덕적이거나 철학적인 좋은 삶의 관점에서 끌어낼 수는 없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오늘날 샌들과 같은 몇몇 공동체주의자들이 열망하는 하나의 객관적인 도덕적 질서로 통일된 정치 공동체의 관념을 우리는 거부해야 한다. _ 샹탈 무페, <정치적인 귀환> , p94

보편적인 덕을 공동체의 덕으로 전제하는 공동체주의자들의 논리에 대해 무페는 이러한 '공동선'의 관념은 과거퇴행적이라고 비판한다. 무페가 보기에 공동체주의의 논리는 '유일자', '유일선'을 강조한 전근대적 관념에 불과하며, 다원성을 인정한 자유주의보다 민주주의적인 요소를 결여한 주장에 다름아니다.

자유주의적 시민관에는 분명히 심각한 문제들이 많이 있지만, 우리는 시민 공화주의 해법의 단점도 깨달아야 한다... 전근대적 정치관은 현대 민주주의의 혁신적인 면모와 자유주의의 결정적인 공헌을 인정하지 않는다. 다원주의의 옹호, 개인적 자유의 관념, 교회 church와 국가 state의 분리, 시민사회의 발전, 이 모든 것이 현대 민주주의 정치의 구성요소이다. 이것들은 사적인 영역과 공적인 영역, 도덕성의 분야와 정치의 분야 사이의 구별을 요구한다. 여러 공동체주의자의 제안과는 반대로, 현대 민주주의의 정치 공동체는 단일하고 실체적인 공동선의 관념을 중심으로 조직될 수 없다. _ 샹탈 무페, <정치적인 귀환> , p102

그들(공동체주의자들)의 입장은 공유된 도덕적 가치에 근거한 공동선의 정치학으로 복귀하자는 제안으로 귀결된다. 이 입장은 정치 공동체를 실체적 공동선의 관념을 중심으로 조직된 것으로 바라보는 전근대적인 견해에 이르게 된다는 점에서, 현대 민주주의와는 분명히 양립할 수 없다. _ 샹탈 무페, <정치적인 귀환> , p179

자유주의가 사적인 영역과 공적인 영역의 분리를 통해 도덕과 철학을 분리하는 업적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정치학과 윤리학을 분리시키지 못했기에 한계점을 갖는다면, 공동체주의는 이러한 한계점을 지적하면서 아예 과거로의 회귀를 선언한다. 결국 무페가 보기에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모두 민주주의 사회에는 부족한 정치철학으로, 제3의 대안을 칼 슈미트(Carl Schmitt, 1888~1985)로부터 찾는다.

슈미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일들이 일어났다. 자유주의적 의회제 질서는 종교, 도덕성, 경제와 같은 일련의 중요한 분열적 쟁점들을 사적인 영역으로 제한하는 데 근거해 있었다. 이는 민주주의 작동의 필요조건인 동질성의 창출을 위해 요구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현대 대중민주주의 발전 과정에서 '전체 국가' total state가 등장하여, 권리의 확장을 위한 민주주의의 압력들의 결과 [국가가] 사회의 점점 더 넓은 분야들에 개입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이전 국면의 특징인 '탈정치화' 현상은 역전되었고 덩치는 모든 영역에 침입하기 시작했다. 핵심 쟁점들에 관한 많은 결정이 서로 다른 절차들을 통해 이뤄지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회는 그 중요성을 점점 더 상실했을 뿐만 아니라, 적대적 이익들이 서로 대치하는 각축장이 되었다. 슈미트에게 이것은 자유주의 국가와 민주주의 모두의 종말을 표시했다._ 샹탈 무페, <정치적인 귀환> , p171

그렇지만, 무페는 슈미트 역시 비판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한계점을 지적한 슈미트의 이론을 받아들이되, 그가 인정하지 않는 다원주의에 대해서는 혹독하게 비판한다. 다원주의에 대해서 비판적인 면에서는 공동체주의 역시 마찬가지였지만, 슈미트는 자유주의의 한계를 보다 실증적으로 보였다는 점에서 이들은 차이가 있다.

나는 정치적인 것과 관련해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의 결함들을 지적한 점에서 슈미트가 옳다고 믿는다. 자유주의가 오늘날 직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는 정치가 하나의 도구적 활동으로, 사적인 이익들을 이기적으로 추구하는 것으로 제한되었다는 사실에서 연유한다. 민주주의를 단순히 일련의 중립적 절차들로 제한하는 것, 시민들을 정치적인 소비자들로 변형하는 것, 자유주의가 국가의 '중립성'이라는 전제를 고집하는 것, 이것들은 정치의 모든 실체성을 비워 버린다. 정치는 경제로 환원되었고 모든 윤리적 구성 요소들을 박탈당했다. 도덕이라는 사적 영역과 정치라는 공적 영역의 분리가 자유주의를 위한 하나의 위대한 승리였다면, 그것은 모든 규범적인 측면을 개인적 도덕성의 영역으로 추방하는 결과도 낳았다. _ 샹탈 무페, <정치적인 귀환> , p178

핵심 쟁점은 현대 민주주의 자체의 본성과 관계된다. 슈미트는 신학정치적인 모델이 붕괴하면서 새로운 형식의 사회가 출현했다는 생각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그는 실체적 공동선의 실종과 단일한 동질적 집단 의지의 불가능성을 조건으로 하는 근대적 상황에서, 통치자와 피통치자가 동일시되었던 고대의 모델로는 민주주의를 이해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p174)...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간의 피할 수 없는 모순이 존재한다는 슈미트의 테제를 우리가 꼭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슈미트는 자유와 평등이라는 현대 민주주의를 구성하는 주요 두 원칙 사이에서 현대 민주주의의 특정성을 파악하기에는 무능력했기에 그것을 모순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었을 뿐이다._ 샹탈 무페, <정치적인 귀환> , p175

결국, 무페는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분리로부터 도덕과 정치의 분리를 취하고, 윤리학과 분리된 정치학의 철학의 필요성을 전제한 후에, '자유'와 '평등'의 원칙에 대해 수많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여긴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에는 정답이 있을 수 없기에 정치적 행위가 필요하며, 여기에는 수많은 '배타적인 결'들이 존재할 수 밖에 없음도 논증한다. 정치적 행위가 권력관계를 의미하며, 그것이 '나'와 '타인'의 구분을 차이를 드러내는 행위인만큼 민주주의에서 정치는 결국 수많은 결들에 의한 투쟁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정치적인 것의 귀환>에서 무페가 말하고자 하는 결론이다.

내가 제안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정치적 원칙들을 지지하는 것이야말로 민주적 평등에 요구되는 동질성의 토대로 간주되어야한다. 여기서 문제의 원칙은 자유와 평등의 원칙이며 이 원칙은 확실히 다양한 해석들의 근원이며 아무도 정확한 해석을 소유한다고 자임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원칙들을 해석하기 위한 논쟁의 틀 속에서 결정을 내리고 국가 의지를 규정하려면, 일정한 수의 메커니즘과 절차의 확립이 본질적으로 중요하다. 따라서 나는 슈미트와 켈젠 둘 다에 대해 부분적으로만 동의한다. _ 샹탈 무페, <정치적인 귀환> , p206

정치적인 윤리에 대한 이런 반성에는 고전적인 정치철학에서 핵심이었던 통념의 재발견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그리스어 폴리테이아의 의미인 '정체'의 통념으로, 모든 형식의 정치적 결사체에는 윤리적 귀결이 있음을 가리킨다. 따라서 자유민주주의 정치철학을 정교화하려면,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특정가치들이나 정당성의 원칙들, 혹은 몽테스키외의 용어를 사용한다면 '정치적 원칙들'을 다루어야 한다. 그것은 바로 만인을 위한 평등과 자유의 원칙들이다. _ 샹탈 무페, <정치적인 귀환> , p181

자유주의는 합리주의적이고 개인주의적인 틀 내에서 정식화되는 한, 정치적인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못 볼 수밖에 없으며, 정치의 본성에 관해 잘못 알게 된다. 자유주의는 정치가 집단적 정체성의 구축에 관계하며, '그들'과 대립적인 '우리'의 창출에 관계한다는 사실을 간과한다... 모든 합의는 필연적으로 배제 행위에 근거한 것이며, 전적으로 포괄적인 '합리적' 합의는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핵심 지즘은 데리다에거서 차용한 '구성적 외부' 통념이 해명을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데리다의 핵심 관념 가운데 하나는 하나의 정체성의 구성은 언제나 무언가의 배제에 근거하며, 형상/질료, 본질/우연, 흑인/백인, 남자/여자 등등의 결과로서 생겨나는 두 극 사이의 폭력적인 위계의 설립에 근거한다는 것이다. 이는 그 자체로 자기 현전적인, 차이로 구성되지 않는 정체성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사회적 객관성은 권력 행위를 통해 구성되다는 것을 드러낸다... 결국 모든 사회적 관계들의 체계들은 어느 정도까지는 권력관계들을 함축한다. 왜냐하면 하나의 사회적 정체성을 구축하는 것은 하나의 권력 행위이기 때문이다. _ 샹탈 무페, <정치적인 귀환> , p224

이처럼 <정치적인 것의 귀환>에서 무페는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그리고 슈미트 이론에서 각 이론의 한계를 다른 이론의 장점으로 공격하면서, 각 이론의 장점으로부터 자신의 다원주의론을 정립한다. 무페가 생각하는 민주주의는 결코 평화롭지 않다. 체제라는 대전제에 대한 합의 위에 치열한 이해다툼이 일어나는 전장(戰場)이 민주주의라는 점이 다소 극단적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모든 것을 포괄하고 긍정한다는 점에서 무페의 민주주의는 포용적이다. 절대적인 가치에 대한 옹호없이 치열한 가치논쟁을 통한 가치 정립. 무페가 말한 '정치적인 것의 귀환'은 '피 흘리지 않는 전쟁'의 귀환이다.

** 이하 내용은 유력 대선 후보에 대한 비판적인 내용이 있으므로 불편하실 분들은 여기까지 읽어주시면 좋겠습니다. **

<정치적인 것의 귀환>은 대선을 한 달 남겨놓은 지금 우리에게도 많은 것을 시사한다. 토론을 피하며 토론하면 싸움밖에 할 수 없다는 야당 후보의 말은 무페의 표현에 따르면 '반反민주주의'적이다. 토론을 통해 합의점을 찾으며 발전방향을 찾는 대신, 자신의 지지자에게만 통하는 논리를 통해 정권을 쟁취하겠다는 태도는 무페가 지적한 공동체주의의 '공동선' 보다도 퇴보한 논리라 할 것이다. 또한, 사적인 영역과 공적인 영역에서의 분리를 이루지 않고, 공권력을 사유화한 그의 행적은 도덕적이지도, 정치적이지도 않다는 점에서 진정한 자유주의로도 볼 수 없다. 결국 정치철학이 부재한 상태에서 오로지 안티테제(Antithese)로만 존재하는 후보가 유력한 대선후보라는 현실. 무페의 책은 어두운 우리의 현실에서 어떤 것이 어둠인지를 밝혀준다.
공감 (32)  댓글 (0)  
 드팀전   2008-04-04
메뉴
역사는 자본주의에 경도된 자유민주주의의 승리로 끝이 난 것 처럼 보인다.최근의 신자유주의는 초기 상인 자본주의의 재도래인 양역사가 이룩해 놓은 민주주의적 전통 마저 숨통을 조은다.한국의 상황은'실용주의'라는 외피를 둘러쓴 이런 '신자유주의'의 클론에 지나지 않는다.실제 좌파라고 할 수도 없는 구정권에 남의옷을 입히며 이제 유일한 징벌자로서역할을 자임한다.그 징벌자의 헤게모니는 다른 모든 가치있는 논의를 '구태'와 '구습'이라는 단어로 독점해 버린다.

유구한 전통의 자유민주주의의천칭은 한국에서는 이미 오래전에 기울어졌다.누가 그랬는가?

2차 세계대전 중 한 독일 장교가 피카소의 작업실을 방문했다.그곳에서 독일 장교가 피카소의 걸작<게르니카>를 발견하고는 다음과 같이 피카소에게 물었다. "당신이한 것이오?" 이에 피카소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 '아니 바로 당신이 한 짓이오. .....지젝 <혁명이 다가온다>중....

자유 민주주의의 전통을 무너뜨린 것은 좌파가 아니다.한국에서 좌파는 이론적으로 자유민주주의의 한계를 지적하고 그것이 궁극적 대안이 아님을 말했을 뿐,실제 자유민주주의를 흔들만한 힘을 가진적이 단 한번도 없다.그렇다면 누가 흔들었는지는 명약관화하다.당신들이 입고 있는 그 옷은'자유민주주의'와는 다른 무엇일 뿐이다.무페는 말한다."그 모든 거짓 딜레마는 특정 환경들 속에서는 함께 접합되었지만 필연적으로 관계가 없는 일련의 서로 다른 담론들을 '자유주의'의 용어 아래 융합한 결과이다."

시대가 암울하다는 불평과 자조가 주위에서 많이 들린다.이것은 '역사의 종말'이 아니다.그것이 역사의 종말이 아님은 역사가 스스로 이야기해주고 있다.우리는한숨과 실망으로열려 있는 역사라는 강물에 허무의 방파제를 알아서 세울 필요가 없다.

칼슈미트의 '정치'와 '정치적인것'

상탈 무페의 <정치적인 것의 귀환>은 먼저 '정치'와 '정치적인 것'의 구분을 요구한다.일단무페의 선행적인 전제가 인문사회학적 상상력의 부재로 도저히 이해가 안간다면 이 책을 읽지 않아도 된다.전자는 '제도로서의 정치'다.우리가 뉴스에서 만나며 말그대로 '정치'(politics)라고 믿는 그것이다.그렇다면 '정치적인 것(the politcal)'은 무엇인가? 이 '정치적인 것'의 개념은 나치 협력자였던 칼 슈미트에게서 빌어온다.('나치' 그러니까 또 '생각의 얕음'을 드러내는질문을 또 하고 싶지?) 슈미트는 '정치적인 것'을 인간 사회와 분리할 수 없는 존재론적인 규정이라고 말한다.그것은 '적대'와 '친구'로 나뉠 수 밖에 없는,'갈등'과 '분열'의 영속적인 상태를 인정하는 것을 말한다.대다수의 '자유주의자'들은 이 지점에서 깜짝 놀란다.'적의'라는 개념이 그들에겐 낯설기 때문이다.무페는 자신의 '급진적인 자유민주주의 기획'의 주요 비판의 대상이 될 '자유주의'적 사유가 '대중들'이 표출되어 나타나는 정치 운동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말한다.그들에게 이것은 병리적인 것으로 분류되거나 비합리적인 힘들의 표현일 뿐이다.무페의 기획은 여기서 시작된다.즉 정치적인 것이 필연적이며 적대가 없는 세계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수용하는 것.그리고 이 조건 하에서 자유민주주의의 전통을 이어가면서 다원주의적 민주주의 질서를 창조하고 유지하는 법이 그녀의 관심 주제이다.

아..무페의 자상함을 잠깐 언급하고 넘어가자

무페는 '적'이란 말에 '붉은 기'를 연상할 한국의 자유민주주의자들을 위해서 친절하게도 '적'의 개념에 대해 설명해준다.(핵심은 그 '적'이란게 '인민재판 기소자'가 아니라는 뜻이다.그러니'적','적대','적의' 이런 학술적인 표현이나오더라도 겪어보지도 않았을 '한국전쟁'의 기억은 잠시접고..붉은 깃발 좀 떠올리지 말자..제발 좀..무페 말에 따르면 그런자가 진짜'적이다')

'이런 질서를 위해서는 '적'과 '반대자'를 구별해야 한다.그것은 정치 공동체의 맥락에서 대립진영을 파괴해야 할 적이 아니라 그 존재의 정당성을 용인해야 할 반대자로 고려하기를 요구한다.우리는 반대자의 생각에 맞서 싸울 것이지만 그들 자신을방어할 권리를 문제 삼지는 않을 것이다 '적'의 범주는 민주주의적 '게임규칙'을 받아 들이지 않아서 정치 공동체에서 스스로 배제된사람들을 가르킬 때는 여전히 타당하게 남아 있다.<정치적인 것의 귀환>에서 몇 줄 밖에 할애되지 않은 내용인데 이렇게낭비적인 설명해야 하는 상황이..쯥 하다.)

롤즈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자유주의와 공화주의 비판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는 허술한 합의 형태로 '자유민주주의'라는 보통명사처럼 사용된다.하지만 이 두 개념은 상호 배치되는 가치관이다.칼 슈미트나 이사야 벌린 같은 학자들이 오래전에 제기한 주장이다.이제는 거의 상식적인 개념이다.흔히 자유주의하면 '개인의 자유'를 말하지 않는가.슈미트는 엄정한 의미의 자유주의는 특정 가치관을 형성할 수 없다고 말한다.즉 모든 것이 개인에서 시작해서 개인으로 끝나야하는 것이 진정한 개인주의이고 이것은 정치적인 것을 부인할 수 밖에 없다.그런데 '민주주의'는 어떤가? '대의제'로 대표되는 '민주주의'는 불행히도'개인의 선택'을 그대로 반영해 주지않는다.초등학교에서도 배우는 내용인다.예를 들어 나는'진보신당'을 지지한다.그래서 그 후보에게 투표하고 싶다.그런데 우리 동네에 '진보신당'은 후보를 내지 않았다.선거에서 나의 정치적 자유 의지는소멸되는 것이다.물론 다른 대타를 구할 수 도 있다. 그런데 그건 차선의 선택이지 진정한 의미의 내 '개인의 정치적 자유'의 의사표현은 아니지 않은가? '

무페는 가장 진척된 형태의 자유주의 교과서라 할 만한 존 롤즈의 <정의론>을 텍스트로'개인주의적 자유주의' ,'의무론적 자유주의'에 대해 비판을 한다. 물론 롤스의 '공정으로서의 정의','좋음보다 옳음의 우선성'이 야만적 신자유주의에 대한 방어적 테제로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무페도 그 장점은 장점 대로 인정한다. 우리 사회에서는롤즈식의 '정의'만 구현되어도 지금 보다 한결 나아질 것이다.하지만그녀는 롤즈의 <정의론>이 갖고 있는 이론적 한계를 지적한다. 롤즈는 기본적으로개인의 이익에 근거하여이를 합리적이고 도덕적으로 공유해낼 합의를 중요시여긴다.그는 이 시민 대중이 갖는 공통의 직관적인 도덕관념을 이미 '선험적 전제'로 상정하고 논리를 전개한다.그에게 '목적론적 자유주의자'라기 보다는 (칸트적인 의미의)'의무론적 자유주의자'라고 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결국 롤즈는 '도덕의 담론'과 '정치의 담론'을 혼동하고 있는 것이다.슈미트는 그래서 '자유주의적 개념들이 전형적으로 윤리학과 경제학 사이에서 움직인다'라고 말했다.그럼 '정치'가 '도덕'과 분리될 수 있느냐는 문제남는다.아리스토텔레스는 이 둘의 일치를 주장했다.그러나 근대 정치의 정초자로 보는 마키아벨리는 달랐다.그의 <군주론>이 갖는 중요 미덕은 '정치'와 '도덕'을 분리했다는 것이다.그리고 이후 근대 정치는 그 지평 위에서 발전 되어 왔다.왜 마키아벨리가 중요한지.. <군주론>을 단순히 '국왕 독재 지침서'만으로 읽어서는 안돼는 이유가 그런 맥락 속에 있다.

또한 롤즈의 <정의론>은 '정치적인 것'의 의미를 사소화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또한 도덕관념에 바탕을 둔 '합의'문제에 있어서 '구성의 문제'를 외면하고 있다.롤즈에게 평등과 자유는 도덕적 인격체들로서의 인간 속성이다.그리고 이것은 이성에 바탕을 둔 직관에 기초한다.하지만 왜곡되지 않은 '합리적 소통'과 '합리적 합의'에 기반을 둔 사회적 통일성에 대한열망은 사실은 반정치적이다.과연 우리는 '왜곡되지 않은 도덕적 인격체들의 합의'를 만들어낼 수 있는가? 여기서 우리는 신그람시주의자로서 무페의 헤게모니적인 주체를 만날 수 있다.

또한 무페는 자유민주주의 정치전통에서 자유주의와 항상 맞서 왔던 공동체주의자(공화주의자.공리주의자)들에게도 비판을 가한다.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의 이 전통적인 대립은 미국 건국 이념에서 갈등 양상을 빚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맥킨타이어나 샌들같은 이들이다.무페는 먼저 롤즈의 <정의론>에 대한 공리주의자들의 비판을 소개하고 그 비판이 담고 있는 또 다른 한계를 지적하는 형식을 따른다.공리주의자들의 정치적 스펙트럼 또한 다양해서 한 그릇에 담긴 어렵다.무페는 자신이 마르크스를 떠났던 같은 이유로 공리주의가 가진 '공동체의 선'이라는 '본질주의'에 대해 비판을 한다.기본적으로 공동체주의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와 헤겔을 소환한 것이다.이런 시민 공화주의적 전통은 '구성적 공동체'를 말한다.시민이 참여자로서 정치 공동체에통합되는 것이다.참여정부가 있었을 만큼 '정치공동체의 참여'를 일종의 선으로만 여기는 한국의 진보주의 입장에서는 이게 뭔 문제가 될 까 하고 말할 수 있다.문제는시민공화적 전통의참여의식은 개인적 자유의 희생을 담보로 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것은 또한 '확실성의 표지'가 사라진 시대에 '본질주의'로서 비판 받을 여지가 있다. 무페의 비본질주의적 정치관으로 보면 시민 공화주의의단일하고 실체적인 공동선 관념은 현대 정치의 특성을 외면하고 있는 것일뿐이다.물론 무페는 정치와 윤리의 끊어진 고리를 연결하는 것 자체에 부정적이지는 않다.대신 그것이 민주주의 혁명의 성과물을 희생해가면서 그럴 수 없다는 것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무페는 오크쇼트의 "소키에르타스'의 관념을 이용하여 비본질적인 개인들이 공동의 관심사에 대한 결합으로서의 결사체를 적절한 것으로 본다.중요한 점은 절대적 주체를 인정하지 않는 하에서 분화된 주체들 사이의 관계를 중심점으로 한 구성이라는 것이다.웃자고 예를 들자면... 두산 베어스와 짜장면을좋아하는 A와롯데 자이언츠와짜장면을 좋아하는 C는 결사의 형식을 이루어낼 수 있다.둘다 짜장을 좋아하니까...삼성 라이온스와 짬뽕을 좋아하는 C는....어떡게 하냐구? 피식..상상력을 동원하쇼.사실 B는 축구팀 FC서울을 좋아하고 C도 축구팀은 FC서울이 최고라고 생각한다.무페는 근대적 형식의 정치 결사체가 공동선이라는 실체적 관념이 아니라 공동의 유대,공동의 관심사에 의한 결합이라고 말한다.따라서 이것은 규정된 형태나 유대 없이 끊임없이 새로 제정되는 공동체이다.이것은 전근대적 공동체와도 자유주의적 공동체와도 다른형식인 셈이다.이런 소키에르타스 개념은 다원주의와 개인적 자유를 양보하지 않으면서도 모든 규범적 측면을 사적 도덕의 영역으로 나몰라라 하지 않는다.무페는 오크쇼트가 이런 소키에르 관념을 '공통의 언어'라는 보수적 개념으로 풀이한 것에 반하여 '갈등과 적대'의 모델을 도입하여 재전유할 것을 주장한다.

무페의 급진적 자유민주주의 기획이 어떤 정체를 띄는가를 찾는 것은 무모한 짓이다.이는 다른 이론들이 그렇듯이 동시대의 정치적 기획으로서의 의미이다.무페의 의도는 "현대 민주주의의 본질로 구성된 것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최대한 어느 정도까지 다원주의를 옹호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그녀는 자유민주주의의 체제의 역사적 성격을 끌어안는다.특히 구좌파에게 부르주아 정치 체제를 옹호하고 사탕발림해버린 것으로 비유되곤 하던 자유민주주의의 미덕을 포기해서는 안된다고 말한다.하지만 그녀는 자유민주주의의 전통이 가지고 있는 '본질주의' '도덕주의' '허구의식' 등을 해체하길 제안한다.그 대신 '합의'와 '안정'이라는 도달할 수 없는 가치에 매달려서 자기모순에 빠진 자유민주주의를 '갈등'과 '불확정성'을 안고 살아갈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받아들이라고 요구한다.그렇듯이 '정치적인 것'을 귀환시켜야만 비로소 다원주의적 민주주의의 본질에 다가갈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페스팅거의 '인지부조화'이론의 핵심은 인간은 부조화상태를 조화상태로 만들려고 한다는 것이다.무페는 역설적으로 실체가 없는 것을 구현하려고 하지말고 '부조화'와 함께 뒹굴라는 것이다.(이미 책상 줄 안맞는게불편해 미치는 분들이 계실 것이다.'사회를 보호하고픈' 분들.)

'긴장'-이것은 개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시민으로서의 정체성간의 긴장이거나 자유와 평등이라는 두 원칙간의 긴장이다-이야말로 현대 민주주의 기획이 다원주의와 더불어 풍부해지고 살아 있을 수 있는 최상의 보증물이다.이 긴장을 해소하려고 욕망한다면 정치적인 것의 제거와 민주주의의 파괴만을 이끌어 낼 뿐이다.

P.S) 이 책은 여러 논문을 합쳐 놓은 것이라서 중복되는 내용이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진다.결과적으로 선이해가 있는 사람이라면 책 전체를 볼 필요는 없을 지도 모른다.꼼꼼히 몇 챕터만 읽어도 충분할 수 있다...처음에는 서로 서문도 써주고 친했다던 라클라우,무페 친구와 지젝이 점점 멀어지는 이유를 얼핏 알 것 같다.누군가 묻는다....무페는 빨갱이냐? ....자유민주주의를 보존하고 지키자는데 그게 빨갱이냐...하지만 그녀는 넓은 의미의 좌파다.(신사회운동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다르다.) 이해가 안갈 것이라고 생각한다.왜냐하면 그들에겐 제도주의자 '장하준'같은 이들도 좌파,빨갱이이기때문이다.진짜 오랜만에 '빨갱이'란 말 써본다.언제부턴가 이 단어가 다시 오르내리기 시작한다.아름다운 시절이다.

공감 (5)  댓글 (1)  
 nana35   2013-04-09
메뉴
이상을 향한 전진은 인류의 오래된 미래이다. 현실의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지만 이상향에 들어간 인간은 철저하게 독립적인 개인이다. 이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의 화해와 갈등이 이상을 배태하는 어머니이다.

1장
계몽의 시대에는 공동선을 향한 열망과 그 성취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있었다. 이러한 절대적 진리의 실체에 대한 긍정은 플라톤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래된 기획의 변주이다. 단지 고대에는 이성적 판단에 대한 근원적 차별성을 전제로 신분제 역할 분담이 이루어졌다면, 근대에는 합리적 판단의 보편성이라는 개개인의 이성에 대한 신뢰가 공동선을 향해 나아가는 주요 원동력으로 간주된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2장
근대의 정치적 혁명은 외부 규범이 침입할 수 없는 신성한 개인의 권리를 옹호하는 자유주의와 개인들간의 관계망, 곧 타자의 실존에의 인식과 상호 작용에서 비롯하는 공동체주의의 기획을 발생시켰다. 화해할 수 없고 충돌과 배제만이 가능할 것 같은 양자의 조합은 옳음과 좋음의 선후 혹은 상하관계를 두고 대립하는 사이지만, 개인은 시민의 공동체 기획에서 탄생하고 시민은 개인의 주체적 결단에서 비롯한다.

3장
그러므로, 우리는 공동선이라는 이데아의 확신을 바탕으로 동굴 속의 불완전한 삶을 파괴하는 전체주의적 기획으로 삶을 몰아가서는 안되며,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어느 한 쪽에 대한 적대에서 비롯한 체제의 완전성이란 곧 달성할 수 없는 기획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거짓선동임을 명심해야 한다. '정치적인 것'의 귀환은 갈등을 불러오지만 이 다원성의 생성과 확장이 바로 민주주의라는 기획의 본질이며 보호막이다.

다원성을 하나의 가치로 수렴하려는 통일적 시도는 언제나 실패로 귀결되는 잊혀진 과거이다. 중심이 비어 있기 때문에 '정치적인 것'들은 귀환한다. 자유와 평등은 유동하는, 아직 오지 않은 미래의 아버지이다.
공감 (0)  댓글 (0)
==
Displaying 1 - 10 of 21 reviews
Profile Image for David M.
David M
472 reviews
380 followers

Follow
Read
February 17, 2017
'Clinton-Kane: the safe choice' isn't a bad message for a race with Donald Trump, Vox headline, 7-23-16

to quote our new chief executive, WRONG!

Politics is the Solution, Jacobin headline, 11-9-16

***dingdingding****

Full disclosure: I voted for Clinton, in California no less, and I don't regret it. However, if we're going to learn the correctly lessons from the catastrophe of the election, I think it means repudiating the de-politicized politics of the Clinton campaign. 11-8 ought to be understood as a Berlin Wall moment for technocratic liberalism, an ideology represented by publications such Vox. Clinton was supposed to embody reasonableness, decency, responsibility - all terms more or less devoid of content (except in contrast to the person of Trump). This really just isn't enough. Truly, what we need is a return to politcs. In this respect Chantal Mouffe is a valuable intellectual resource.

*
towards a new populist, anti-fascist International

https://www.thenation.com/article/ame...

*
Also, this speech from Pablo Iglesias (leader of Podemos) from a couple years ago. To be honest, the task seems pretty hopeless a lot of the time, but this really is heartening. This man really, sincerely wants to win

https://www.jacobinmag.com/2014/12/pa...

20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Todd.
Todd
137 reviews
98 followers

Follow
September 4, 2021
This is a very interesting series of essays that does a number of things. In this review, I want to focus on four areas of model building where Mouffe has advanced the literature and provided conceptualizations useful for Democratic practice in late 20th century and early 21 century Western nations.

Below I describe the contributions in this work towards: 1) Articulating a non-essentialist version of subjectivity; 2) Laying out and circumscribing the horizon of the political; 3) Articulating a radical theory of democratization; and 4) Inscribing the essential boundaries of the political.

1. Articulating a non-essentialist version of subjectivity. This is contra the old essentialist version of Marxist class consciousness. In the old essentialist version of Marxist class consciousness, the revolutionary praxis hinged on and was realized through the proletarian standpoint. There had to be proletarians for there to be a revolutionary praxis; the former was causa sui, and the praxis was predicated upon it. By contrast, in the post- post-structuralist version of subjectivity, the subject positions—e.g. LGBT, women, workers, African-Americans, Latinx, the disabled, seniors, and so on—are themselves both non-essentialist and contingent. The non-essentialism recognizes that, for instance, what you mean by “feminist” or “people with disabilities” may well be different than what I mean by those terms and positions of subjectivity, which in turn may well be different than a third person. At the same time, by virtue of their contingency, these terms and positions of subjectivity are realized by and through their articulation and their various beings and practices in the world. In other words, their articulations and their beings and practices in the world change the positions of subjectivity, and are in turn changed by them. For example, LGBT became LGBTQ, which became LBTQQIIAP. In the process, and as a result of the movement, more people recognized themselves as having fluid genders, and the movement itself expanded and obtained legalized status for gay marriage in many western nations. Mouffe speaks about a chain of equivalences and a chain of difference by and through which these various positions of subjectivity realize a common radical democratic platform. This is much easier said than done. In plain English, this would mean a coalition of women, African-Americans, Latinx, disabled Americans, seniors, and so on lead a successful electoral platform at local, state, congressional, and presidential levels. In practice and in the intervening three decades, this last point had proved to be the weakest point, and has only been achieved when it coalesced under the us-versus-them logic, described below in point four.

2. Laying out and circumscribing the horizon of the political. This layer of the work described and depicted the inherent tension between liberalism and democratic politics. The liberal theory is predicated upon the primacy of the individual realizing his or her interest in society. This has been realized through liberal pluralism and the marketplace of various pluralist interests pursued. Inherent in this pluralism is that there is no one common good, as there is no one good as the eudaemonia within liberal society. Rather, as the modus vivendi of liberal society, individuals are endowed with rights and liberties, granted by and protected by the state, which they pursue variously. In this liberal society, as mentioned in several of the essays, the individual serves as the terminus a qou and the terminus ad quem. As a corollary, the pluralistic interested are relegated to private sphere, and the individuals to the pursuit of their own private ends. This has invariably lead to an emptying out of the public sphere and the political. In reworking Carl Schmidt, Mouffe cites the tension between liberalism and democracy. In distinction from liberalism, according Schmidt, democracy is defined by the logic of identity between governed and the government. Meaning there are other versions of democracy then the liberal democracy that we have come to know and live in the West in the 21st century. Mouffe cites the examples of authoritarian democracy in modern totalitarian regimes that represented the popular will and the republican democracy of the Italian city-states in the late Middle-Ages and early Renaissance. After the crisis of parliamentarism in fin-de-ciecle Europe, the representational model has been reconstituted without its prior foundationalist strivings. In the post-World War II model, the reconstituted political is envisaged as the space where various constituencies elect their elites. In the emptied out public space, tensions are negotiated in the domain of parliamentary politics. Mouffe is committed to the democratic project and as another layer of this work articulates a radical theory of democratization.

3. Articulating a radical theory of democratization. She describes as the expansion of democracy into various other areas of our lives and societies The definition of democratization then being not just who has the right to vote but where that right to vote is exercised. This can be extrapolated to mean an alternative model as opposed to the hierarchical, patriarchal, bureaucratic models that are operative in the economic, corporate, and public spheres. It is also intended as an alternative to and a rebuke of the dictatorial and bureaucratic models that were operative in the Soviet communist block. This is the least well-developed model and conceptualization of the four described in this work. It is also one of the most intriguing. This is a promising area for Mouffe to develop further in her emeritus years or for one of her proteges or another scholar to pick-up and carry on where she handed off the torch. In many ways this is an area of intersectionality between the radical democratic political theory and public administration. Although there is much promise to the idea of expanding the areas where the right to vote is exercised, to date it has not proved an effective model of management. The greater potential may lay as an alternative model of corporate governance. In the sense that not-for-profit organizations are governed by the communities that they serve, and that governance is exercised by the boards of directors being constituted by members of those communities.

4. Inscribing the essential boundaries of the political. This responds to and reimagines the early 20th century thinking of Carl Schmidt. This includes the fundamental recognition of the essential us-versus-them logic in political reasoning. This is as old as time immemorial, where we may recall that the Greeks characterized the non-Greeks aka the barbarians as the people who made language that goes bar bar bar. More recently this is the very same logic behind every nativism whereupon every new immigrant nationality that entered America was another of them which was punched down by the last round of immigrant. This is also the logic that has reconstituted the political in the post World War II. Point being that since the 1940s and accelerating more recently that has devolved into the very tribalism and team-centric mentality underlying the red versus blue, us versus them, in the electoral politics of late 20th in early 21st century America (it was at play in the the resistance to George W. Bush's wars and policies, the reaction against Barack Obama, and now coalesces in the anti-Trump movement and the pro-Trump MAGA camp). It was the same us-versus-them at work in the us, the democratic block, versus them, the communist block, that undergird the Cold War. It was the us-versus-them of us, the democratic nations of freedom, versus them, the terrorist insurgents of insert Middle-Eastern country (Iraq, Syria, Iran, Afghanistan), that characterized the George W. Bush presidency post-2001. We also see it in the friend-stranger of every current nativism, in us the Americans or the Europeans, versus them the immigrants trying to come to America via the Mexican border or them immigrants trying to come into France or Greece or Italy. Beyond every determination of an “us” there is a boundary outside of which there is inherently a “them.”

Beyond her advancements in model building and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Mouffe deserves credit for the practicality of her political philosophy. It is her unique contribution that she does not just present political theory that engages with liberal, Marxist, and authoritarian theorists, she also continues to articulate contributions towards a radical democratic strategy. This strategy has been realized throughout the intervening decades from the time of this work. One case in point is the identity politics of the 1990s and onward; although of course, these movements have yet to realize the ambitions of Mouffe’s strategy. Another case is the prescience of her warnings concerning right-wing populisms. These movements have made textbooks use of the friend-enemy, us-versus-them logic described and warned about here. Working through it, we see that Mouffe was very much of her time and ahead of her time. This work is still giving us tools and frameworks to deal with the nativisms and reactionary populisms that have been infecting late 2010s Europe and America.
politics

4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Amy.
Amy
589 reviews
39 followers

Follow
January 3, 2022
These essays center around themes touching on the limits of liberalism, and overall push an anti essentialist class position and the need for a radical pluralist democracy. The essays become redundant and don’t take you anywhere particularly exciting as much as theory goes, but if you like theory that takes a critical take on liberalism without rejecting pluralism, then Mouffe’s your gal.

4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Markus.
Markus
418 reviews
23 followers

Follow
October 23, 2020
Oh boy
So what is there to say about this book. First of all it is a collection of 9 essays, most of which have been released before. Mouffe warns us that there might be some overlap y which is a gross understatment as these are really 3 essays at most if you cut the repetition. Another complaint is that Mouffe can't go 5 sentences without quoting someone which makes this seem like Mouffe isn't arguing for her own points, but for those of ten others. Not only that, but the repetition of certain quotes through the essays makes my gallbladder shrivel.
Now to the content: what Mouffe proposes is a conpromise between liberalism and democracy, agnostic pluralism and whatever other phraseology. Anticapitalism in this "radical thinkers" book can be found, but you may require a good looking glass. A number of points of hers are straight up invalid if measured up against any materialism or god forbid, historical materialism.
There are nuggets to be found in this book, but in order to use them, a certain amount of violent disrespect to the main idea might be required.

3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Shelly Dee.
Shelly Dee
17 reviews
4 followers

Follow
May 28, 2016
Yet another set of essays by Mouffe that coalesce around a common theme: in this case, the idea of antiessentialism. While the book is prefaced with the fact that a number of the essays are repetitive, I (obviously) did not take such a warning seriously enough. The book is massively repetitive--and I think, undertheorized in many ways. Mouffe suggests, here, a democracy of differences that matter, a search for an egalitarian political life, and trains her sights on externality frequently.

Overall, the book reads as a series of complex, complicated, and interconnected musings on identity to no end. Readers of Mouffe won't find much to be surprised by in these essays.

3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Mahla.
Mahla
80 reviews
39 followers

Follow
May 16, 2021
.
.همیشه در حوزه فلسفه سیاسی به تمام دوستان دغدغه‌مند و آگاهم، مطالعه آثار ارنستو لاکلائو و شانتال موف را توصیه کرده‌ام. لاکلائو و موف به تاسی از گرامشی، ایده دموکراسی رادیکال را برای اعاده حیثیت از مارکسیسم و بحران‌های جهان پست مدرن در پیوند آزادی و برابری پی‌ریزی کرده‌اند. اما اینجا در "بازگشت امر سیاسی" موف کمی از همسر گرامی فاصله گرفته و بیشتر دست دوستی به‌سمت لیبرالیسم دراز کرده است. موف در مصاحبه‌ای به‌خوبی به عمق بحران‌ سرکوب آنتاگونیسم و توهم مارکسیسم اشاره می‌کند. او تضادهای جاری در جامعه را فراتر از خاله‌بازیِ بورژوازی و پرولتاریا می‌شمارد و در مقابل تقلیل منشاء تضاد‌ به طبقات، مذاهب و اقوام آن را در تک به تک افراد جستجو می‌کند.
سوژه در تعریف دموکراسی رادیکال موضعی واحد نیست که ذیل طبقه یا گرایشی خاص طبقه‌بندی شود، بلکه برخوردی از مواضع گوناگونی است که در متن روابط اجتماعی خاص خود تعریف می‌شود و از فلسفه سیاسی کاری ساخته نیست، جز اینکه در این دنیای نامحدود تقابل‌ها، به هویت‌سازی مشترک دست بزند تا همگی ذیل یک هویت واحد که آن هم هژمونی "آزادی و برابری" است به پیگیری منافع فردی خویش بپردازند. این انسان‌شناسی محصول سیطره ارزش‌های پست مدرنیته و "زوال علائم یقین" است. سیاست در چنین جهانی، افقی جز حراست از آنتاگونیسم ندارد و حکومت تنها مسئول برقراری بستری برای پیگیری منافع افراد است.
دموکراسی رادیکال پروژه موفقی است که نه تنها با نگرش اتمیستی لیبرالیسم در تقدم حق بر خیر نسبتی ندارد و تضادهای فردی را در حوزه خصوصی محبوس نمی‌کند؛ بلکه همچون جماعت‌گرایان آزادی و کرامت انسانی را نیز مخدوش می‌کند.
پروژه‌ای که همانطور که از نام کتاب برمی‌آید، به میمینت "بازگشت به امر سیاسی" میسر می‌شود.
. به قولی از کارل اشمیت سیاست همواره عرصه تقابل "ما" با "آنها"ست. بدون برقراری چنین نسبتی امر سیاسی از مفهوم خود تهی می‌شود. بازتولید این مفهوم در چرخه دموکراسی رادیکال، ارمغان ارزشمند لاکلائو و موف برای فلسفه سیاسی است.
مطالعه کتاب علاوه بر ارزش افزوده‌ بر ذهن مخاطب، چراغ تفکر را روشن می‌کند. چراغی که بر به رسمیت شناختن تضاد‌ها و تکثرگرایی به‌معنای حقیقی کلمه نور می‌تاباند

2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John San Nicolas.
John San Nicolas
131 reviews
11 followers

Follow
August 5, 2024
It’s been a while since I’ve read political philosophy, and boy is this book good.

Mouffe represents the school of what can be called radical democracy. Radical democrats seek to “radicalize” democracy, or bring it to its root promises of guaranteeing rights and equality for all. Anytime you see a democratic struggle for equality, it is usually from a group that claims to have been denied rights. Civil rights, women’s rights, gay rights, trans rights, preborn rights, and parents’ rights are all examples.

Mouffe is definitely more fit to speak to the democratic struggles typically found “on the left,” rather than on the right. But nevertheless, she points to what is now called “intersectionality” as a framework for thinking about what it means to be a citizen in a liberal democracy.

Intersectionality is the idea that we have multiple identities that affect our social life—gender, class, race, ethnicity, culture, marital status, age, etc. These identities clash, contradict, advantage and hinder us in the opportunities we can access and take advantage of. And these identities therefore make us complex, and rooted in our traditions and ways of life.

The complexity of democratic citizens effectively blocks off any monistic view of a “We the People,” because the People is always at odds with what political decisions are to be made. The People even experience antagonism over who they should become, or where they should go as a collective society. This realistic notion of pluralism—the heterogeneity of the polis, is an important corrective to liberal views of society that presume that everyone is untethered from traditions and culture, and that disagreements can be solved through rational dialogue.

The only challenge I have with Mouffe is that, while she is not exactly writing to, certainly not from, the American context, her work doesn’t offer many good answers to the American problem of polarization. The way in which she frames “democratic struggles” is especially sympathetic towards struggles on the left, and she is almost spiteful, perhaps, of the struggles claimed by the right. A new way to think about democratic struggles that are ongoing in a society, that can themselves be contradictory and antagonistic, must be formulated. Mouffe defends a pluralism of the people, but leaves much to be imagined for a pluralism of democratic struggles.

1 like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Dominique.
Dominique
293 reviews
5 followers

Follow
August 20, 2020
3.5 stars
politics

1 like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Kai.
Kai
Author 
1 book
194 followers

Follow
July 25, 2014
collection of essays. some are good, some are less good...a bit repetitive.

1 like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Claudio Aiello.
Claudio Aiello
44 reviews
4 followers

Follow
July 17, 2020
Me dispuse a leer a quien es referente intelectual de varios del gobierno argentino. Lo que encontré fue lo esperado: un típico producto posmoderno. Es alguien que no cree en la democracia liberal y en los valores liberales de libertad e igualdad para todos. La lógica agonal y visión "adversarial" de la autora chocan de frente con esos valores básicos. Estas ideas, en mi opinión, llevan a separar gente, imposibilitando el diálogo público, tal como yo no puedo hablar de política con mi verdulero K. Es todavía peor cuando lleva estas ideas al plano internacional. Hablar de establecer un "orden multipolar" en contraposición a un "orden cosmopolita liberal". Esto lo único que lleva es a balcanizar al mundo, creando diversas hegemonías que compitan entre sí. ¿Y la paz mundial? No tiene cabida para la autora, la lógica del permanente conflicto tiene esa carga.
Para cerrar, una frase del este libro que recuerda al concepto de "doblepensar" de George Orwell: " "consenso sobre valores políticos de libertad e igualdad para todos, DISENSO EN SU INTERPRETACIÓN"
==

==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