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동자 운동, 투쟁의 기록 - 전태일에서 민주노총까지
안승천 (지은이)박종철출판사2002-02-20


Sales Point : 307


271쪽
책소개
20년 이상을 노동자로 살아 온 안승천 의장(한국노동자운동연대)이 1970년에서 2001년까지의 민주 노조 운동의 역사를 되돌아보았다.
그는 민주 노조 운동 30년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전태일의 분신으로 시작된 민주 노조 운동은 1970년대 경공업 여성 노동자를 중심으로 민주 노조 건설과 사수 투쟁을 거쳐, 1980년 광주 민주 항쟁을 기점으로 1991년까지 계급적 - 전투적 노동자 운동으로 성장하며 발전해 나간다.
하지만 집행부의 관료화와 사회주의권 몰락과 문민 정부의 등장으로 그 기세가 꺾여 1993년 경부터는 양적으로는 확대하지만 질적으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인다. 그리고 IMF 사태를 맞이하며 노동 운동은 벼랑 끝에서의 투쟁과 사회적 타협 사이에서 오락가락한다.
물론 마지막 장에서는 희망에 대해 이야기한다. 대우 자동차 투쟁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투쟁에서 "노동자는 하나"라는 정신에 입각한 근본주의 노동자 운동이 본격화되어 가리라는 것을 예감한 것이다. 이 책은 노동운동 30년의 투쟁을 마치 현장에 있는 듯 생생하게 정리하고 있다.
목차
1부 어용의 굴레를 깨는 노동 조합 운동
1장 어둠을 밝힌 한 점의 불꽃, 전태일: 1970년
2장 묵숨을 건 민주 노조 건설과 사수: 1976~1979년
3장 민주 노조 운동에 영향을 준 두 가지 흐름: 1970~1979년
2부 계급 운동으로 발전하는 전투적 노동자 운동
4장 패배를 통한 도약: 1980~1983년
5장 정치적 노동자 운동의 성장: 1983~1986년
6장 파업의 열풍과 함께 대약진하는 민주 노조 운동: 1987~1989년
7장 계급 운동으로 발전하는 민주 노조 운동: 1990~1992년
3부 민주 노조 운동의 양적 확대와 질적 퇴조
8장 집행부의 관료화와 개량주의의 확산: 1992~1993년
9장 구조화되는 조합주의와 무너지는 현장 투쟁력: 1993~1995년
10장 조합주의와 개량주의 세력의 주도권 장악: 1995년
4부 자본가 계급과 격돌하는 노동자 계급
11장 벼랑 끝에서의 격돌, 노동법 개악 저지 투쟁: 1996~1997년
12장 패배의 연속, 정리 해고 저지 투쟁: 1997~1999년
13장 민주 노조 운동을 넘어서는 투쟁들: 1999~2001년
후기
단체 목록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안승천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1960년 1월에 태어나 현재까지 20년이 넘도록 공장 생활을 했다. 초등학교를 졸업하고는, 인쇄소 보조공과 신문 배달부 생활을 하고 직업 훈련원을 거쳐 대한조선공사(현 한진중공업)에서 일하다가 몇 해 동안 사우디아라비아의 조선소에서 근무했다.
공장 생활을 하면서 고입 검정 고시와 대입 검정 고시에 합격하여 29살의 나이에 부산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하지만, 두 해만 다니고 울산의 노동자로 돌아갔다. 우영산업, 효성금속, 현대자동차 사내 하청 업체, 현대중공업 외주 업체 등에서 노동자로 살아왔다.
1999년에 울산노동자운동연대의 대표를 맡았고, 1999년부터 현재까지 한국노동자운동연대의 의장을 맡고 있다. 2002년 현재 사회당 부대표이기도 하다. 접기

최근작 : <한국 노동자 운동, 투쟁의 기록>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