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26

손민석 사이토 고헤이 지속불가능 자본주의

손민석  사이토 고헤이 지속불가능 자본주의

Favourites · 18 h ·

마르크스의 원시공산주의론에 대한 오독에서 시작된 기묘한 재해석에 기초해 논의를 풀어가는데 당연히 시작점이 잘못되었기에 결론 또한 틀릴 수밖에 없다. 

저자는 계속해서 마르크스가 말년에 이르러 1850~60년대와 입장이 달라졌다고 강조하며 그 예로 자술리치에게 보내는 편지의 초고 속에서 마르크스가 농민공동체의 ‘지속가능성’에 주목했다고 주장한다. 안타깝게도 이것은 저자가 자신이 속해 있는 일본학계의 마르크스 역사이론 분석조차 제대로 자료조사하지 않은 지적 태만에서 비롯된 오독이다. 훈고학을 하고 싶은 것은 아니지만 이 해석이 그의 논지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다.

마르크스는 이미 1840년대에 <독일이데올로기>를 쓸 때부터 인도적 - 슬라브적 원시공동체(자술리치 편지를 쓸 때는 미국의 이로쿠오이족으로 대체되는)가 지닌 장기지속성에 주목했다. 인도적이라는 수식어와 슬라브적이라는 수식어 간의 차이와 둘간의 관계만 해도 대단히 중요한 연구논점을 담고 있으며 개인적으로는 내가 이 부분에서 기여한 게 있다고 자부한다. 

아무튼 마르크스에게 원시공동체는 1840년대부터 1880년대까지 40여년에 걸친 그의 지적 여정 속에서 언제나 장기지속되는 존재로 자리하고 있었다. 마르크스의 역사이론에서 특이한 존재는 원시공동체가 아니라 그런 원시공동체의 안정성, 장기지속성을 뚫고 자본주의에 이르게 된 서유럽이었다. 서유럽이 지닌 특이성이야말로 그에게는 해명의 대상이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초기의 마르크스와 말년의 마르크스 간에 차이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1840~60년대까지의 마르크스에게 있어 원시공동체가 지닌 안정성과 장기지속성이 '아시아적 정체성'의 기반으로 독해되었다면 말년의 마르크스에게는 아시아적 전제국가에 선행하는 인류사의 초기단계로 그 역사적 위치가 변화한다.

즉 사이토 고헤이가 주목하는 원시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이란 "역사발전의 정체"의 다른 이름에 지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마르크스는 사이토가 찬양하는 (원시)공동체의 장기지속성이 그 놀라운 생명력의 이면에는 모든 생산력 발전을 억누르는 바람에 교통의 발전이 늦어져 나타난 "폐쇄성"이 자리하고 있으며, 공동체가 지닌 이 폐쇄성이야말로 19세기 현재까지도 러시아제국의 전제적 지배의 기반으로 공동체가 기능하도록 만든다는 점을 통찰해낸다. 

사이토는 전자에만 주목하느라 후자의 폐쇄성에는 주목하지 않는다. 마르크스가 말한 서유럽 혁명과 러시아혁명의 교차적 접합 속에서의 러시아 공동체의 '재생'은 바로 이 공동체가 지니고 있는 폐쇄성, 소小우주성을 서유럽 프롤레타리아트의 혁명의 성공이 가져온 놀라운 생산력 발전으로 극복할 때에, 서유럽의 자본주의가 지닌 놀라운 생산력이 러시아의 공동체에 이식될 때에 비로소 타파될 수 있다는 점을 그가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온 발언이라는 걸 사이토 코헤이는 완전히 반대로 해석한다. 

그는 마르크스와 반대로 러시아의 농민공동체가 주도하는 혁명이 서유럽 혁명과 거의 동급의 위치에 놓여 있다는 전도된 인식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그가 인용하는 케빈 앤더슨 등의 서구 마르크스 연구자들의 지적 파탄을 보여주는 증거에 지나지 않는다.

이미 1970년대부터 고타니 히로시 등을 비롯한 수많은 일본의 학자들뿐만 아니라 서구의 학자들이 마르크스가 초기의 단선론에서 벗어나 다선론적인 역사관을 갖게 되었다는 주장을 반복해왔다. 사이토 코헤이의 주장이 지닌 장점은 그들의 주장을 물질대사라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종합했다는 점에 있다. 다만 아쉽게도 나는 1970년대부터 이어져온 이러한 해석들이 모두 문헌상 별 근거가 없으며 더 나아가 그러한 해석의 근저에는 마르크스=엥겔스=레닌주의=스탈린주의라는 등식에서 마르크스만 빼내려는 정치적 시도가 있었음을 지적하고 싶다. 이러한 해석들은 사이토도 보여주듯이 진보사관, 생산력주의 등의 혐의를 모조리 엥겔스에게 지우고 있다는 공통점을 보인다.

그들은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역사인식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그러한 차이가 러시아 사회의 공동체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서유럽의 프롤레타리아트 혁명이 전제되기만 한다면 자본주의를 거치지 않고 코뮤니즘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마르크스의 입장과 자본주의는 이미 필연이 되었기에 러시아도 자본주의를 보다 잘 정착시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는 엥겔스의 입장이 서로 다른 이론적 기반 위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두 주장은 동시에 나타난 것이 아니다. 1882년 <공산당선언> 서문에서 둘이 공동으로 서유럽혁명과 러시아혁명이 상호작용해야 한다는 마르크스의 입장에 합의했다는 점을 인정한다면, 이후에 엥겔스가 러시아 사회를 보다 깊게 연구하면서 러시아에 있어서 자본주의는 돌이킬 수 없을만큼 뿌리깊게 정착했다는 인식에 확고하게 이른 1891년 이후의 상황에서 나온 발화를 1882년의 발화와 대치시키는 것이 얼마나 문헌적 근거를 갖는 주장일지 생각해보기를 바란다. 두 인식에는 거의 10년의 차이가 있다.

여기에는 러시아 혁명세력 내부에서 마르크스주의가 차지하던 비중이 플레하노프와 엥겔스와의 지적 교류를 매개로 점차 변하고 있었다는 점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정치적으로 엥겔스는 플레하노프와 가까워지면서 과거 마르크스와 함께 했던 인민주의적 입장의 혁명가들과 점점 더 멀어지고 종국에는 결별 단계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정치적 필요성까지 고려하면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지적 발전을 다뤄야 하는데 사이토 코헤이는 원시공산주의에 대한 몰이해에 기초해 편할대로 마르크스의 이론을 재구성하고 있다. 그러한 재구성이 MEGA의 권위가 더해져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나 더 문제적이다.

나는 이 책을 마르크스주의적 좌파뿐만 아니라 좌파 일반이 읽지 않는 걸 권한다.



===

 손민석

Favourites · 17 h ·



자술리치 편지 초고는 내가 정확하게 독해하기 위해 한국어판, 일어판, 영어판, 독일어판 등까지 모조리 찾아서 반복해서 읽고 거의 외울 정도로 공을 들일만한 가치가 있었다. 간행되지는 않았지만 말년의 마르크스가 도달한 최고 수준의 이론적 위치를 보여주는 저작이기 때문에 이 편지 초고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정말 다양한 논의를 할 수가 있다. 생태학적인 해석을 하는 게 독창적이라 생각하지만 틀린 해석일 수밖에 없는 건 마르크스는 이 글에서 생태론을 다루고자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마르크스는 당면한 러시아혁명, 러시아 차리즘의 붕괴라는 상황 속에서 러시아혁명세력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 자신의 모든 이론을 집약해 대답하고 있다. 그 열정이 놀랍지만 그는 자신의 편지에 초고에서 서술한 내용의 결론들만 써서 보냈다. 자신이 도달한 이론적 위치를 마르크스는 지나칠 정도로 신중한 성격 때문에 밝히지 않았지만 이 위치야말로 그의 모든 이론의 최종적인 귀결점이라는 점에서 어쩌면 자본론만큼 중요한 이론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 텍스트의 이론적 중요성은 그것을 해석하는 서구학자들의 조잡함과 너무나도 대비된다.. 국가론, 노동가치론, 원시공산주의론, 공산주의론, 혁명론 등등 거의 모든 분야가 망라되어 있는 텍스트이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