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Dear Pyongyang
South Korean theatrical poster
Directed byYang Young-hee (South Korea)
Yang Yong-hi (Japan)
Produced byInaba Toshiya
Edited byNakaushi Akane
Distributed byCheon, Inc.
Release dates
  • October 2005 (PiFan)
  • August 26, 2006 (Japan)
Running time
107 minutes
CountryJapan
LanguagesJapanese
Korean
Dear Pyongyang
Chosŏn'gŭl
디어 평양
Revised RomanizationDieo Pyeongyang
McCune–ReischauerTiŏ P'yŏngyang

Dear Pyongyang (Korean디어 평양) is a documentary film by Zainichi Korean director Yang Yong-hi about her family. It was shot in both Yang's hometown of OsakaJapan, and PyongyangNorth Korea. The film has both Korean and Japanese dialogue with subtitles. The US release has Korean and Japanese dialogue with English subtitles.[1][2] In August 2006, Yang released a book in Japanese under the same title expanding on the themes she explored in the film.[2]

Story[edit]

In the 1970s, Yang's father, an ardent communist and leader of the pro-North movement in Japan, sent his three sons from Japan to North Korea under a repatriation campaign sponsored by ethnic activist organisation and de facto North Korean embassy Chongryon. As the only daughter, Yang remained in Japan. However, as 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North deteriorated, the brothers became increasingly dependent for survival on the care packages sent by their parents. The film shows Yang's visits to her brothers in Pyongyang, as well as conversations with her father about his ideological views and his regrets over breaking up his family.[3]

Film festivals[edit]

References[edit]

  1. Jump up to:a b c d Koehler, Robert (2006-02-23). "Dear Pyongyang"Variety. Retrieved 2007-03-20.
  2. Jump up to:a b Yang, Yong-hi (August 2006). ディア・ピョンヤン―家族は離れたらアカンのや. Artone. ISBN 486193057X.
  3. ^ Kim, Tae-jong (2006-11-24). "'Dear Pyongyang' for Dear Dad". Korea Times. Retrieved 2007-03-20.(registration required)

External links[edit]

=====
’Dear Pyongyang’ builds bridge between life in N. Korea and outside world

Amid fanfare music and farewell signs, Yang Yong-hi’s teenage brothers got aboard a ship bound for Pyongyang in 1971. They were among the 90,000 ethnic Koreans in Japan who chose to build a better life in North Korea in the 1960s and 70s. No one could ever return.

By Kim Hyun

Since the day she saw off her three brothers at the Japanese port of Niigata at the age of six, Yang, a second-generation ethnic Korean film director born and living in Japan, has harbored a growing anger towards her parents who sent their boys away out of their allegiance to North Korea, where dire living conditions soon became obvious.

Yang says it took years to understand her father’s political choices. Filming her father with a video camera over 10 years, she learned the reasons why her father and other first-generation Koreans in Japan who were born in South Korea chose North Korea as their ideological home.

Her documentary "Dear Pyongyang" is to be released in South Korea next month.

"If there wasn’t discrimination against them, my brothers wouldn’t have gone," Yang said in an interview on the sidelines of the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Young people couldn’t have hope for their future. The first generation was so poor, and the young people saw that they wouldn’t be able to study or go to university, and even if they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of Tokyo they wouldn’t be able to find an employer. They really had low status in Japan," she said.

Many dreamed of a better future in North Korea. The North had a rising economy at that time with a stable, nationalist leadership under Kim Il-sung, while in South Korea there were a series of military coups that resulted in the suppression of democratic movements. The young ethnic Koreans in Japan simply believed reassurances from the North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that they would soon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Tokyo at that time needed solutions to control the rapid population growth and related social issues and signed an agreement with Pyongyang in 1959 to repatriate ethnic Koreans who wanted to leave.

North Korea has since never allowed such immigrants to return.

Their choice of North Korea now seems so naive, but Yang says there was no alternative.

"Now it is easy to conclude they were overly optimistic. But if they hadn’t even had that hope, they wouldn’t have been able to live at that time," she said.

The Japanese government recognizes migrants and their descendants born in Japan as foreigners. Discrimination against ethnic Koreans was especially severe after Japan colonized the Korean Peninsula from 1910 to 1945.

In "Dear Pyongyang," the winner of the NETPAC Asian award at the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the special jury prize at the Sundance Film Festival this year, Yang uses footage taken during her visits to her brothers in Pyongyang over the past 10 years. The images reveal their seemingly happy life, but the dismal conditions of North Korea are also obvious. One of her brothers says "I am happy," but the reality is that her brothers live on money sent from their family in Japan and electricity is often cut off, forcing her nephew to use candles to play piano. For overseas phone calls, they have to stand in a long line at a government-run center.

Yang, a graduate of a media studies program in New York, changed her nationality from North Korean to South Korean last year, hoping that could broaden her freedom as a filmmaker. Her next work about one of her nephews in Pyongyang is to be funded by the ongoing Pusan film festival in the South Korean port city of Busan. "Dear Pyongyang," which premiered here last year, was also produced with the fund.

Seeing the rising public sentiment against North Korea in Japan after the North’s abduction of Japanese citizens and its nuclear bomb test, Yang calls for an understanding that North Korea is just another place where normal lives go on.

"It’s also a people’s place where women are interested in cosmetics and good hairstyles, and men are busy looking for pretty women. The images of starvation and tyranny are not everything about the North. That is true in part, but I hope people will see that there are other parts, like my nephew who plays piano and lovely children." "We have little information to draw on about North Korea, but we rush to make a judgment about it. To understand somebody, we need to observe them from many directions," she said.

(Yonhap, October 17, 2006)

====

ディア・ピョンヤン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ディア・ピョンヤン Dear Pyongyang
監督梁英姫(ヤン・ヨンヒ)
脚本梁英姫(ヤン・ヨンヒ)
製作稲葉敏也
製作総指揮稲葉敏也
音楽犬丸正博
撮影梁英姫(ヤン・ヨンヒ)
編集中牛あかね
配給シネカノン
公開日本の旗 2006年8月26日
大韓民国の旗 2006年11月23日
上映時間107分
製作国日本の旗 日本
大韓民国の旗 韓国
言語日本語
朝鮮語
テンプレートを表示

ディア・ピョンヤン Dear Pyongyang』は、梁英姫(ヤン・ヨンヒ)監督によるドキュメンタリー作品。2006年8月26日、渋谷シネ・ラ・セットにて日本初公開。監督の父は、朝鮮総連の元幹部。

ストーリー[編集]

日本で生まれ育ったコリアン2世の映像作家・梁英姫が自身の家族を10年にわたって追い続けたドキュメンタリー。朝鮮総連の幹部として活動に人生を捧げた両親と娘との離別と再会、そして和解を描く。

スタッフ[編集]

  • 監督・脚本・撮影:梁英姫(ヤン・ヨンヒ)
  • プロデューサー:稲葉敏也
  • 編集:中牛あかね
  • サウンド:犬丸正博
  • 翻訳・字幕:赤松立太

受賞歴[編集]

その他、正式招待された国際映画祭[編集]

DVD[編集]

関連図書[編集]

  • 梁英姫『ディア・ピョンヤン 家族は離れたらアカンのや』(2006年アートン
  • 梁英姫、佐高信『北朝鮮で兄(オッパ)は死んだ』(2009年、七つ森書館)
  • 梁英姫『兄―かぞくのくに』(2012年小学館

関連項目[編集]

外部リンク[編集]


===




画像をクリックして拡大イメージを表示



著者をフォロー

梁 英姫梁 英姫
フォロー





北朝鮮で兄(オッパ)は死んだ 単行本 – 2009/11/1
梁 英姫 (著, 原名), 佐高 信

4.8 5つ星のうち4.8 4個の評価
181ページ
言語

日本語
出版社

七つ森書館
発売日

2009/11/1
寸法
====

상품 설명
내용(「BOOK」데이터베이스에서)
조총련 간부의 딸로 태어나 귀환사업에서 3명의 형이 북한으로 건너온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 양용희. 사고신이 오는 「지상의 낙원」북한의 알려지지 않은 내실.
저자 약력 ( "BOOK 저자 소개 정보"에서)
梁/英姫
오사카부 오사카시 출생. “재일” 코리안 2세. 도쿄의 조선대학교를 졸업 후 교사, 극단 여배우, 라디오 퍼스널리티,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다큐멘터리 영상 작가를 거쳐 영화 감독에. 다큐멘터리 영화 '디어 평양'(2005)은 베를린 국제 영화제 아시아 최우수 영화상, 선댄스 영화제 심사원 특별상, 야마가타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특별상 등 수많은 세계적인 영화제에서 대절찬

사고/노부
야마가타현 사카타시 출생. 게이오 대학 법학부 졸업 후 향리 고교 교사, 경제지 편집장을 거쳐 평론가가 된다. '사축'이라는 말로 일본 기업사회의 병리를 드러내 회사·경영자 비평으로 하나의 분야를 구축한다. 경제에 그치지 않고, 헌법, 교육 등 현대 일본에 대해 매운 입의 평론을 계속한다. (주)금요일 대표이사 사장(본 데이터는 이 서적이 간행된 당시 게재되어 있던 것입니다)
등록정보
출판사 ‏ : ‎ 칠곱 모리 서관 (2009/11/1)
발매일 ‏ : ‎ 2009/11/1
언어 ‏ : ‎ 한국어
단행본 ‏ : ‎ 181페이지

- 19,695명사회학개론
- 84,035위논픽션(책)
고객 리뷰: 4.8 5성급 중 4.8    4개의 평가
===
고객 리뷰
별 5개 중 4.8개
5개 중 4.8개
=====
최고 리뷰
상위 리뷰, 대상국가 : 일본
샌들
5성급 중 5.0 앞으로도 발신 해주세요.
2012년 12월 24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솔직히 형들을 생각하는 마음에 가슴을 쳤다.
앞으로도 발신을 계속해 주었으면 한다.
9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Amazon 고객
5성급 중 4.0 梁英姫씨의 증언은 몹시 귀중하고 고에 하게 되는데 
청취자의 사카노부씨의 자세는・・・

2017년 6월 9일에 확인됨
 양영희 씨는 '디어평양'이라며 영화로 북한에서 사는 형과 그 가족들의 일상생활을 그려 공개했다는 이유로 조선총련에서 북한 입국을 금지 한다. "아아이후 영화("디아 평양")를 붙여 미안해, 같은 사과문을 쓰면 고민할 필요도 없어요"라고 이부 대응이다 츠타라는 것.
 梁英姫씨로부터 상담을 받은 사다카 노부씨는 「좋지 않아, 사죄문은 얼마든지 쓰면.」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나는 사고씨의 이 무책임한 발언을 읽고(다른 사람이면서도) 화가 났다.
곧 梁英姫씨에게 “역시 쓸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녀는 쓰지 않을 것이다. 쓰면 그녀가 아니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나는 쓴웃음을 냈다."
사코씨는 도대체 무엇이 말하고 싶은 것이다. 조선총련에 대해 사과문을 쓰거나 쓸지 없는지는 양영희 씨에게 있어서 일대사이다. 그런 중대한 일에 대해 "얼마든지 쓸 수 있다"라고 말해 보거나 "그녀는 쓰지 않으면"라고 쓴웃음해 보거나・・・
 를 비판하지 않는 사다카 씨가 양영희를 입국금지로 한 조선총련 및 북한을 비판하려고 하지 않고 (면종복배에서도) 사과문을 쓰려고 권유한 것이다.
 사다카 씨는 「싸움의 이기는 방법」이라고 말하고 용감한 제목의 사토 유우씨와의 공저로 다음과 같이 쓴다.
"우리는 싸우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서도 싸움을 해서는 안 되는 미온적 분위기에도 도전의 장갑을 던지는 것이다."< a i=9>사고씨의 이 말 뒤에는 이전(지금은 모르는) 일본의 여권에 쓰여져 있던 「북한은 제외한다」라고 이불 기술을 덧붙여야 하는 것일까.
계속 읽기
15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후지미
5성급 중 4.0 지금까지의 재일에 대해서와 다른 시점의 대담
2010년 12월 18일에 확인됨
지금의 단계에서 말할 수 있다는 것을 한껏 말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양씨도 듣고 사사타카씨도) 갈등이 상징적으로 이런 타이틀이 됐다고 생각한다. 총련 간부의 아버지의 입장, 귀환사업으로 귀환해 북한에 있는 형제, 친척 등에 대한 배려로 말하기에는 굉장한 신중함을 엿볼 수 있다. 저자 자신은 더 분명한 의견을 가지고 전하고 싶다는 딜레마가 전해져 온다. 다만, 그것이 반대로 철저하게 정치색을 지우려고 한 점에서 성공해, 작자의 의도적 의도인 평상복의 북한이나 재일의 사람들의 입장의 자연스러운 표출이 되어, 솔직하게 받아들여진다 대담이 되고 있다. 그녀에게 언젠가 더 자신의 갈등이나 신내에 대해 말할 수 있는 날이 와 주었으면 한다고 생각하면서 읽었다.



20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サンドル
5つ星のうち5.0 これからも発信してほしい
2012年12月24日に日本でレビュー済み
Amazonで購入
素直に兄たちを思う気持ちに胸を打たれました。
これからも発信を続けてほしい。
9人のお客様がこれが役に立ったと考えています
役に立った
レポート
Amazon カスタマー
5つ星のうち4.0 梁英姫氏の証言は大変貴重で考へさせられるのだが聴き手の佐高信氏の姿勢は・・・
2017年6月9日に日本でレビュー済み
 梁英姫氏は「ディア・ピョンヤン」といふ映画で北朝鮮で暮らす兄とその家族達の日常生活を描いて公開したといふ理由で朝鮮総聯から北朝鮮への入国を禁止される。 「ああいふ映画(「ディア・ピョンヤン」)をつくつてごめんなさい、みたいな謝罪文を書くんだつたら考へなくもないですよ」といふ対応だつたとのこと。
 梁英姫氏から相談を受けた佐高信氏は「いいんじやない、謝罪文なんていくらでも書けば。」と答えた言ふ。
 私は佐高氏のこの無責任な発言を読んで(他人事ながら)腹が立つた。
まもなく梁英姫氏に「やはり書けませんでした。」と告げられた佐高氏は次のやうに書いてゐる。
 「たしかに彼女は書かないだろう。書いたら彼女ではなくなるからである。そうだよな、と私は苦笑した。」
佐高氏は一体何が言ひたいのだろう。朝鮮総聯に対して謝罪文を書くか書かないかは梁英姫氏にとつて一大事である。そんな重大なことについて「いくらでも書け」と言つてみたり「彼女は書かないだらう」と苦笑してみたり・・・
 ただ一つ言へることは安倍首相を批判してやまない佐高氏が梁英姫氏を入国禁止にした朝鮮総聯及び北朝鮮を批判しようとせず、(面従腹背ででも)謝罪文を書くやうに勧めたことである。
 佐高氏は「喧嘩の勝ち方」といふ勇ましい題名の佐藤優氏との共著で次のやうに書く。
「私たちは、喧嘩せざるを得ない状況においても、喧嘩はすべきでないとする微温的雰囲気にも挑戦の手袋を投げつけるのである。」
佐高氏のこの言葉の後には以前(今は知らない)日本のパスポートに書かれてゐた「北朝鮮は除く」といふ記述を付け足さなければいけないのだろうか。
もっと少なく読む
15人のお客様がこれが役に立ったと考えています
役に立った
レポート
fujmi
5つ星のうち4.0 これまでの在日についてと異なる視点の対談
2010年12月18日に日本でレビュー済み
今の段階で語れることを精一杯語っているという感じがした。(ヤン氏も聞き手佐高氏も)
タイトル程長兄について対談が割かれているわけではないが、彼女の持つ国や国籍などアイデンティティ、そして北朝鮮への思いへの葛藤が象徴的にこうしたタイトルになったと思う。
総連幹部の父親の立場、帰還事業で帰還し北朝鮮にいる兄弟、親戚などへの配慮から物言いには凄い慎重さが伺える。
著者自身はもっとはっきりした意見を持ち、伝えたいというジレンマが伝わって来る。ただ、それが逆に徹底的に政治色を消そうとした点で成功し、作者の意図的意図である普段着の北朝鮮や在日の人達の立場のさりげない表出となり、素直に受け入れられる対談となっている。
彼女にいつかもっと自身の葛藤や身内について語れる日が来て欲しいと思いながら読んだ。
20人のお客様がこれが役に立ったと考えています
役に立った
レポート
====




兄~かぞくのくに 単行本 – 2012/7/23
ヤン ヨンヒ (著)
4.7 5つ星のうち4.7 14個の評価



===
상품 설명
내용(「BOOK」데이터베이스에서)
나에게는 3명의 형이 있다. 형은 북한에 있다. '귀국사업'에서 북한에 건너간 형과 나와 '카조쿠'의 진실의 이야기. 감동의 다큐멘터리 스토리.
저자 약력 ( "BOOK 저자 소개 정보"에서)
양/연희
梁英姫. 1964년 11월 11일 오사카부 오사카시 출생. 재일 코리안 2세. 어렸을 때 세 명의 형이 귀국사업으로 북한으로 건너간다. 도쿄의 조선대학교를 졸업, 뉴욕의 뉴스쿨 대학 대학원 석사 학위 취득. 극단 여배우, 라디오의 퍼스널리티를 거쳐 다큐멘터리의 영상 작가로서 작품을 발표. 또 텔레비전 아사히의 '뉴스 스테이션' 외에서 리포터를 맡아 세계 각지를 취재하는 등 보도 프로그램에서 활약한다. 97년에 미국과 6년간 뉴욕에 체재(본 데이터는 이 책이 간행된 당시에 게재되어 있던 것입니다)

등록정보
출판사 ‏ : ‎ 쇼가쿠칸 (2012/7/23)
발매일 ‏ : ‎ 2012/7/23
언어 ‏ : ‎ 한국어
단행본 ‏ : ‎ 283페이지
고객 리뷰: 4.7 5성급 중 4.7    14개의 평가

최고 리뷰
상위 리뷰, 대상국가 : 일본
히지카타 야스타로
5성급 중 5.0 매우 예쁜 책이었습니다.
2021년 7월 12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상상 이상으로 예쁜 책입니다. 정중하게 보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
Amazon가족
5성급 중 5.0 아주 좋아하는 책
2018년 10월 17일에 확인함
아마존에서 구매
영화 '카조쿠노쿠니'를 보았습니다. 이것, 현실? 지금 이야기? 라고 믿을 수 없었다. 원작이 있다는 것을 최근에 알고 읽었습니다.
일본인의 부모님에게 자란 일본인의 나는 실은 이 「쿠니」에 대해 가르쳐서 자라지 않습니다. 부모가 "여러 가지 있으니까." 정도입니다. '민단'과 '총련'의 차이도 몰랐다. 영화보다 자세히 쓰여져 가벼운 말로 기분을 해치는 분은 미안해. 더 힘들지 않을까 느꼈다. 최근 You Tube에서 젊은 일본인 유튜버가 한국에서 한국 화장품이나 쇼핑을 구입, 소개하고있는 것만 볼 수 있지만, 그 선을 넘으면 이런 귀여운 옷이나 화장품, 본 적이 없을까. .. 나의 부모님은 무지가 아니고 너무 비참한 사건 )를 나에게 가르쳐도 좋은지 헤매었다고 한다.
사람들에게는 각각 사상이 있으니까, 저것을 정말 좋아한다고 하는 사람도 있으니까, 라고.
나는 이 책을 모든 사람에게 권하지 않는다. 이봐, 그러니까 그게 싫어, 어쩔 수 없어. 그렇게 태어난 운명이니까, 라고 듣고 듣는 것이 싫기 때문.
나는 읽고 정말 좋았다고 생각한다.
8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푸우
5성급 중 5.0 매우 흥미로운
2019년 9월 17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오래전에 영화 보고 나서 샀습니다. 영화는 여러가지 컷하고 있지만, 책은 정보량도 풍부하고, 지금까지 전혀 몰랐던, 북한을 엿볼 수가 있었습니다. 북한에 가버린 저자의 형님들의 이야기는 너무 끔찍합니다. 일본에서 태어나 자란 재일 조선인의 저자로, 북한 만세의 부모님의 전 성장하고 있으므로, 일본인이 쓴 것보다는, 진짜의 북한이 쓰여져 있는 것일까라고 추측합니다 . 북한에 오빠들을 3명 모두 보내 버린 부모님과 북한을 좋지 않은 저자의 미묘한 심정 등도 있어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5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야트
5성급 중 5.0 영화보다 수십 배의 내용입니다.
2014년 5월 23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영화를 보면서 읽었지만 내용은 영화보다 훨씬 무겁고 짙은 것이었습니다.
가족은 멀리 떨어져서는 안 되는 존재, 거리는 있어도 자유롭게 만날 수 있는 곳에
있어야 하는 존재인 것이 문장의 구석구석에서 전해져 왔습니다.
가혹한 북한의 실정과 조선총련에 대한 '왜·왜'라는 의문만
이 증폭되어 버렸습니다. 여러가지 의미로 많은 사람들에게 읽어주고 싶은 한권
입니다.
7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coral
5성급 중 5.0 "지옥으로가는 길은 선의로 깔려있다"칼 마르크스
2013년 6월 19일에 확인됨
아마존에서 구매
 아버지가 '총련' 오사카부 본부의 부위원장이며, 그 사정에서 '귀국사업'으로 북한으로 건너가게 된 3명의 형의 이야기는 각각 통절극적이지는 않지만, 그 중에서도 정신 를 앓은 장형 코노의 태동강(대동강)의 선상 레스토랑에서의 에피소드에는 눈물을 금할 수 없었다. 좋겠다고 생각해, 베스트의 선택이라고 믿어 행한 것이, 실은 최악의 결과를 초래시켜 버린다・・・그것을 <비극>이나 <비운>이라고 하는 한마디의 말에 밀어넣을 수 있는 이유에는 단절해 가지 않는다. 왜냐하면 거기에는 사람의 <생>의 전체 중량이 걸려 있기 때문이다.
 북한에서 사는 사람들이 열심히 생명의 불을 켜고 있는 것에 다시 눈을 돌렸지만, 동시에 북한의 체제에 대한 분노가 끓어오르고 했다. 북한의 현 체제를 타도하고 어쨌든의 땅 사람들을 압제에서 해방해야 한다.
8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나카코
5성급 중 5.0 읽을 수 있는 한 권
2014년 1월 6일에 확인됨
 인연. 이 말이 무서워.
문안에 있는 이 한 문장이 매우 인상에 남았다. 저자의 놓여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생각했다. 총련 간부의 부모, 북쪽에 사는 형과 저자를 연결하는 유대. 그것은 저절로 북한이라는 나라와 작자를 연결하는 실이기도 하다. 자신에게 솔직하게 살고 싶은 마음과 유대를 끊는 것에 대한 공포. 이데올로기의 차이로부터 가족, 조국에 반발해도 끊을 수 없는 복잡한 심정을 읽을 수 있다.
 영화 '카조쿠노쿠니'를 본 후 이 책을 읽으면 북한의 사회적 배경과 가족의 심정이 더 깊게 그려져 매우 흥미로웠다. 또 다큐멘터리 영화의 '디어평양', '사랑하는 소나'를 시청한 뒤였기 때문에 문장과 영상이 연결되어 쏟아지는 것이 있었다.
 만약, 그 때에 귀국하지 않으면,,, 부모가 간부가 아니면,,, 아무리 생각해도 어쩔 수 없는 애절함과 할 수 없는. 자유의 나라에서 생활하는 여동생과 살아가기 위해 많은 것을 희생한 형들.
 재일 코리안의 그녀가 말한 북한은 상상했던 것보다 소박하고 친근하고 역시 잔혹했다.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작품.
 꼭 읽어 주시고 싶은 추천의 1권입니다.
8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먹이는 사람
5성급 중 5.0 영화 '카조쿠노쿠니'의 배경을 더 잘 알기 위해
2013년 6월 25일에 확인됨
2012년도 키네마 순보에서 일본화의 1위를 차지한 양영희 감독(재일2세)의 '카조쿠노쿠니'를 본 후 최근 문고화된 영화의 원작 이다 본서(원래는 2012년 간행)를 읽었다. 이 책은 부모님이 오사카 조선총련의 간부였기 때문에 귀환사업으로 1971-72년 북한으로 건너온 세 명의 형(장형의 코노형, 차형의 코나형과 영화에서 다룬 켄 형)의 그 후와 그것을 필사적으로 지지하는 부모(특히 어머니)의 모습을 그린 뛰어난 다큐멘터리다. 3명의 형과 그 가족을 그린 3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화 ‘카조쿠노쿠니’는 세 번째 ‘흰 그네 - 단 몇 초의 켄 형의 오후’를 독립시켜 소재로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영화를 본 사람은이 책을 읽음으로써이 가족의 배경을 완전히 알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귀환 사업 그 자체와 귀환자로부터의 소식 등은 꽤 읽었지만, 귀환자의 생활을 이 정도 장기간에 걸쳐 추적한 보고를 읽은 것은 처음이다. 부모님이 상당히 유력한 활동가인 것 같다는 것이 저자를 포함한 가족의 겹쳐지는 현지 방문을 가능하게 했을 것이다. 저자는 형들과 헤어진 11년 후 조선고등학교 대표단 중 한 명으로, 두 번째는 조선대학생 중 한 명으로 방문하고, 미국 유학(영화) 이후 세 번째 방문을 하고 다큐멘터리 필름 '디어 '평양'(미견)을 2009년에 발표함으로써 입국금지처분을 받는다. 어쨌든, 이러한 방문을 반복함으로써, 귀국자들의 생활의 기미가 포착되게 된다. 예를 들어, 일본의 어머니로부터 구원 물자의 도착이 주지를 위해, 첫 아내와 이별하고, 두 번째 아내와 사별한 차형에 두 아이가 있으면서, 아내의 후보자가 쇄도한다( 일본으로부터의 귀국자는 키포{귀포}와 차별되어 왔다)라는 사정이 소개되고 있다. 김일성의 탄생 60주년을 축하하기 위한 '인간 선물'(p.49) 중 한 명으로 선정된 장형이 좋아하는 클래식 음악의 금지된 폐색적인 사회에서 정신을 앓고 죽는 묘사는 애절하지 않다. 이 책을 읽고 다시 영화를 검토했다. 권위주의적 체제의 중고함이 화면을 덮고 있다. 구사회주의의 억압을 그린 영화도 많이 보았지만, 이것은 출색의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체제를 상징하는 감시원을 그리는 방법이 뛰어나다.
もっと少なく読む
12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도순
5성급 중 5.0 항의 '호울'이라는 말이 가볍게 보인다
2012년 9월 3일에 확인됨
읽고 끝나자마자, 따뜻하게 흘러넘치고 있는 '호울'이라는 말이, 싸게(그리고 '같이) 생각되었다. 눈물은 아마, 이 책을 위해 이다.
이것은 저자(영화감독)가 말한 「카조쿠」의 이야기이다. 친형 3명이 귀국사업으로 북한에 갔다. 이 사실만으로도 저자(영화감독)가 터무니없는 상황에서 자란 것을 알 수 있다. 클래식 음악을 좋아하는 장형, 타인을 즐겁게하는 것을 좋아하는 다음 형, 항상 멋진 말 형. 3장 세워의 본서는, 각각의 형을 주인공에 세워, 이야기가 전개한다. 영화 '카조쿠노쿠니'의 원작이기도 한 한 장에서 형이 갑자기 지휘하는 장면, 두 장에서 아이가 자신을 버린 어머니와 대결하는 장면, 3장의 형과 여동생 간첩을 둘러싼 대화 ,……. 어쨌든 울어 버린 장면을 줄 때가 없다.
북한의 내정과 귀국사업, 재일조선인의 생활 등 논픽션적인 정보도 듬뿍 담겨 '그렇던가'라고 생각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 무엇보다 이것은, 「가족이란 무엇인가」를 묻는 책일 것이다. 사랑하는 가족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가면? 미안해, 또 울어 왔습니다…
25명의 고객이 이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보고서
모든 리뷰 보기